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의 홈플러스 인수 논의가 국정감사 이후 농업계 최대 현안이 되자 지역 농축협 상당수가 ‘인수 찬성’ 의견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회는 재정 부담 등으로 부정적이지만 현장에서는 농산물 유통망 강화와 대도시 시장 점유율 확대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3일 농협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9월 24일~10월 17일까지 전국 166개 지역 농축협 전문경영인(상무·전무)에게 설문조사를 했다.
     
그결과 응답자의 68%가 농협경제지주의 홈플러스 인수는 대도시 유통사업 확대에 ‘매우 긍정적(33%)’ 또는 ‘긍정적(35%)’이라고 답했다.
     
또한 지역농협·조합공동법인·품목농협 등이 대도시 판매장 설립에 나서는 것에 대해 91%(매우 긍정 49%, 긍정 42%)가 찬성했다.
     
이들은 “홈플러스 인수를 계기로 농산물 직거래·신선식품 유통망을 강화하고, 소비지 중심의 농산물 판매체계를 주도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다.
     
설문에 참여한 지역 전문경영인들은 홈플러스 인수 외에도 농협의 도매시장법인 및 물류·택배사 인수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공영도매시장 내 농협공판장이 도매시장법인을 인수·합병할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하는 데 대해 88%(매우 긍정 37%, 긍정 51%)가 찬성했다.
     
물류·택배회사를 인수해 전국 농협 판매망을 활용한 배송·유통망을 확충하자는 의견도 63%(매우 긍정 30%, 긍정 33%)가 공감했다.
     
현장에서는 이를 “농협의 전국적 조직망을 활용한 유통 혁신 모델”로 평가하며, ‘생산-물류-소비’를 잇는 농협형 풀필먼트(Fullfilment) 구축을 제기했다.
     
반면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최근 국정감사에서 “농협유통과 하나로유통의 연간 적자가 800억 원에 직원 200명 이상을 구조조정한 상황”이라며 “홈플러스가 어려운 건 알지만, 농협도 짊어진 짐이 너무 무겁다”고 밝혔다.
실제 농협유통은 전국 2,300여 개 하나로마트 대도시 점유율은 5% 미만에 머물고 있다.
     
높은 인건비·물류비 등 구조적 비용 문제로 대형마트 3사(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와의 경쟁에서 수익성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송옥주 의원은 “농협의 유통 구조가 경쟁사보다 비효율적이며, 홈플러스 인수를 통해 연간 2조 원 규모의 국산 농산물 유통 공백을 메울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농협이 대도시 소비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해야 한다”며 “유통 재편을 통한 농산물 판로 확보가 농업인 소득 안정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역시 “홈플러스가 문을 닫으면 도시민 신선 농산물 공급 차질과 농가 피해가 우랴된다”며 “농협의 재정 문제보다 농가 피해 최소화를 위해 인수 논의가 있다”고 밝혔다.
     
농협경제지주는 지역 농축협의 수도권 출점은 가능하지만 ▲회원조합 지도지원 규정의 판매장 거리기준 ▲기존 출점 농협과의 분쟁 가능성 등 제약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조합공동법인이 하나로마트 등 판매장을 개설하려면 농협법상 사업범위에 ‘생활물자 공급’ 항목을 추가하는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결국 농협의 홈플러스 인수 논의는 ‘현장의 확장 의지’와 ‘중앙회의 재정 현실’이 맞부딪히는 구조다.
     
지역 농축협들은 농산물 유통 주도권 회복과 도심 시장 진출을 위해 인수를 찬성하고 있지만,
     
중앙회는 재정적 위험과 기존 사업 적자를 이유로 선을 긋고 있어 향후 어떤결정이 이뤄질지 향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