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회생 가능한가

인수의향서 접수 회생절차 지속 기로

홈플러스는 회생 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위한 인수의향서를 지난(31일) 오후 3시까지 받았습니다.

복수의 기업이 인수 의향서를 제출한 걸로 알려지는데

지난 3월4일 회생절차 개시 이후 인수자를 찾고있는 홈플러스는 새 주인을 찾아 기업회생 절차

(법정관리)를 지속할지 중대한 갈림길에 놓였습니다.

홈플러스 매각 주간사인 삼일회계법인은 우선 협상 대상자부터 찾는 '스토킹 호스' 방식으로 M&A를 

진행해오다 진전이 없자 지난 2일 공개경쟁 입찰 공고를 냈습니다.

홈플러스는 인수의향서를 낸 후보자가 있으면 다음 달 3∼21일 예비 실사를 거쳐 같은 달 26일 최종 

입찰서를 받을 계획입니다.


하지만 이날까지 인수의향서를 낸 곳이 없으면 홈플러스의 회생 절차 지속 여부가 불투명해집니다.

홈플러스는 회생계획안 제출 마감 시한을 지난 6월 3일에서 네차례 연장 끝에 다음 달 10일로 늦춰놓은 

데 이어 5차 연장을 법원에 요청할 계획을 세웠습니다.

늦더라도 홈플러스는 이번 달 10일까지 인수 후보자를 찾아야 하지만, 이때까지 인수의향자가 없으면 

법원이 기한 연장 요청을 받아들여 줄지 미지수입니다.

만약 법원이 회생절차 폐지 결정을 내리면 홈플러스가 회생절차를 다시 신청하는 재도의(재신청)에 

나설 수 있으나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는 한 받아들여질 가능성도 작아집니다.

현재 홈플러스 대형마트는 123개, 슈퍼마켓인 홈플러스 익스프레스는 297개로, 홈플러스가 파산하면 

직영직원 2만명과 협력업체 직원 등 10만명의 노동자가 일자리를 잃을 위기에 놓이게 됩니다.

최근 국정감사에서 농협이 홈플러스 인수 후보로 거론됐으나 의향서를 낼지는 의문입니다.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국감장에서 "농협유통과 하나로유통이 연간 400억원씩 800억원 적자가 나고 

직원 200명 이상을 구조조정했다"며 홈플러스 인수가 어렵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홈플러스 인수 합병 절차 무산 시 직원들의 근로 지속 여부도 최근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해고 소득 단절 등의 사태에 대비해 

법무법인 서해 도산 전문 전택윤 변호사는 실업급여 

수령시 에도 파산면책이 가능하며 이직 직후 에도 개인회생 신청이 가능하다 밝혀 화재가 되고 있습니다.
 

작성 2025.11.03 11:23 수정 2025.11.04 11:04

RSS피드 기사제공처 : IT경제신문 / 등록기자: 한상훈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