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모의 반응이 아이의 신경계를 만든다
“아이를 바꾸려면 먼저 부모의 시선을 바꿔야 한다.” 이 말은 단순한 훈육 철학이 아니라, 신경과학적으로도 증명된 진실이다. 미국 예일대 아동정신의학과의 앨런 카즈딘(Alan Kazdin) 교수 연구에 따르면, 부모의 반응 방식은 아이의 스트레스 호르몬 조절, 전전두엽 발달, 그리고 감정 통제 능력에 직접적 영향을 준다.
틱 증상, 공격적 행동, 불안, 감정폭발 등으로 고통받는 아이들은 대부분 “감정조절의 미성숙”이라는 공통된 어려움을 갖는다. 그리고 그 조절력은 부모-아이 간의 관계적 안전감(relationship safety) 속에서 성장한다. 해오름한방병원 심리발달센터가 주목한 것도 바로 이 지점이다.
단순히 ‘증상’을 고치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뇌가 안정감을 배우는 환경을 다시 만들어주는 것이다. 아이의 감정은 부모의 표정, 어조, 시선에서 신호를 읽는다. 혼내기보다 ‘연결하기’를 선택한 부모의 작은 변화가, 아이의 신경회로를 재구성한다. 이것이 바로 PCIT — 부모-자녀 상호작용치료(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의 핵심 철학이다.
PCIT, 관계를 바꾸는 치료의 과학
PCIT는 1970년대 플로리다 대학의 셸리 아이버그(Sheila Eyberg) 박사에 의해 개발된 치료법이다. 이후 50년간 미국, 유럽, 아시아 각국에서 임상적으로 검증되어 왔다. 특히 2021년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에 실린 메타분석 논문에 따르면, PCIT는 공격성 감소, 틱 빈도 완화, ADHD 관련 행동 조절 향상, 부모 스트레스 감소 등 다양한 영역에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보고됐다.
PCIT의 핵심은 ‘관계의 재훈련’이다. 부모가 치료실에서 실시간 코칭을 받으며, 칭찬, 묘사, 반영(reflective response) 같은 긍정적 상호작용 기술을 배우고, 부정적 통제나 잔소리를 줄인다. 이 과정을 통해 아이는 “나는 존중받는 존재야”라는 정서적 안전감을 회복하고, 그 결과 자기조절(self-regulation) 능력이 강화된다.
틱장애 아동의 뇌에서 자주 관찰되는 기저핵(basal ganglia)의 과활성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더욱 심해진다. 그러나 안정된 부모의 반응은 **미주신경(vagus nerve)**을 자극해 아이의 자율신경계를 안정시키고, 틱 반응을 완화시킨다. 즉, PCIT는 단순한 심리치료를 넘어, 신경생리학적 안정 기반 치료라 할 수 있다.
틱과 감정조절장애에 왜 PCIT가 효과적인가
틱 증상은 단순한 습관이 아니다. 그것은 아이의 신체가 감정적 불안을 해소하려는 생리적 언어다. 특히 불안, 분리불안, 분노조절 어려움을 보이는 아이들에게서 틱은 ‘몸으로 하는 감정표현’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부모가 이 반응을 “잘못된 행동”으로 해석하면, 아이는 ‘두려움’이라는 이중 스트레스를 받는다. 결과적으로 틱은 더 심해지고, 관계는 더 멀어진다.
여기서 PCIT의 접근은 다르다. 행동 교정보다 ‘정서 조율’이 먼저다. 치료자는 부모에게 다음과 같은 코칭을 제공한다. “지금 아이는 불안해서 틱이 나오는 거예요. 반응하지 말고, 아이의 감정을 먼저 말로 대신해 주세요.” “칭찬은 구체적으로, 즉시 하세요. ‘너 잘했어’보다 ‘지금 조용히 기다린 거 정말 멋졌어’처럼요.” “아이가 통제력을 느낄 수 있게 선택지를 주고, 작은 성공을 반복하게 하세요.”
이런 훈련을 통해 부모는 ‘통제자’가 아닌 ‘조력자(co-regulator)’로 변화한다. 연구에 따르면(Thomas et al., Child Psychiatry & Human Development, 2020), PCIT를 받은 틱장애 아동의 73%가 12주 이내에 증상 감소를 보였으며, 6개월 추적 연구에서도 그 효과가 유지됐다. 즉, PCIT는 단기적 행동 교정보다 지속 가능한 자기조절 능력을 길러주는 치료다.
해오름한방병원 심리발달센터의 통합적 접근
해오름한방병원 심리발달센터의 PCIT 프로그램은 단순한 모방이 아니다. 이곳은 한방 신경조절치료, 감각통합치료, 언어·정서 코칭을 함께 결합한 통합형 치료 시스템을 운영한다. 즉, 몸과 마음을 동시에 안정시키는 ‘양방향 치료’다. 한방에서는 아이의 자율신경계 불균형을 조절하기 위해 침·약침·한약 치료를 병행해 심신 안정(心身安定)을 돕는다. 동시에 PCIT 세션을 통해 부모와 아이가 다시 소통하는 ‘관계 회복의 장’을 마련한다.
이는 단순한 병원 치료가 아니라, 가족 전체의 회복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심리발달센터는 부모를 단순한 교육 대상이 아닌, 치료의 ‘공동 치료자(co-therapist)’로 본다. 즉, 아이가 변화하려면, 부모의 뇌도 함께 변해야 한다는 과학적 근거를 실천에 옮기는 것이다.
아이의 틱, 불안, 분노, 감정조절 문제는 부모-아이 간의 정서 교류 회로 속에서 치유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연결(connection)’이 있다.
우리는 종종 아이의 문제를 ‘고쳐야 할 대상’으로 본다. 하지만 PCIT의 철학은 그 반대다. 아이의 뇌는 사랑받을 때 성장하고, 연결될 때 안정된다. 틱은 고쳐야 할 버릇이 아니라, 도움을 요청하는 몸의 언어다. 그 언어를 이해하려는 부모의 태도 변화가, 아이의 회복을 이끈다. 해오름한방병원 심리발달센터의 PCIT 프로그램은 그런 회복의 첫걸음을 돕는다. 아이의 신경계는 부모의 품 안에서 재구성된다. 혼내기보다 연결하기, 지시보다 공감하기 — 그것이 진짜 치료의 시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