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유엔해비타트(UN-Habitat)와 중국 상하이시가 주관하는 ‘UN 글로벌 지속가능발전 글로벌 도시 지속가능 발전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시는 지난달 31일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2025 세계 도시의 날(World Cities Day)’ 기념식에서 도시상’을 수상했다.
‘UN 글로벌 지속가능발전 도시상’은 도시의 사회·경제·환경적 균형 발전을 이룬 모범 도시를 선정하는 상으로, 2023년부터 시행돼 올해로 3회째를 맞았다.
그동안 호주 멜버른, 카타르 도하, 중국 푸저우, 모로코 아가디르, 말레이시아 조지타운 등 다양한 대륙의 도시가 수상 도시로 이름을 올렸다.
올해는 인천을 비롯해 핀란드 에스포, 사우디아라비아 메디나, 콜롬비아 보고타, 알제리 알제가 ‘지속가능발전 도시모델’로 선정됐다.
전 세계 85개 도시가 참여한 치열한 경쟁 속에서 인천은 최종 후보 15개 도시 에 올라, ‘경제성장과 기후회복력 등의 성과를 인정받았다.
인천의 수상 배경에는 ‘포용적 도시정책’과 ‘기후행동 중심의 성장전략’이 자리하고 있다.
대표적인 정책인 ‘천원주택’은 저출산 시대에 대응하는 공공임대주택 모델로, 사회적 약자의 주거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2025년부터 매년 1000호 규모로 공급될 예정이며, 올해 500호 모집에서는 7.3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또한 지능형 교통체계(ITS) 구축사업을 통해 교통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대중교통 편의성을 개선했다.
이는 시민의 이동권을 강화하면서 에너지 효율과 탄소저감 효과를 동시에 거두는 성과로 평가받았다.
인천은 2013년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을 유치한 이후 기후 금융과 녹색 개발의 국제 중심지로 자리매김했다.
2022년 ‘2045 탄소중립 선언’을 통해 도시 차원의 탄소 감축 목표를 선제적으로 제시했으며, 북큐슈·방콕 등 국제 도시로 확산되는 탄소중립 협력 모델을 이끌고 있다.
이 밖에도 2008년부터 몽골 조림사업을 후원하며 UNEP의 ‘10억 그루 나무 심기 캠페인’에 기여하는 등 국제적 기후 행동에 꾸준히 동참해 왔다.
시는 수상 다음 날 보고타 아고라 컨벤션에서 열린 ‘도시 네트워크 특별 세션’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 사례를 발표했다.
황효진 글로벌도시정무부시장은 인천의 새로운 도시 의제(New Urban Agenda) 추진 현황과 지속가능 전략을 공유하며 “경제·환경·사회가 균형을 이루는 도시 모델로서 인천이 국제 사회와 연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사례는 ‘Shanghai Manual 2025 연례 보고서’와 UN-Habitat의 NUA 플랫폼에 공식 수록됐 세계 각국의 정책 연구와 교육에 활용될 예정이다.
인천의 글로벌 위상은 이번 수상 이전부터 주목받고 있었다.
세계 컨설팅기업 커니(Kearney)가 발표한 ‘2025 글로벌 도시전망(Global Cities Outlook)’과 ‘글로벌 도시 지수(Global Cities Index)’에서 인천은 각각 55위와 84위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순위권에 진입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인천은 혁신적 도시정책이 국제적 인정을 받은 결과”라며 “경제성장과 환경보전을 위한 ‘Global Top 10 City Incheon’ 위해 지속 가능한 발전 전략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