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의 역사는 분열과 파괴의 반복이다.
크고 작은 공동체 안에서 끊임없이 일어나는 다툼과 파열음, 거기에는 언제나 시기와 질투라는 그림자가 함께한다. 가깝게는 직장에서의 경쟁, 가정 안에서의 비교, 교회 공동체 안에서도 드러나는 감정의 균열들. 사람은 본성적으로 ‘인정받고 싶다’라는 욕구를 품고 살아가기 때문이다. 그 인정은 단순한 지적보다, 따뜻한 ‘칭찬’이라는 언어로 표현될 때 진정한 힘을 갖는다.
한때 ‘인기 도서’였던 이 책을 통해 ‘정말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할까?’라는 다소 익살맞은 질문을 해 본다. 사실, 이 표현은 이 시대의 깊은 결핍을 건드리는 ‘울림’이다. 고래처럼 거대한 존재도, 그 무게와 크기를 뛰어넘어 춤추게 만드는 것은 물리적 힘이 아닌, 정서적 자극이라는 은유.
그렇다면, 하물며 하루하루 삶의 무게에 지친 사람들은 어떠한가? 그들에게 건네는 ‘잘했어요’, ‘고마워요’, ‘당신 덕분이에요’라는 말 한마디가 얼마나 큰 힘이 될 수 있을까?
말 한마디의 무게, 가치로 따진다면 그 값은 대체 얼마나 될까?
한 청년이 있었다. 그는 여러 차례 입사 실패로 삶의 의욕을 잃고 있었다. 늘 고개를 떨군 채 하루를 버티듯 살아가던 어느 날, 작은 카페에서 일자리를 얻게 되었다. 일을 배우는 내내 어색하고 서툴렀지만, 카페 사장은 그 청년에게 매일 말했다. “오늘도 수고했어요. 당신 덕분에 이 공간이 밝아졌어요.” 그 한마디에, 청년은 다시 고개를 들고 웃기 시작했다. 지금 그는 작은 창업을 준비하는 사장님이 되었다.
칭찬은 그저 감정의 표현이 아니다.
그것은 존재를 인정해 주는 영혼의 안수(按手)이다. 인간의 깊은 내면에는 늘 ‘내가 괜찮은 사람인가?’라는 질문이 흐르고 있다. 이 질문에 누군가가 ‘그렇다’고, 당신은 귀하고 소중하다고 응답해 줄 때, 사람은 살아갈 이유를 발견하게 된다.
범사에 감사하겠다고 늘 고백하는 사람들조차 다른 사람을 칭찬하는 데는 매우 인색하다. 왜일까?
기독교인이라면 누구나 암송하는 말씀, “범사에 감사하라.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데살로니가전서 5:18)”. 그러나, 정작 감사의 표현이 언어로 나오지 않고, 칭찬과 격려는 인색하기 짝이 없다. 오히려, 우리는 ‘혹시 교만해질까 봐’, ‘오해할까 봐’, ‘별일도 아닌데’라는 핑계로 칭찬을 미루고 있다.
진심 어린 칭찬은 존재에 대한 환영이다.
칭찬은 교만을 낳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단지 성과에 대한 보상이 아니라, 그 사람 자체를 인정하는 행위다. 인간은 칭찬받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칭찬받을 가치가 있기 때문에 존재하는 것이다. 이것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은 인간에 대한 성경적 관점이다.
이제 시기와 질투 대신, 칭찬의 문화를 심어라.
조직에서의 파열음, 교회 안에서의 분열, 가정 안의 냉전은 대개 '인정받지 못했다는 감정'에서 시작된다. “나는 왜 무시당하지?”, “내 수고는 왜 보상받지 못하지?”라는 서운함이 누적될 때, 사람은 자신도 모르게 공격적이 되거나 회피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가장 강력한 해결책은, 의도적이고 꾸준한 칭찬의 습관화다. 칭찬은 상대의 장점을 키우고, 약점을 덮는다. 부모가 자녀를 향해 “넌 정말 생각이 깊구나”라고 자주 말할수록, 그 자녀는 실제로 깊은 성찰력을 지닌 아이로 자라난다. 반대로 “넌 왜 항상 실수하니?”라는 반복된 질책은, 자녀를 스스로 가능성을 포기하게 만든다.
말은 씨앗이고, 칭찬은 생명을 낳는다.
성경에서 보면, 예수님도 칭찬하셨다. 복음서를 보면, 예수님은 놀랍도록 자주 칭찬하셨다. 간음하다 잡힌 여인을 향해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않겠다”라고 하신 말씀은, 심판이 아니라 존엄성의 회복이었다. 백부장의 믿음을 칭찬하셨고, 과부의 두 랩 돈 헌금에도 감탄하셨다. 예수님은 누구보다 정확한 심판자이셨지만, 동시에 가장 따뜻한 ‘칭찬 자’셨다. 그리고, 그 칭찬은 사람을 변화시켰다.
말의 부흥이 삶의 부흥을 이끈다.
우리는 지금 ‘말의 부흥’을 회복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매일 쏟아지는 혐오의 언어, SNS상의 조롱과 냉소, 가정과 교회 안에서 무심코 던지는 비판들 속에서, 사람들은 점점 작아지고 있다. 그러나, 한마디 칭찬은, 무너진 내면을 일으켜 세우고, 꺼져가던 열정을 다시 타오르게 한다.
말이 바뀌면 태도가 바뀌고, 태도가 바뀌면 공동체가 바뀐다.
진심 어린 칭찬은 기적의 불씨다. 그 말 한마디가, 누군가의 인생 전체를 바꿀 수 있다.
당신은 오늘, 누구에게 칭찬 한마디를 건넬 것인가?
"혹시, 당신의 한마디 칭찬이 오늘 누군가의 인생을 춤추게 할 수 있다는 걸 믿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