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양파와 같다 : 양파 껍질을 한 번에 한 꺼풀씩 벗기노라면 때로는 매워서 눈물이 난다. (Life is like an onion; you peel it off one layer at a time, and sometimes you weep." "나는 내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모르나 난 내 길을 가고 있다. (I don't know where I'm going, but I'm on my way.)
미국 시인 칼 샌드버그(Carl Sandburg, 1878-1967)의 말이다. 그는 그의 자서전 회고록 ‘언제나 낯선 젊은이들(Always the Young Strangers, 1953)‘에서 대장장이였던 그의 아버지 삶을 같은 세대의 유명한 정치인 제임스 블레인(James G. Blaine 1830-1893)의 인생과 대조시켜 수많은 이름 없는 노동자들의 미덕을 아래와 같이 칭송한다.
"속된 욕심에 찬 야망, 허위나 허세, 임시변통의 책략과 속임수로 점철된 제임스 블레인의 인생역정을 뒤돌아볼 때 그의 부귀공명보다 차라리 나는 내가 일일이 이름을 댈 수 있는 20여 명의 단순 소박한 노동자들의 삶을 택하리라. 이들은 세상이 좁다고 설치고 다니면서 다른 사람들을 지배하려 들지 않고 각자 자기가 하는 일에 재미를 내고 보람을 느낀다. 저 높은 자리에서 사악한 음모를 꾸미는 권력과 명예와 재산의 ‘매춘부’들과 비교할 때 나는 나의 부친 오거스트 샌드버그의 삶과 공적을 바로 보고 이렇게 말할 수 있다. ‘당신은 비록 그 어떤 위원회 위원장이거나 위원은 아니었어도 아무도 아닌 ‘무명씨’라기보다 ‘유명씨’ 그 누구였다고. 당신은 인생 순례 길에 만나는 아무에게도 못 할 짓 하지 않고 당신을 알게 된 모든 사람에게 당신의 삶을 주고 가셨다’고”
이 말에 1948년 대구에서 태어나 1970년 11월 13일 서울 평화시장 앞 길거리에서 스물둘의 젊은 나이에 몸을 불살라 죽은 우리나라의 한 청년 노동자 전태일이 생각난다.
다음은 현 미국의 뉴욕주 주지사 앤드루 쿠오모(Andrew Cuomo 1957 - )의 부친으로 1983년부터 1994년까지 세 차례 뉴욕주 주지사를 역임한 마리오 쿠오모(Mario Cuomo(1932-2015)의 말이다.
아버지는 내게 인생에 대해 많은 것을 가르쳐 주셨다. 특히 역경과 고난에 대해서. 어느 날 밤 불리하게 돌아가는 선거전에서 지칠 대로 지쳐 자포자기 상태에서 나는 내 골방 서재에 들어가 메모를 좀 하려고 연필을 찾았다. 책상 서랍을 뒤지다가 아버지의 옛날 명함이 나왔다. 우리가 만들어 드린 것으로 그는 퍽 자랑스러워하셨다.
안드리아 쿠오모
이탈리안 아메리칸 식품상
우량 수입품 재고 다량
이 명함을 쓰실 일이 한 번도 없었지만 아버지는 명함을 갖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즐거워하셨다. 내가 지치고 낙담한 상태라고 하면 아버지께서 뭐라고 말씀하셨을까 생각해보았다. 그러면서 어떻게 어려움을 극복하셨는지 수많은 일들 가운데서 한 장면이 떠올랐다. 아버지가 경영하시던 식품점 뒤에 있는 아파트에 세를 들어 살다가 처음으로 우리 집을 갖게 되어 뉴욕 홀리스우드로 이사한 직후의 일이다. 집 주위로 땅도 좀 있고 나무들도 있었다. 그중 하나는 전나무과의 상록 침엽수 교목인 가문비나무로 높이가 40피트 가량 되었다. 우리가 이사 온 지 한 주도 안 돼 굉장히 심한 폭풍이 불어 닥쳤다. 그날 밤 가게 문을 닫고 집에 와 보니 이 큰 나무가 뿌리가 뽑힌 채 넘어져 있었다. 프랭키와 나 우리 두 형제는 새파랗게 질려 어찌할 줄 모르고 서 있는데 아버지는 말씀하셨다.
“오케이. 자, 일으켜 세우자.”
“아니, 아버지, 무슨 말씀이세요? 나무뿌리가 다 뽑혀 땅 밖으로 나와 있는데요.”
“아니야, 우리가 일으켜 세우면 돼. 그럼 나무는 다시 뿌리를 땅속에 뻗고 높이 자랄 거야.” 우리 형제는 더이상 아무 말 못하고 아버지 따라 무섭게 쏟아지는 폭우 속에서 김이 무럭무럭 나도록 땀을 뻘뻘 흘리며 그 큰 나무를 다시 똑바로 일으켜 세워 놓고야 말았다. 아버지는 나무뿌리가 박혔던 자리를 더욱더 넓게 파냈다. 그러자 나무는 점점 더 안전하게 땅속 깊이 뿌리를 내렸다. 우리 형제는 부지런히 삽질해 진흙으로 뿌리를 덮고 또 덮었다. 그러는 동안 아버지는 큰 돌들을 갖다 나무의 밑 둥지 둘레로 쌓고 나무 주위로 말뚝을 박아 밧줄로 나무줄기 몸통을 튼튼히 붙잡아 주셨다. 그러고 나서 두어 시간 지난 다음 둘러보시더니 “걱정하지 마라. 다시 잘 자랄 테니”라고 말씀하셨다.
아버지의 옛날 명함을 보면서 난 울고 싶었다. 오늘날 차를 타고 그 집 앞을 지나가노라면 그 푸른 상록의 침엽수 가문비나무가 크기 65피트 이상으로 하늘을 향해 똑바로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내가 언제 아스팔트 길에 코를 박고 넘어졌었더냐?’ 그런 일 전혀 없었던 것처럼 말이다. 나는 아버지의 명함을 책상 서랍에 다시 집어넣고 그 서랍을 잠가버렸다. 그리고 용기백배 분발하여 선거전에 뛰어들었다. 그 더욱 확고부동하고 굳은 신념으로.
사람마다 개성(個性)이 다르듯이 집안마다 가풍(家風)이란 것이 있어 그 가풍을 보면 그 집안사람들 개개인의 됨됨이를 짐작할 수 있다. 이런 마리오 집안의 형제 얘기도 좀 해보리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Covid 19) 감염사태로 패닉 상태에 빠져있는 상황에서 최근(3월 17일) 앤드류 쿠오모(Andrew Cuomo, 62세) 뉴욕 주지사가 그의 친동생 크리스 쿠오모(Christopher Cuomo, 49세)가 진행하는 TV방송 CNN에 출연했다. 두 형제는 코로나 확산을 줄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쟁을 벌이던 중 느닷없이 동생 크리스가 형 앤드류에게 "형이 아무리 바빠도 엄마한테 전화 한 번 하세요"라고 했다. 그 대화는 이런 식이었다.
"I don't like the word curfew. Dad tried to have a curfew for me and I never got past the resentment," Andrew Cuomo said.
"That was the least of your problems, your problems, your problems with the curfew," Chris Cuomo interjected. "Just so you know."
"Well, I never violated-you violated the curfew all the time," his brother responded. "Caused much pain, but that's a different story."
"I don't believe in rules," the younger brother fired back, before taking a softer tone. "Gov. Andrew Cuomo, I appreciate you coming on the show. I love you. I'm proud of what you're doing, I know you're working hard for your state. But no matter how hard you're working, there's always time to call mom. She wants to hear from you. Just so you know."
"I called mom," Andrew Cuomo responded.”
"That's not what she said."
"I called mom just before I came on this show," Andrew Cuomo insisted. "By the way, she said I was the favorite. Good news is she said you are her second favotite. Second favorite son, Christopher."
Chris Cuomo said neither of them were their mother's favorite child.
이같이 티격태격하는 대화는 전 세계로 중계되었고 정치권의 화제가 되면서 민주당의 대선 후보인 조 바이든은 물론 트럼프를 훨씬 능가하는 열정과 진정성의 지도력으로 선친 마리오 쿠오모가 접었던 대망의 꿈을 실현하라는 국내외 여론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992년 미국 대선에 나선 빌 클린턴의 선거 참모 제임스 카빌(Jamws Caville)이 만들어 내세웠던 캠페인 슬로건(campaign slolgan)이 '문제는 경제야(It's the economy, stupid)'였었지만, 이제 코로나바이러스 역병으로 전 세계 인류가 절체절명(絶體絶命)의 위기를 겪고 있는 오늘날엔 그 무엇보다 '문제는 사랑이야(It‘s the love, stupid)이라고 해야 하리라. 가족사랑, 이웃사랑, 동족사랑뿐만 아니라 지구사랑, 자연사랑, 우주만물사랑, 곧 우리 각자 가슴속에 싹트는 '사랑의 바이러스'로 모든 '증오와 차별과 파멸의 바이러스'를 물리치고 정복해야 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