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탄소년단, 유재석 등 한류 스타들 권리 국제적 보호

4. 22. ‘시청각 실연에 관한 베이징 조약’ 가입




문화체육관광부는 422(), 세계지식재산기구(WIPO,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가 관장하는 시청각 실연에 관한 베이징 조약’(Beijing Treaty on Audiovisual Performance, 이하 베이징 조약)에 가입한다.

 

이를 통해 그간 해외에서 충분한 보호를 받지 못했던 한국 대중음악(이팝) 가수와 한국 드라마 연기자, 개그맨 등 시청각 실연자*의 권리를 중국, 칠레, 인도네시아 등 다수의 한류국에서 보호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세계지적재산기구 실연 및 음반 조약(WPPT)*’입해 실연자를 보호해왔지만 이 조약은 가수와 연주자 등 청각 실연만을 보호했다. 그래서 한국 대중음악과 드라마, 영화 등의 한류 열풍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방탄소년단(BTS)과 전지현, 유재석 등 시청각 실연자를 국제적으로 보호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베이징 조약시청각 실연자에게 성명표시권, 동일성 유지권 등 저작인격권을 부여하고, 고정된 시청각 실연*에 대해 배타적인 복제권·배포권·전송권 등을 부여하며, 이러한 시청각 실연자의 권리를 시청각 실연이 고정된 때로부터 최소 50년간 보호할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우리 저작권법은 베이징 조약이 규정하는 보호 의무를 상회하는 수준의 호를 이미 부여하고 있어, 이번 조약 가입에 따른 법 개정 등 추가적인 조치 사항은 필요 없다.

 

베이징 조약30개국 이상이 가입한 날로부터 3개월 후에 발효하는데, 올해 128일 자로 총 30개국이 가입해 오는 428일에 발효할 예정이다. 현재 중국, 칠레, 인도네시아, 일본 등 주요 한류국을 포함한 총 31개국이 가입했다. 우리나라는 422일에 가입서를 세계지식재산기구에 기탁해, 이로부터 3개월 후인 722일에 우리나라에 대한 조약이 발효하게 된다.

 

문체부 김재현 저작권국장은 우리나라가 베이징 조약의 회원국이 됨로써, 중국·인도네시아 등 이미 베이징 조약에 가입한 주요 한류국에서 우리 연기자와 아이돌 그룹, 개그맨 등 시청각 실연자의 권리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었다.”라며, “이번 조약의 발효 후에도 회원국 간 조약 의무 이행을 면밀히 점검하고 협력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서문강 기자
작성 2020.04.22 09:59 수정 2020.04.22 10:18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5일
2025년 4월 25일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