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택의 사랑방 이야기] 누가 아직도 흑인을 ‘깜둥이’라고 하는가

정홍택

 


소설 <앵무새 죽이기> 이 소설을 읽으면 가슴이 따뜻해진다. 오래전 학교시절에 우리는 소설 <검둥이 톰 아저씨(Uncle Tom’s Cabin)>를 읽었다. 이 책을 미국의 링컨 대통령도 읽었고 흑인 노예 해방에 대한 그의 주장에 확신을 주었다고 한다.

 

이런 면에서 <앵무새 죽이기>21세기를 사는 독자들에게 같은 크기의 또 다른 감명을 주고 있다. 미국 고등학교에서는 이 책을 필독서로 선정하여 학생들에게 졸업 전에 독후감을 한 번 이상 꼭 쓰게 한다.

 

1991년 미국 국회도서관은 미국 국민들을 상대로 독서에 대한 설문조사를 했는데 <앵무새 죽이기>가 성경 다음으로 독자들의 마음을 감동시켰다고 발표했다. 2001년 시카고 시청에서 비슷한 조사를 한 바 이번에도 이 책이 성인 필독서 1위에 뽑혔다.

 

2006년에는 영국 도서관 사서들을 상대로 모든 어른이 죽기 전에 꼭 한 번 읽어야 할 책을 한 권 추천해 주시요하는 질문서를 돌렸는데 본서가 뽑혔다. 오래전 이 작품은 영화로도 만들어져 그레고리 펙이 주연하여 아카데미 상을 받기도 했다.

 

부끄럽지만 이제야 딸의 권유로 이 책을 구입해 첫 페이지를 열게 되었다. 마지막 페이지를 덮으며 나는 깊은 감동에 휩싸였다. 좋은 책이란 독자들을 정신적으로 성장시킨다고 하는데 바로 그런 일을 내게 해 주었다.

 

나는 미국에 와서 기독교인이 되었다. 처음엔 너무 좋아서 예수님이 왜 진작 불러주시지 않았을까 안타까워하며 성경에 깊이 침잠하기도 했고, 미친 듯이 전도를 한 적도 있었다. 그러다가 언제부터인가 마음속에 두 가지 의문이 싹텄다. 하나는 교회에서 믿는 사람들끼리 왜 저리 심하게 싸울까하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왜 미국의 <바이블 벨트>에서 인종차별이 더 심할까였다. 오랫동안 이 질문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찾지 못한 채 그럭저럭 살아오는 동안, 믿음은 서서히 식어 감을 느끼면서도 이를 어찌할 수가 없었다.

 

이 소설의 무대는 1930년대의 앨라배마주 어느 시골이다. 이 작은 동네에 큰 소동이 벌어졌다. 가난한 백인 농부가 한 흑인 청년을 자기 딸 강간 혐의로 고소를 했단다. 당시 흑인이 이런 혐의로 백인에게서 고소를 당하면 무조건 사형 선고를 받는 것이 예외 없는 현실이었다. 물론 사법적인 절차는 밟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형식적 요식행위일 뿐이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그 동네에서 가장 존경받는 고참 변호사가 그 사건의 변호를 맡게 되었다는 것이다. 서너 명의 양심적인 사람만 빼고 온 동네가 들고 일어났다. “백인 원고를 상대로 흑인을 변호해 주다니...” 전통을 중히 여기는 집안 어른들이 가문의 망신이라고 그를 찾아가 간곡히 말리기도 했다. 학교에서는 두 자녀가 친구들에게서 모욕을 받는다.

 

저녁 식사 후 딸은 아버지에게 물었다. “사람들이 모두 저렇게 반대하는데 왜 꼭 아빠가 이 일을 해야 해요?” 아버지는 딸을 무릎에 앉히고 자상하게 대답해 준다. “저 청년을 변호해 주지 않으면 내가 교회에서 기도를 할 수가 없구나. 너희들도 이 아빠가 옳은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을 믿고 힘들더라도 좀 참아주면 좋겠다.”.

 

소설의 상황은 우리와 동떨어지지만, 이야기가 주는 의미만큼은 커다란 울림으로 다가온다. 책을 읽으며 믿는 사람들은 진정 예수를 믿는다는 것이 어떤 것인가를 다시 생각하게 될 것이고, 일반인들은 마틴 루터 킹 목사가 하루아침에 혜성처럼 나타난 것이 아니고 이런 무명의 양심적인 백인 신자들의 자기희생적 의지가 만들어낸 역사의 산물이란 것을 배울 것이다. 혹 미국의 민주주의를 선망하는 사람이라면 초등학교 1학년에서 시행하는 학생들 간의 시사 토론을 접하며 고개를 끄덕이기도 하리라.

 

그러나 뭐니 뭐니 해도 소설은 재미있어야 한다는 것이 나의 지론인데 이 책은 그런 나의 바램 또한 배반하지 않았다. 그렇다고 통속소설처럼 변호사가 법정에서 속 시원하게 열변을 토해서 배심원들을 감동시켜 결국 승리한다? 전혀 그렇지 않다.

 

이것이야말로 <앵무새 죽이기>가 시대와 국가를 초월해 고전 소설 선두에 서게 한 이유이다. 정의가 언제나 승리하는 사회는 아무 데도 없다. 그런데 왜 제목이 <앵무새 죽이기>이지? 앵무새는 한 번도 안 나오는데. 답은 책 속에 있다.

 

왜 어떤 한국 사람들은 아직도 흑인들을 가리켜 깜둥이라고 하지?” 이런 한국인들이 바로 무고한 앵무새를 죽이는 사람들이다. 책을 읽으면 부끄러워서 얼굴이 붉어질 것이다.




[정홍택]

서울대학교 졸업

KOCHAM(Korea Chamber of Commerce in U.S.A.) 회장

MoreBank 초대 이사장

Philadelphia 한인문인협회 창설 및 회장

 

정홍택 hongtaek.chung@gmail.com


전명희 기자




편집부 기자
작성 2020.03.19 11:51 수정 2020.09.14 12:50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편집부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