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시장 박남춘)가 노인 인구의 증가와 특성 다변화를 고려한
모델을 개발, 내년 현장 적용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올해는 베이비부머의 선두세대인 1955년생이 노년기에 진입하고 노인일자리는 만 60세 이후부터 활동한다는 점을 고려해 이들 노년층의 특성을 반영한 일자리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인천 및 노인특성을 고려해 소득을 창출 할 수 있는 지역 맞춤형 노인일자리를 위해 인천시 고령사회대응센터를 통해 ‘인천시 시장형 노인일자리 개발 전략’ 정책 연구 과제를 수행, 노인일자리 18개를 개발했다.
개발된 모델은 대표적으로 ▲케이터링 서비스 ▲1인 가구 밀키트 ▲다과 도시락 개발 ▲반려동물 수제간식 ▲건강즙 카페 ▲약초요리사업 ▲은퇴농장 체험실 ▲스마트물류 플랫폼 등이다.
시는 또 자유로운 시간 활용이 노인의 최대 경쟁력이 될 수 있는 긱 경제(gig economy) 모델 등 을 추가로 개발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 정책연구를 통해 개발된 새로운 노인일자리 모델을 2021년 노인일자리사업 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다.
지난달 31일 각 군․구 노인일자리 담당자와 11개 노인일자리전담기관 부장 등과 결과를 공유, 현장의 의견과 다양한 제안사항도 수렴했다.
시는 개발된 노인일자리 모델을 수행하는 기관에는 시설투자비 등 초기사업비를 지원한다.
시와 인천시고령사회대응센터 책임연구자, 인천시노인인력개발센터 담당자가 현장 수행기관 관계자 등을 사업의 고도화 방안 및 신규 사업 실행을 위한 논의를 지속할 예정이다.
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래변화에 따른 노인일자리 정책 대응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정책연구도 수행할 계획에 있다.
유용수 시 노인정책과장은 “매년 노인일자리 개발과 활성화 전략 모색을 위한 정책연구를 수행, 인천시고령사회대응센터와 노인일자리 수행기관인 각 구에 있는 노인인력개발센터와 소통과 협력을 통해 실행 가능한 신규사업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노인층의 생애 경험과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노인 적합형 일자리를 개발해 지역사회에서 건강하고 생산적으로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