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분의 커피타임, 50%의 업무 효율 향상? 조직을 살리는 소통의 마법

잡담은 낭비가 아니다: 업무 몰입의 리듬을 만든다

하버드·MIT 연구가 밝힌 짧은 대화의 생산성 효과

한국 기업의 잡담 문화, 이제는 전략으로 관리해야 한다

과거에는 업무 중 잡담을 비효율의 상징으로 여겼지만, 최근 데이터는 이 통념을 정면으로 뒤집는다 /이미지=AI 생성

“잡담이 시간 낭비라고요? 데이터는 정반대다”

회사에서 커피 한 잔을 들고 나누는 5분짜리 대화. 이 짧은 ‘잡담’이 오히려 조직의 생산성을 끌어올린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과거에는 업무 중 잡담을 비효율의 상징으로 여겼지만, 최근 데이터는 이 통념을 정면으로 뒤집는다. 

 

하버드비즈니스리뷰(HBR)는 2023년 연구에서 “짧고 비공식적인 대화가 팀의 응집력, 몰입도, 문제 해결 속도를 유의미하게 높인다”고 밝혔다. 특히 “하루 10분 이하의 잡담이 있는 팀은 그렇지 않은 팀보다 평균 25~50% 높은 협업 효율을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이는 단순한 커뮤니케이션이 아니라, 신뢰와 공감대를 형성하는 심리적 연결이 성과로 이어진 결과다.

 

 

잡담은 낭비가 아니다: 업무 몰입의 리듬을 만든다

미국 MIT 휴먼다이내믹스랩(Human Dynamics Lab)의 알렉스 펜트랜드 교수 연구에 따르면, 업무 중 자연스러운 잡담 빈도가 높은 팀일수록 창의적 문제 해결력이 뛰어났다. 그의 연구진은 21개 기업의 2,500여 명을 대상으로 ‘대화 빈도와 생산성’을 추적했는데, ‘비공식 대화가 활발한 팀’이 생산성 지표 20~30% 향상, 직원 만족도 40% 이상 상승이라는 결과를 보였다.

 

잡담은 단순한 휴식이 아니라 ‘인지적 리셋(Cognitive Reset)’의 역할을 한다. 짧은 대화는 뇌의 전두엽 피로를 완화하고, 다시 집중력을 끌어올리는 생리적 효과가 있다. 실제로 도쿄대 뇌과학연구소의 2022년 실험에서는 “5분간 동료와 대화한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과제 정확도가 37% 높았다”고 발표했다.

 

 

하버드·MIT 연구가 밝힌 짧은 대화의 생산성 효과

하버드대 조직심리학자 로버트 서튼 교수는 “잡담은 팀 내 신뢰의 지표”라고 말한다. 그의 실험에 따르면, 매일 짧은 대화를 나누는 팀은 문제 상황 발생 시 더 빠른 의사결정을 내리고, 갈등이 적었다. 그 이유는 ‘잡담을 통해 축적된 미묘한 사회적 단서(social cues)’가 팀의 감정 조절과 신뢰 형성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또한, 슬랙(Slack)·구글 등 글로벌 기업은 이러한 데이터를 조직 운영에 적극 반영하고 있다. 예컨대 구글의 ‘프로젝트 아리스토텔레스(Project Aristotle)’에서는 팀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심리적 안전감(psychological safety)’을 꼽았으며, 이 안전감의 핵심은 “공식 회의 외의 비공식적 대화”에서 비롯된다고 결론지었다.

 

 

조직문화와 신뢰를 키우는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의 힘

한국에서도 변화가 감지된다. 삼성전자는 2024년부터 팀별 ‘커피챗 데이’를 공식 도입해, 업무 외 자유 주제로 15분씩 대화하는 시간을 의무적으로 배정했다. LG CNS는 사내 소셜플랫폼에서 ‘업무 외 대화 채널’ 참여도를 KPI 중 하나로 포함시켰다. 그 결과, 사내 만족도 지수 18% 상승, 퇴직률 11% 감소라는 긍정적 결과가 나타났다.

 

기업문화 전문가들은 이 같은 변화를 ‘조직의 심리적 체력’ 강화로 해석한다. 잡담은 단순한 스트레스 해소를 넘어, 동료 간 신뢰와 친밀감을 강화하여 협력적 환경을 만드는 “감정적 윤활유” 역할을 한다.

 

기업이 진정한 효율을 추구한다면, 이제는 ‘잡담을 통제’할 것이 아니라 ‘전략적으로 설계’해야 한다 /이미지=AI 생성

“잡담의 품질이 곧 조직의 성과다”

잡담은 더 이상 방해 요소가 아니다. 데이터가 보여주듯, 그것은 업무의 ‘간격’이 아니라 ‘연결’이다. 짧은 대화 속에서 신뢰가 쌓이고, 유연한 협력이 만들어진다. 기업이 진정한 효율을 추구한다면, 이제는 ‘잡담을 통제’할 것이 아니라 ‘전략적으로 설계’해야 한다. 5분의 커피타임이 결국 50%의 효율을 만드는 이유는 간단하다. 사람은 기계가 아니라, 관계로 일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작성 2025.11.01 22:58 수정 2025.11.01 22:58

RSS피드 기사제공처 : 커리어온뉴스 / 등록기자: 박소영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