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단 민간사전청약 피해자 3천명, 분양가 인상 의혹 제기

인천 검단신도시 호반3차 아파트 사전청약

분양가 31.8% 급등, 900세대 3천여 명 피해

■ 개요 

2022년 사전청약을 통해 당첨된 인천 검단신도시 호반3차 아파트 입주예정자 900세대(약 3천 명)가 본청약 단계에서 약 1억 원(31.8%)이 급등한 분양가를 통보받아 극심한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사전청약 당시 4억 6천만 원이었던 84㎡(33평) 최고층 분양가가 2025년 본청약에서 5억 5천만 원으로 책정되었으며, 건설사와 지자체는 명확한 설명 없이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 

 

사진: 호반건설 광고사진

 

■ 주요 내용 

1. 피해 현황 

대상: 인천 검단신도시 AB13블록 호반걸선(주) 호반3차 아파트 900세대 

당첨 시기: 2022년 (경쟁률 79:1) 

사전청약 분양가: 4억 6천만 원 (84㎡ 최고층 기준) 

본청약 분양가: 5억 5천만 원 (약 9천만 원 상승, 31.8% 증가) 

계약 마감: 2025년 11월 4일까지 계약 의사 결정 (미이행 시 당첨자 지위 포기) 

2. 분양가 산정의 문제점 

대지비 고정: 인천도시공사(국유지) 분상제로 대지비는 변동 없음 

건축비 불일치: 2022년 사전청약 시 평당 건축비 708만 원 → 2025년 현재 수도권 표준 건축비 718만 원(국토부 통계)으로 큰 차이가 없음에도 분양가만 급등 

근거 불투명: 건설사는 상세한 공급가액 명세 없이 '평당 분양가 1,638만 원'만 통보 

정보 제공 거부: 층별·타입별 상세 가격은 계약 체결 후에만 제공한다는 입장 

3. 건설사와 지자체의 책임 회피 

호반건설: "인천 서구청에서 분양가 심의 승인을 받았으니 구청에 문의하라. 우리는 자료 제공 의무가 없다"는 입장 

인천 서구청: 담당자 부재 및 회의 중을 이유로 피해자들의 면담 요청 회피 

분양가 심의 자료 비공개: 피해자들이 요구하는 분양가 심의 자료 제공 거부 

4. 사전청약 vs 본청약 비교

구분 

2022년 사전청약 

2025년 본청약 

분양가 (84㎡) 

4억 6천만 원 

5억 5천만 원 

평당 건축비 

708만 원 

718만 원 (국토부 표준) 

증가율 

- 

31.8% ↑ 

■ 제도적 배경과 문제점 

사전청약 제도는 정부가 2기 신도시의 주택 공급 물량을 늘리기 위해 도입한 정책이다. 그러나 이번 사례는 민간 사전청약의 구조적 문제점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공공분양 사전청약: LH가 피해 보상 시행 (관련 보도 多) 

민간 사전청약: 제도적 사각지대에 방치, 피해자 구제 장치 전무 

언론 보도: 다수 언론이 '대국민 사기극'으로 규정하며 제도 개선 촉구 

■ 피해자 증언 

"나이 50에 평생 내 집 하나 없다가 79:1의 경쟁률을 뚫고 어렵게 당첨되었습니다. 당시 얼마나 기뻤는지 모릅니다. 그런데 3년이 지난 지금, 아무런 설명도 없이 1억 원을 더 내라고 합니다. 층별·타입별 상세 가격도 계약해야 알려준다고 하니 이게 말이 됩니까? 건설사는 구청 탓, 구청은 대답도 안 하고... 우리는 어디에 하소연해야 합니까?" 

■ 피해자들의 요구사항 

분양가 심의 자료 즉각 공개: 인천 서구청은 분양가 심의 과정과 승인 근거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함 

분양가 산정 내역 제공: 호반건설은 층별·타입별 상세 공급가액과 건축비 증가 근거를 사전 제공해야 함 

계약 기한 연장: 11월 4일 계약 마감일을 연장하여 충분한 검토 시간 보장 

제도 개선: 민간 사전청약 피해자를 위한 구제 장치 마련 및 관련 법규 정비 

■ 참고자료 

1. LH 공공분양 사전청약 보상 관련 보도: https://www.naeil.com/news/read/526744 

  (민간 사전청약자들은 보상 대상에서 제외되어 사각지대에 놓임) 

2. '대국민 사기극' 보도 자료: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70910171455328 

■ 맺음말 

이번 사태는 정부 주도 정책의 피해가 국민에게 고스란히 전가되는 전형적인 사례다. 900세대 3천여 명의 서민들이 평생 모은 돈으로 내 집 마련의 꿈을 꾸었으나, 불투명한 분양가 산정과 책임 회피로 인해 극심한 고통을 받고 있다. 관계 당국의 즉각적인 조사와 시정 조치가 필요하다. 

작성 2025.11.02 10:47 수정 2025.11.04 21:29

RSS피드 기사제공처 : 리얼엣셋타임즈 / 등록기자: 임성숙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