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연강의 인문으로 보는 세상] 청춘(靑春), 창공을 날다

신연강





어릴 적 풍선을 날리면 마음도 함께 하늘로 오르곤 했다. 아마도 풍선이 마음을 부여안고 높이 오르기 때문 아니었을까. 지금도 아이들이 풍선을 띄우며, 또 많은 행사에서 풍선을 날리며 바라는 마음은 같을 것이다.

 

꿈을 가득 안은 젊음은 그 자체가 풍선이다. 부푼 가슴으로 창공을 날고 싶은 청춘이기에, 풍선처럼 하늘 높이 마음껏 오르거나, 아니면 터져 바닥에 내려앉는 한이 있더라도 맘껏 부풀라고 주문한다. 쭈글쭈글한 가슴으로 적당히 살 것이 아니라, 할 수 있는 데까지 맘껏 부풀고, 활짝 꽃피라고 말이다.

 

꽃피우고 싶은 열정은 봄날 아지랑이처럼 피어오른다. 그러나 꽃을 피울 작은 공간마저 허용되지 않을 때 젊음은 말한다. “세상을 박차고 풍선처럼 오르고 싶은, 우리는 청춘이라고”. 그래서 그 마음을 전달하는 몸짓은 마냥 부르르떠는 풍선이 되어 날아간다.

 

봄날 지천으로 솟구친 풀들이 세상을 꿈꾸듯, 마음을 주체할 수 없는 그들은 오늘 푸른 하늘을 날고 싶은 청춘이다!

 

 



 

[신연강]

인문학 작가

문학박사




편집부 기자
작성 2020.05.20 11:43 수정 2020.05.20 11:53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편집부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