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상의 항간세설] 인생 만화경을 통해 보는 시사만화

이태상

 


언젠가 한국에서 의사와 변호사의 70% 이상이 소득세를 전혀 내지 않는다는 사실이 종합 소득세 신고에서 밝혀졌다는 신문 보도가 있었다. 여기서 우스갯소리 한두 마디 해보리라.

 

미국에 어떤 구두쇠 수전노 노인 한 사람이 살았다. 평생토록 이 노인은 돈이 아까워 쓰질 못했다. 병원엔 의료비 물기 싫어서, 교회엔 연봇돈 내기 속상해서, 식당엔 그 비싼 음식값에다 팁까지 주기 억울해서, 가지 않고 안 쓰면서 그야말로 개미금탑(金塔) 쌓듯 모은 돈 한 푼이라도 세금으로 뺏기지 않으려고 그는 그 많은 돈을 은행에 예금하지도 않고 현금으로 집안 깊숙한 곳에 감춰 두었었다.

 

그러나 수명(壽命)이 다해 세상 떠날 날이 닥쳐오자 이 노인은 자신의 임종 자리에 의사, 목사, 변호사를 각 한 사람씩 불러 모았다. 그리고 돈 한 보따리씩을 주면서 내 무덤에 흙을 덮을 때 한 보따리씩 내 관 위로 던져 달라고 유언했다.

 

묘지에서 돌아온 세 사람이 멋쩍게 서로를 바라보며 머뭇거렸다. 제일 먼저 목사가 입을 열었다.

 

땅속에 묻어버리면 돈이 썩어 없어질 테고, 아니면 그 돈을 탐내는 사람들이 무덤을 파헤쳐 버릴 테니,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 더 많은 영혼을 구원해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기 위해 새 교회를 크게 신축하는 데 그 돈을 쓰기로 하고, 그 돈 보따리 대신 하나님 이름으로 내가 대신 사인한 영수증을 관 위로 던져 넣었소.”

 

그러자 의사가 말했다.

 

수많은 사람의 손때 묻었을 돈에는 수많은 병균이 우글거리고 그 병균 바이러스들이 썩는 시체에서 생기는 새로운 병균 바이러스들과 합세해 그 어떤 무서운 전염병이라도 이 고장에 퍼뜨릴는지 몰라 이를 예방하고 더 많은 환자들을 치료할 수 있기 위해 내 병원을 더 크게 증축하는 데 그 돈을 쓰기로 하고 나는 내가 맡은 돈 보따리를 내 병원 소독실에 잘 보관해 두었소.”

 

이 말을 받아 변호사가 말했다.

 

나는 고인이 사후에라도 탈세나 어떤 다른 죄목으로 기소될 경우에 대비해 그의 변호를 위한 수임료로 그 돈을 그의 법적대리인 자격으로 나만 아는 은행 비밀 계좌에 예치해 두었소.”

 

우리말에 중이 고기 맛을 보면 절간에 빈대가 남아나지 않는다는 말이 있고, 저 고대 그리스의 노예로 이야기꾼이었던 이솝(Aesop 620-564 BCE)의 우화(Aesop:s Fables)에서는 양측 벼룩의 간을 빼내어 먹는 것이 송사(訟事)의 중재인(仲裁人)’이라고 했다.

 

또 영국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어느 지방 치안 판사 셋이 날이 어두워진 다음에도 전등불을 켜지 않은 채 자전거를 타고 가다 순경 아저씨에게 걸렸다. 다음 날 치안 재판 법정에서 세 피고인은 차례로 재판을 받게 되었다.

 

셋 중에 두 피고 판사가 우선 재판관석에 올라 앉고 남은 한 피고 판사가 피고인석에서 재판이 진행되었다. 이런 식으로 해서 첫 번째 그리고 두 번째 피고인 모두 법법 사실을 시인, 복죄하여 벌금 일 파운드씩 물었다. 그런데 세 번째로 피고인석에 내려선 피고인을 바라보며 이미 각각 벌금형을 받고 재판관석에 올라앉은 두 판사는 잠시 머리를 맞대고 의논 끝에 판결을 내렸다.

 

오늘 아침 이 법정에서 다루게 된 똑같은 범법행위가 세 번씩이나 반복된 세 번째 사건인 만큼 재판부는 일벌백계(一罰百戒)로 다스려 이 사건의 피고인을 일 개월 징역에 처한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이와 같은 시사만화가 펼쳐지는 것을 우리는 인생 만화경을 통해 얼마든지 볼 수 있는 것이리.

 

 

 

[이태상]

서울대학교 졸업

코리아타임즈 기자

코리아헤럴드 기자

뉴욕주법원 법정통역관

 

전명희 기자



편집부 기자
작성 2020.03.11 11:32 수정 2020.09.14 14:06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편집부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