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7월 20일(일), ‘초복’을 맞아 전국적으로 보양식 소비가 증가하며, 삼복(三伏) 기간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초복은 여름철 가장 무더운 절기 중 하나로, 삼복더위의 시작을 알리는 날이다.
삼복(三伏)은 무엇인가?
삼복은 초복(初伏), 중복(中伏), 말복(末伏)으로 구성된 여름철 대표 절기로, 24절기의 하지 이후 세 번째, 네 번째, 그리고 입추 이후 첫 번째 경일(庚日)에 해당한다.
2025년 기준 삼복 일정은 다음과 같다.
초복 : 7월 20일 일요일
중복 : 7월 30일 수요일
말복 : 8월 9일 토요일
삼복 기간은 연중 기온과 습도가 가장 높아 열사병, 탈진, 면역 저하 등 건강 리스크가 커지는 시기로, 이 시기를 중심으로 건강 관리와 체력 보충의 전통문화가 발달했다.
보양식 소비 트렌드, 이열치열(以熱治熱)의 지혜 담겨
초복부터 말복까지는 삼계탕, 장어구이, 추어탕, 닭백숙 등 고단백 보양식 소비가 급증하는 시기로,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이열치열’이라는 건강 철학이 반영되고 있다. 특히, 외식업계는 삼복을 겨냥해 보양식 프로모션과 복날 한정 메뉴를 선보이며 매출 증대에 나서고 있다.
건강식 트렌드에 맞춰 저염, 저지방, 천연재료 기반의 보양식도 주목받고 있으며, 온라인 쇼핑몰과 배달 플랫폼에서도 복날 관련 키워드 검색량이 상승하고 있다.
전통 문화에서 힐링 시즌으로…삼복의 현대적 해석
최근 삼복은 단순히 더위를 피하는 기간이 아니라, 웰빙과 힐링의 계절 이벤트로 자리잡고 있다. 기업들은 직원 복지 차원에서 초복 점심 제공 행사를 운영하고, 지자체나 단체에서는 복날 보양식 나눔 캠페인을 통해 공동체 문화를 확산하고 있다.
또한 SNS에서는 #초복 #보양식 #복날음식 등의 키워드와 함께, 삼복과 관련된 정보성 콘텐츠와 레시피 공유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이는 전통문화가 현대 콘텐츠 소비 방식과 결합된 대표적인 사례로 분석된다.
초복을 시작으로 건강한 여름을 준비해야
전문가들은 “삼복 기간 동안 충분한 수분 섭취와 체온 관리가 중요하다”며, “폭염 대응과 더불어 영양 관리를 통해 면역력 유지를 위한 생활 습관을 실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2025년 여름, 초복을 기점으로 시작되는 삼복 기간은 단순한 계절적 구분을 넘어, 전통문화와 현대 건강관리 인식이 공존하는 시기로 주목받고 있다. 개인의 건강을 지키고, 공동체의 온기를 나누는 복날 문화가 지속적으로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