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해 봄철 연분홍빛 꽃이 만개하는 벚나무는 관광지와 공원의 조경수, 가로수 등으로 자주 볼 수 있을 만큼 대중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하지만 개화 시기 나무의 일부분에 꽃이 피지 않고 빗자루같이 잔가지가 많이 나오면서 잎만 도드라지게 자라는 현상이 발견되고 있어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벚나무 꽃이 만개한 후 잎이 나기 시작하는 이맘때, 벚나무 빗자루병(Witches’ broom)이라 불리는 곰팡이 병원균 감염 여부를 주의 깊게 관찰해 줄 것을 당부했다.
벚나무 빗자루병은 ‘타프리나 비에스네리’(Taphrina wiesneri)라는 곰팡이 병원균의 감염에 의해 나타나는 병해로, 감염된 나무는 가지 일부분이 혹모양으로 부풀고 잔가지가 빗자루 모양으로 많이 나오는 특징을 보인다.
흡사 ‘마녀(Witch)의 빗자루(broom) 모양’과 비슷한 모양을 지녔다고 하여 ‘빗자루병(Witches’ broom)’이라 불리는 이 병해는, 일단 병원균에 감염되면 세포의 생장과 분열을 촉진하는 호르몬인 옥신(auxin)과 사이토키닌(cytokinin)을 생산하고 나무 전체에 잔가지가 비정상적으로 늘어나며, 꽃이 피지 않게 된다.
벚나무의 미관과 건강을 해치는 빗자루병은 현재까지 국내?외에서 예방 및 치료 약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감염된 부위를 절단해 제거하는 물리적 방제방법을 사용해야 하지만 부적절한 제거과정에서 나무를 다치게 하거나 재감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연구팀이 유전자 검출법을 통해 벚나무 가지의 병원균의 감염 부위를 조사한 결과, 가지가 많이 나는 곳으로부터 10cm까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증상이 나타난 가지로부터 나무줄기 방향으로 10cm 이상을 제거해야 재감염을 막을 수 있다고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이상현 과장은 “벚나무 빗자루병은 벚나무 개화시기에 미관을 해치므로 사전에 방제작업을 철저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며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벚꽃 구경을 자제해 주시는 만큼, 올해는 벚나무 빗자루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 개발 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내년에는 만개한 벚꽃을 즐기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봄꽃을 지켜라! ‘벚나무 빗자루병’
국립산림과학원, 벚나무 빗자루병균 환경친화적 방제법 제안
등록기자: 서문강 [기자에게 문의하기] /
작성
2020.04.10 10:19
수정
2020.04.10 10:30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News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안녕하세요. 조유나입니다. 시 한 줄이면 힘든 마음이 정리되지...
안녕하세요. 나영주입니다. 사랑하는데 이유를 달지 않듯이 시를...
4월 28일 아산 현충사에서 거행된 충무공탄신다례제에 참석했다. 해마다 참석했지...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얼마 전, 봄맞이 교향악단 연주회를 보고 나오면서 문득 계절은 저마다의 걸음걸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