[윤헌식의 역사칼럼] 난중일기에 기록된 최경루

윤헌식

충무공 이순신은 1596년 윤8월~9월경 전라도 일대를 순시하다가 9월 21일 능성(綾城) 고을에 들렸다. 조선시대의 능성은 지금의 전남 화순군 능주면, 도곡면, 도암면, 이양면, 청풍면, 춘양면, 한천면 일대에 해당하는 지역으로서 능주(綾州)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다음은 충무공 이순신이 능성에 들린 내용이 실려 있는 『난중일기』의 기록이다.

『난중일기』, 1596년 9월 21일

 

일찍 능성에 이르러 최경루에 올라 연주산을 구경하였다. 고을 수령이 술을 청하기에 잠시 마시고 헤어졌다.

 

[원문] 早到綾城 上最景樓 望見連珠山. 主倅請酒 故暫醉而罷.

위 일기에 언급된 연주산은 지금의 전남 화순군 능주면과 한천면에 걸쳐 있는 연주산을 말하며, 조선시대 능성 지역에서 경치가 좋기로 유명한 산이었다. 위 일기에는 연주산의 지명과 함께 '최경루(最景樓)'라는 누각의 이름이 나타난다. 『난중일기』 번역서들을 살펴보면, '최경루'를 어떤 특정 누각의 이름으로 해석한 사례가 많다. 즉, '최경루'를 고유명사로 해석한 것이다. '최경루'의 이름이 가진 의미를 따져보면 ‘가장 경치가 좋은 누각’이라는 뜻으로 해석되는데, 이러한 통속적인 이름을 가진 건축물은 조선시대 문헌을 검색해보아도 그 예를 찾기 어렵다.

다시 말해서 '최경루'는 어떤 누각의 이름이 아니라, 충무공 이순신이 연주산을 구경했을 때 오른 누각이 그 일대에서 가장 경치가 좋은 곳이라서 이렇게 표기한 것으로 보아야한다. 아마 누각의 이름을 기억하지 못해서 이렇게 표기했을 가능성도 있다. 조선시대에 편찬된 지리지나 읍지는 종종 각 고을의 유명한 누정(樓亭)에 관한 기록도 수록하고 있는데, '최경루'라는 이름은 능성 고을에 관한 어떠한 기록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지리지 가운데 하나인 『신증동국여지승람』의 「능성현(綾城縣)」에 수록된 누정(樓亭)조를 살펴보면, 봉서루(鳳棲樓)라는 이름이 제일 처음 등장한다. 『동국여지지』, 『여지도서』, 『대동지지』, 『능주읍지』 등 각종 지리지와 읍지의 능성 관련 기록에도 봉서루(鳳棲樓)의 이름이 나타난다. 봉서루는 능성의 대표적인 누정으로서 이곳의 경치를 주제로 삼아 만들어진 시도 적잖이 남아 있다.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은 그의 문집인 『점필재집(佔畢齋集)』에 「봉서루」라는 제목의 시를 실었으며, 『동문선(東文選)』에는 성임(成任, 1421∼1484)의 시 「능성봉서루」가 수록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의 「능성현」에 수록된 누정조에도 봉서루의 이름과 함께 성임과 정창손(鄭昌孫, 1402~1487)의 시가 실려 있으니, 봉서루가 조선시대 능성에서 제일 손꼽는 누정이었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을 듯하다.

『난중일기』에 언급된 '최경루' 또한 자연스럽게 봉서루를 가리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봉서루는 본래 능주면 남정리에 있었고 1671년에 중수하고 1873년에 다시 중수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현존하지는 않는다고 한다. 지금은 능주면사무소 옆에 최근 재건된 봉서루만 들어서 있어 아쉽다.

능주면사무소와 봉서루 - 자료 출처: 디지털화순문화대전

[참고자료]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지리지 종합정보

한국고전종합DB,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한국고전종합DB, 『동국여지지(東國輿地志)』

한국고전종합DB, 『여지도서(輿地圖書)』

한국고전종합DB, 『대동지지(大東地志)』

한국고전종합DB, 『동문선(東文選)』

한국고전종합DB, 『점필재집(佔畢齋集)』

디지털화순문화대전


 

[윤헌식]

칼럼니스트

이순신전략연구소 선임연구원

저서 : 역사 자료로 보는 난중일기

이메일 : thehand8@hanmail.net

 

작성 2024.12.27 06:36 수정 2024.12.27 08:55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한별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