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사진=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가 전국 10개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활력증진 자원봉사 지원사업’을 추진하며, 인구감소와 지역고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력형 봉사모델을 확산하고 있다. 지자체와의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내년에는 사업의 범위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센터장 김의욱)는 인구감소, 사회적 고립 등 지역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자원봉사로 해결하기 위해 추진한 ‘지역사회 활력증진 자원봉사 지원사업’을 통해 전국 10개 지역에서 다양한 협력모델을 구축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자원봉사센터가 중심이 되어 지방자치단체, 민간기관, 주민, 자원봉사자가 함께 참여하는 협력형 모델로, 지역의 지속 가능한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단순한 봉사활동을 넘어 지역 공동체의 회복과 자발적 참여문화를 형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충남 태안군자원봉사센터의 ‘새이웃 프로젝트’가 꼽힌다. 지역에 새로 전입한 주민들이 정착 과정에서 겪는 관계 단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된 이 사업은 전입자와 원주민을 1:1로 연결하는 ‘관계안내인’ 봉사활동을 통해 지역 정착에 필요한 정보와 자원을 제공하고, 자연스러운 이웃 관계 형성을 돕는다. 태안군수와 6개 읍·면 주민자치회가 참여한 업무협약(MOU)을 바탕으로 2026년에는 군 전역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또 다른 주요 사례인 경북 칠곡군종합자원봉사센터의 ‘삶 공유정거장’ 프로젝트는 한센병으로 단절된 마을의 공동체 회복을 위해 추진됐다. 칠곡군은 마을 내 공소성당을 문화·관광 중심지로 재생해 주민들의 교류공간으로 활용하고, 심리적 회복을 지원하는 봉사활동을 펼쳤으며, 지난달 칠곡군과 천주교 대구교구 등이 참여한 업무협약을 통해 내년도 사업 확장을 준비하고 있다.
이 밖에도
시흥·부평은 선주민과 이주민이 함께하는 다문화 통합활동을 전개했고,
강원 고성·경남 고성은 전입세대의 정착을 돕는 지원사업을 운영했다.
경북 예천과 경남 하동은 자원봉사와 관광을 결합한 ‘볼룬투어’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었으며,
전북 고창은 마을 유휴공간을 지역거점으로 재생해 주민 중심의 교류공간을 마련했다.
각 지역은 올해의 성과를 토대로 내년도 자체 예산을 확보하고 있으며, 지방소멸대응기금과 고향사랑기부제 등 다양한 재원 활용 방안을 검토 중이다.
김의욱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장은 “자원봉사센터가 이제는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지자체와의 연계를 통해 자원봉사가 지역단위 사회혁신의 실질적 동력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