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세대(1995년~2010년 출생자)가 한국 사회의 주축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들은 이전 세대와는 다른 세계관과 행동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변화를 말하는 세대’가 아니라 ‘변화를 만들어내는 세대’로 평가받는다.
정치에서부터 사회참여, 소비문화까지 그들의 행동은 전통적 질서를 흔들고 있다. 특히 SNS를 통해 실시간으로 사회문제에 반응하고, ‘좋아요’ 한 번으로 끝나는 참여가 아닌, 행동으로 이어지는 실천력을 보여주며 새로운 세대의 영향력을 증명하고 있다.

과거 세대가 정치 참여를 ‘투표’로 한정했다면, Z세대는 ‘참여의 방식’을 새롭게 정의했다. 그들은 정치인을 신뢰하기보다 ‘이슈’를 중심으로 움직인다. 특정 정당에 대한 충성 대신 사회적 가치와 이슈를 기반으로 집단적 행동을 조직한다. SNS를 통해 해시태그 운동을 벌이고, 온라인 청원을 확산시키며, 불공정 이슈에는 즉각적인 불매운동으로 반응한다.
이들은 ‘정치적 중립’을 표방하기보다는 ‘정의감’을 행동으로 드러낸다. 즉, 이념보다는 공정, 신뢰, 투명성 같은 가치가 더 중요한 기준이다.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지만, 오프라인에서의 실천 또한 적극적이다. 최근 대학가에서 확산된 ‘젠더 평등 캠페인’, ‘환경 보호 챌린지’ 등이 그 대표적인 사례다. Z세대는 더 이상 ‘정치 무관심 세대’가 아니다. 그들은 ‘목소리를 내는 세대’이며, 그것을 ‘실질적 영향력’으로 연결시키는 주체다.
Z세대는 단순한 소비자가 아니다. 그들에게 소비는 곧 ‘자기표현’이며 ‘사회적 신념의 실현’이다. 제품의 기능보다 브랜드의 철학, 윤리, 환경적 책임을 더 중요하게 평가한다.
브랜드가 불공정하거나 비윤리적인 행동을 하면 즉시 ‘불매운동’으로 대응하고, 반대로 사회적 가치를 실천하는 기업에는 열렬한 지지를 보낸다. 예를 들어, 동물실험을 하지 않는 화장품 브랜드, 친환경 재료를 사용하는 패션 브랜드가 Z세대에게 인기를 끄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들은 가격보다 의미를, 편의보다 정체성을 선택한다. 이러한 ‘가치소비’는 단순한 트렌드가 아니라, 세대의 철학이자 사회운동의 한 형태다. 결과적으로 Z세대는 기업에게 ‘투명하고 윤리적인 경영’을 강요하며, 소비를 통해 사회 변화를 유도하는 새로운 소비문화를 창조하고 있다.
Z세대는 태어나면서부터 디지털 환경 속에서 자랐다. 이들에게 인터넷은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현실의 연장’이다. 그들은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와 감정을 공유하고, 특정한 사회문제에 대해 빠르게 의견을 모은다.
특히 틱톡, 인스타그램, 트위터(X) 등에서 ‘챌린지’, ‘릴스 캠페인’ 같은 형태로 확산되는 사회적 참여는 이들의 연대 방식을 잘 보여준다. 온라인에서 만들어진 담론이 오프라인 시위, 청원, 후원으로 연결되며 실제 변화를 만들어낸다.
이들은 전통적 미디어보다 ‘집단지성’을 신뢰한다. 뉴스를 보기보다 커뮤니티의 해석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며, 이를 다시 재생산해 새로운 여론을 만들어간다. 디지털 네이티브로서의 Z세대는 ‘정보를 소비하는 세대’가 아니라 ‘정보를 생산하고 확산시키는 세대’로 자리 잡았다.
Z세대는 더 이상 ‘어린 세대’가 아니다. 그들은 사회의 규범을 새로 쓰고 있으며, 정치적 참여, 소비, 사회운동 등 모든 영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들의 중심에는 ‘진정성’과 ‘가치’가 있다.
Z세대의 행동은 단순히 트렌드가 아니라, 미래 사회의 방향성을 보여주는 나침반이다. 앞으로의 한국 사회는 이들의 철학과 실천력 위에서 재구성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