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을 이해하는 가장 아름다운 방법 — 부모님 자서전 쓰기의 힘

“잘 쓰지 않아도 괜찮다” — 마음을 담는 글이 진짜 자서전이다

“부모님의 목소리를 들어주는 시간” — 자서전의 시작은 경청이다

“거창하지 않아도 된다” — 기억의 실마리로 시작하는 글쓰기

 

부모님을 이해하는 가장 아름다운 방법 — 부모님 자서전 쓰기의 힘

 


흥미로운 시작:

우리는 '자서전'이라고 하면 "잘 써야 한다," "감동적인 글을 만들어야 한다"는 부담부터 느낀다. 하지만 부모님 자서전은 문학 작품이 아니다. 그건 부모님이 살아온 시간의 조각을 따뜻하게 붙여가는 일이다. 자서전을 잘 쓰려고 애쓸 필요는 없다. 오히려 "잘 쓰려는 마음"이 부모님을 멀게 만든다. 부모님의 삶을 글로 남긴다는 건, 문장을 다듬는 일이 아니라 사람의 마음을 듣는 일이다. 잘 쓴 글보다, 진심이 담긴 한 문장이 부모님의 마음을 더 깊이 전한다.

 

부모님의 자서전은 거창한 인생사가 아니라, “그때 그 시절, 당신이 가장 자주 이야기하던 일상”에서 출발한다. 한때 즐겨 들었던 노래, 어린 시절 고향 이야기, 첫 직장에서 만난 친구 이야기, 그런 소소한 기억이 부모님 삶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 작은 이야기부터 시작하면 된다.

 


 

“잘 쓰지 않아도 괜찮다” — 마음을 담는 글이 진짜 자서전이다

 

‘자서전’이라는 말에는 왠지 무게가 실린다. 하지만 부모님의 자서전은 기록의 기술이 아니라 공감의 기술이다. 어려운 언어도, 특별한 문체도 필요 없다. 그저 부모님이 들려주셨던 이야기를 있는 그대로 옮겨 적으면 된다.

 

글을 쓰는 동안 가장 중요한 건 ‘들어주는 마음’이다. 부모님은 평생 가족을 위해 살아오며, 자신의 이야기를 미뤄두고 사셨다. 그 이야기를 누군가 진심으로 들어주는 것, 그 자체가 이미 사랑의 표현이다. 부모님의 자서전을 쓴다는 것은, 그분의 삶을 기록하는 동시에 “당신의 이야기가 소중하다”는 메시지를 전하는 일이다. 잘 쓰는 글보다 중요한 건, 마음을 함께 나누는 시간이다.

 

 

“부모님의 목소리를 들어주는 시간” — 자서전의 시작은 경청이다

 

많은 사람들이 "부모님 자서전을 써야겠다" 마음을 먹지만, 막상 시작하려면 막막하다. 무엇을 써야 할지 모르겠고, 혹은 너무 오래된 기억이라 두렵기도 하다. 하지만 시작은 어렵지 않다. 부모님이 자주 말씀하시던 이야기부터 적어보자. "아버지가 어릴 때 강에서 물고기를 잡았던 이야기," "어머니가 고향에서 첫 월급으로 가족에게 사과를 사오셨던 이야기." 그 이야기들이 바로 부모님 인생의 한 문장이 된다.

 

자서전 쓰기의 진짜 목적은 ‘기억의 완성’이 아니라, 이해의 시작이다. 글을 쓰며 부모님과 대화하다 보면, 그때 왜 그런 선택을 하셨는지, 어떤 감정이었는지 조금씩 알게 된다. 그 순간, 우리는 부모님을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바라보게 된다. 그 변화는 부모님께는 위로가 되고, 자녀에게는 배움이 된다.

 

 “거창하지 않아도 된다” — 기억의 실마리로 시작하는 글쓰기

 

부모님의 자서전은 남기기 위한 글이 아니라, 함께 쓰는 과정 자체가 선물이다. 부모님은 기억을 되살리며 자신의 삶을 다시 정리하고, 자녀는 그 이야기를 들으며 부모님을 새롭게 이해하게 된다. "엄마, 그땐 힘드셨죠?" "아버지, 그 일은 어떻게 된 거였어요?" 그 짧은 질문이 부모님의 마음을 열고, 그 답이 곧 글이 된다.

 

이 대화 속에는 시간의 층이 쌓인다. 자녀는 부모님이 겪었던 시대를 이해하고, 부모님은 자녀가 궁금해 하는 마음을 느끼며, 서로의 거리가 좁혀진다. 자서전을 쓰는 동안, 부모님은 자신이 얼마나 큰 삶을 살아왔는지 깨닫게 된다. 그리고 자녀는 부모님의 인생이 단지 ‘가족의 배경’이 아니라, 한 인간의 역사였음을 알게 된다.

 

 

“글보다 마음” — 부모님과 함께 나누는 대화의 기록

 

부모님 자서전은 ‘완성’을 위한 글이 아니다. 그건 사랑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글로 남기는 건 결국 “당신을 이해하고 싶었다”는 고백이다. 잘 쓰지 않아도 괜찮다. 한 줄이라도 부모님의 기억을 적는 순간, 그 글은 이미 세상에 단 하나뿐인 가족의 역사다.

 

오늘 부모님께 이렇게 말해보자. "엄마, 아빠 — 그때 이야기를 조금만 더 들려주세요." 그 한마디면 충분하다. 그 이야기가 시작되는 순간, 부모님의 삶은 글이 되고, 그 글은 곧 가족을 잇는 가장 아름다운 대화가 된다.


 

지금 부모님께 대화의 문을 열어보자. “그때는 어땠어요?”라는 질문 하나가 자서전의 첫 문장이 된다.

 

작성 2025.11.03 02:34 수정 2025.11.03 02:34

RSS피드 기사제공처 : 브레인 톡톡 뉴스 / 등록기자: 소민소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