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상 칼럼] 마스크, 넥타이, 하이힐

이태상

몇 년 전 발생한 코메르스(코리안 메르스) 사태 이전부터 한국에선 마스크가 새로운 패션으로 자리 잡아 흰색, 검은색, 녹색에 파란색까지 어울린 마스크들의 행진에 그 기이한 풍경을 외국 언론은 놓치지 않았다. 허핑톤 포스트는 이런 대한민국의 모습을 화보로 엮기까지 했다. 하지만 이런 것은 서양 사람들의 행태에 비한다면 양반이다. 

 

비근한 예로 동양인이 개고기를 먹는다고 야만인이라고 흉보면서도 서양인들은 예수의 상징이라는 양의 양고기를 즐겨 먹는다. 내가 보기엔 고기는 고기일 뿐이다. 소고기, 돼지고기, 물고기, 예수의 살과 피를 섞은 사람고기 등 가릴 것 없다. 개가 맹인안내견, 반려견, 애완견, 폭발물 탐지견, 범인이나 실종자 탐색견, 사냥개, 군견과 경찰견 등 인류에게 지대한 공헌을 해오고 있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지만, 야생의 이리나 늑대를 길들어 인간의 충복으로 구차한 목숨을 부지해오고 있는, 마치 거세당한 내시 같은 신세가 몹시 딱하고 안쓰럽다. 

 

이것이 어디 개뿐인가. 이 개 같은 세상에서 개 같이 살고 있는 개 같은 사람들도 마찬가지 아닌가. 서양에서 남자들이 개 목줄 매듯이 넥타이를 매기 시작하면서 제가 속한 조직과 기관에 구속되어 숨통 막히는 신앙이다 이념이다 사상이다 온갖 허깨비 같은 주의 주장과 신앙심이다 애국심이다 애사심이라고 하는 속박에 묶인 노예로 전락하지 않았는가. 

 

어디 그뿐인가. 여성의 경우엔 더 혹독한 족쇄를 발에 채워 오고 있지 않나. 마치 가축처럼 가정이란 울타리 안에 가둬두기 위해 옛날 중국에 계집애들의 발이 자라지 못하도록 어려서부터 꽁꽁 묶어놓았듯이 서양에서는 남성의 성노리개 패션 명품이란 마네킹으로 남성에게 예속화시켜오고 있다. 아이돌이니 미스코리아, 미스월드, 미스유니버스니 하는 상품 레벨까지 붙여서 ‘뇌섹녀’ 아닌 ‘골빈녀’를 전 세계적으로 각국마다 대량으로 생산해오고 있다.

 

아, 그래서였을까. 얼마 전 페이스북 최고운영책임자 셰릴 샌드버그의 남편 장례식에 참석한 1,700여 명의 조문객 가운데 넥타이를 맨 사람이 단 한 명도 없었다. 하버드 대학 출신으로 미국 재무장관 비서실, 구글, 페이스북 성공 신화를 써온 그녀에게 남편이 러닝머신에서 쓰러져 숨지자 데이브가 생전에 넥타이를 증오했기 때문에 넥타이 없는 장례식을 치르게 되었다고 한다. 데이브는 그녀의 남편이자 서베이몽키 CEO 데이비드 골드버그를 지칭한 것이다.

 

2006년 뉴욕에서 치러진 백남준의 장례식에선 존 레넌의 부인 오노 요코를 비롯한 400명의 참석자들이 옆자리에 앉은 조문객의 넥타이를 자르는 깜짝 퍼포먼스를 벌였다. 이는 60년대 백남준이 독일에서 작품 발표하다 갑자기 청중석에 앉아 있던 그의 스승 존 케이지의 넥타이를 잘라 스승을 모독한 것이 아니라 ‘자유인’의 새로운 시대를 연 역사적인 퍼포먼스를 연상시켜 떠올렸다. 

 

백남준의 영향 때문인지 베를린에는 특이한 규칙이 있는 사교 클럽이 있는데 중년층이 주요 고객인 이 클럽에서 남자들은 넥타이를 착용해야 하는 것이 그 첫 번째 규칙이고, 여성에게만 주어진 파트너 선택권을 가진 여자가 마음에 드는 남성을 발견, 가위로 싹둑 넥타이를 자르면 그 남자는 무조건 춤 파트너가 돼야 하는 게 그 두 번째 규칙이란다. 따라서 이 클럽은 여성 손님들로 대호황이라고 한다.

 

그렇지 않아도 첨단기술과 결합한 성과 영화 속 사이버 사랑이 우리 눈앞으로 다가오고 있다. 인공지능-가상현실-통신혁명이 결합해 육체적 파트너 없이 성적 욕구 해소가 15년 이내 상용화될 것이라고 한다. 센서 칩을 통해 실제와 유사하게 만지고 느끼는 감각 구현에 박차를 가해 특정 부위 크기 조절 약물까지 개발되고 있다고 하지 않나. 그리고 유전자를 물려준 부모가 여럿인 아기와 낳아준 부모보다 일찍 수정된 아기 등 복잡하고 다양한 상황 발생이 예고되는 현실이다. 

 

이처럼 현실보다 더 매력적인 사이버 연인이 가능해진 세상에서 구태의연하게 시대착오적인 로봇화된 남자와 여자로 도태되지 않기 위해서는 어서 모든 남성은 넥타이를 풀어버리고 모든 여성은 하이힐을 하이킥으로 걷어차 버리고 본연의 사람으로 돌아가 사람답게 살아 볼 일 아닌가. 더 이상 개 같이 살지 말고 말이다. 차라리 개보다는 고양이를 닮아 보는 건 어떨까. 여기서 우리 이병률 시인의 시 ‘고양이가 울었다’를 음미해보자. 

 

고양이 한 마리가 동네 골목에 살았다. 

검은 비닐봉지와 살았다. 

검은 봉지 부풀면 그것에 기대어 잠들었고 

검은 봉지 위로 빗물이 떨어지면 

그것을 핥아 먹으며 살았다. 

어느 날 검은 봉지가 사라졌다. 

바람에 날리기도 하였을 것이고 

누군가 주워가기도 하였을 것이나 

아주 어려서부터 기대온 

검은 봉지를 잃은 고양이는 

온 동네를 찾아 헤매다 죽을 것처럼 

아프기 시작했다. 

검은 봉지를 형제 삼아 지내 온 날들,

고양이가 울었다. 

잠든 형제를 위해 자꾸 자리를 비켜주던 날들, 

뼛속으로 뼛속까지 바람이 불었다. 

 

이 시를 장석주 시인은 이렇게 풀이한다. 만일 사람이 고양이라면 저마다 ‘검은 비닐봉지’와 같은 무엇을 갖고 산다고 할 수 있다. 돈이건 권력이건, 우정이건 우매한 자기 확신이건, 혹은 신앙이건 예술이건! 사람은 본질에서 고독하고 불안하고 무기력하기에 기댈 만한 무언가를 구한다. ‘검은 비닐봉지’는 그 자체로는 아무것도 아니지만, 인간적 욕망과 환상이 투사되면 장미 꽃봉오리나 무지개로, 목숨이나 신앙으로 변한다. 그걸 잃으면 정신줄을 놓고 죽을 것처럼 아프기도 할 것이다. 하기는 사람이 개만큼이라도 됐으면 좋겠다. 

 

미국의 유머작가 마크 트웨인(1835-1910)이 갈파했듯이 ‘굶주린 개에게 먹이를 주면 그 개는 널 물지 않는다. 이것이 개와 인간의 차이점이다’는 말을 새겨들어야 할 것이다.

 

 

[이태상]

서울대학교 졸업

코리아타임즈 기자

합동통신사 해외부 기자

미국출판사 Prentice-Hall 한국/영국 대표

오랫동안 철학에 몰두하면서

신인류 ‘코스미안’사상 창시

이메일 :1230ts@gmail.com

 

작성 2025.02.08 10:01 수정 2025.02.08 10:29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한별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