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과 문학의 만남은 아름다운 조화의 환상이다
과학의 합리성과 초월성은 논리와 직관의 경계를 넘나들며 독자들에게 깊은 사유와 감동을 선사하는 문학이 된다. 문학작품 속에서 어떻게 상반될 것 같은 과학이 융합되어 신비주의적 창작을 구축할까? 과학과 신비주의는 새로운 문학적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이다. 문학은 과학과 신비주의의 조화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이야기를 만들어 내고 계속해서 인간의 상상력은 새로운 경계를 넘어서는 것이다.
이래즈머스 다윈은 과학적인 탐구는 문학의 창조라고 말했다. 자연은 진화라는 과학을 통하여 새로운 개체의 창조를 낳는다. 즉 진화는 과학이면 과학은 문학이라고 제언에서 자연의 진화 과정은 문학의 창작 과정이라고 하였다. 찰스 다윈의 조부인 그는 의사이며 과학자이고 발명가이며 시인이었다. 그는 과학으로 문학을 창작한다는 연설에서 문학이란 과학적인 사고에서 인문학적 감수성으로 창작되는 거대한 예술적 유산이라고 하였다.
식물학자 호프 자란은 랩걸(Lab girl)이란 소설에서 인간과 나무 관계를 소설로 그려냈다. 그는 인간과 나무에서 나무는 과학이고 그것을 가꾸는 사람은 문학이라고 하였다. 즉 생명의 유전자가 번성해 가는 과정을 창조라 하였고 그 변화의 성장을 문학이라고 하였다.
과학적인 사고와 인문학적 사고가 상통하는 조화
과학적인 사고는 정확한 결과를 얻어내고 일상생활을 합리적으로 해결하며 현명한 처신과 판단을 가지고 논리적으로 감정을 조정한다. 지극히 객관적으로 비판 분석하고 체계적인 접근으로 합리화하는 것이다. 인문학적인 사고는 인간의 감정, 가치관과 도덕적 판단을 고려하여 다층적인 관점에서 사물을 바라보는 방식이다.
인문학적 사고를 통해 우리는 특정 현상이나 사건의 이면을 탐구하고 그 안에 담긴 다양한 의미와 맥락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사건의 표면적인 원인과 결과를 넘어선 심층적 이해를 복합적이고 포괄적인 사고 능력을 기르게 하는 것이다.
과학적인 사고는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하고 심사숙고로 의사를 결정하고 데이터의 다양한 정보가 문제해결 능력을 길러준다. 정보수집은 다분히 논리적인 사고로 통계를 활용할 수 있다. 문학에서 이런 과학적인 사고가 접목한다면 더욱더 폭넓은 작품을 쓸 수 있고 소재가 풍부해질 것이다.
과학소설과 판타지 소설의 만남
사이언스 픽션은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하지만, 동시에 신비주의적 요소를 통해 상상력의 폭을 넓힌다. 우주여행의 신비로운 과학적 경험은 운명과 같은 신비주의적 새로운 차원의 이야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런 문학작품은 인류에게 기술적 진보를 넘어, 윤리적, 철학적 딜레마를 제기하며 독자에게 깊은 사유와 미래에 대한 심오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문학작품에서 신비주의적 상징은 과학적 분석의 도구이다. 신비주의적 상징과 과학적 분석의 결합은 심리와 꿈, 환상과 상징의 신비주의 요소로 우주론과 같은 과학적 이론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갖는다. 이것은 인간의 내면세계와 외부 세계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는 것이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은 꿈과 무의식을 신비주의적 요소로 분석해 내지만 문학작품에서 꿈의 이미지는 심리상태를 반영하여 무의식 속 깊은 갈등과 욕망을 표출하는 것이다.
문학은 우주와 인간의 신비주의적 조화다
인간의 의식과 우주의 질서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생각은, 과학적 사고방식과 신비주의적 직관이 결합하여 문학으로 나타난다. 현대 문학에서는 첨단 과학 기술과 초자연적 현상의 조화를 통해 인공지능이나 유전자 공학의 기술로 발전하였다.
예측 불가능한 현상이나 초자연적인 힘은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흐릿하게 만든다. 이런 기술의 윤리적 문제는 과학 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삶에 어떤 변화를 주었으며 과학과 신비주의의 융합은 단순한 장르적 실험을 넘어 무한한 문학적 가능성을 확장하는 것이다.
과학의 신비주의는 문학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끊임없는 질문을 던지고 그 답을 찾아가는 창작이 곧 문학인 것이다.
[김용필]
KBS 교육방송극작가
한국소설가협회 감사
한국문인협회 이사
한국문인협회 마포지부 회장
문공부 우수도서선정(화엄경)
한국소설작가상(대하소설-연해주 전5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