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기자: 한별 [기자에게 문의하기] /

문밖에서
아버지가 흐느끼는 소리를 들었다
나가보니
마루 끝에 쪼그려 앉은
빈 소주병이었다.
- 공광규, <소주병> 부분
어릴 적, 아버지는 술에 취해 집에 돌아오시면 자주 밥상을 뒤엎었다. 그러면 어머니는 말없이 다시 밥상을 차렸다.
내가 중학생이 되었을 때, 나는 밥상을 뒤엎으려는 아버지의 팔을 꽉 잡았다. 아버지는 물끄러미 나를 쳐다보더니 그대로 주저앉으셨다. 그 뒤로는 아버지는 한 번도 밥상을 뒤엎지 않았다. 수염이 거뭇거뭇 나고 목소리가 굵어지는 나의 눈치를 보기 시작했다.
어느 날, 저녁을 먹고 옆집 친구네 집에 가는데, 골목에 아버지가 서 계셨다. 흡사 검은 나무 한 그루 같았다. 너무나 쓸쓸해 보였다. 나는 조용히 아버지 곁을 지나쳐 갔다. 지금도 그때의 아버지 모습이 흑백 사진처럼 내 뇌리에 깊이 박혀 있다.
이 시대에 남자로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 우선 그들은 자신들의 감정을 꼭꼭 숨기고 살아간다. 그들의 철칙은 ‘남자는 울면 안 돼!’이다.
감정을 숨기고 살아가면, 삶 전체가 망가진다. 물질적으로 잘 살건 못 살건, 삶이 지리멸렬해진다. 사람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살아야 한다. 그러면 어떤 고통도 이겨낼 수 있다. 혼자 속으로 삭이지 말아야 한다.
남자들의 술잔에는 눈물이 반이라고 한다. 그들의 노년은 너무나 쓸쓸하다.
[고석근]
수필가
인문학 강사
한국산문 신인상
제6회 민들레문학상 수상.
이메일: ksk21ccc-@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