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출신 故이상근 작곡가의 작품으로 1952년 한국전쟁 중에 홀연히 사라졌다가 다시 되찾은 음악 작품 칸타타 「보병과 더불어」가 국가등록문화재 제791호로 확정 등록되었다. 문화재청은 관현악 작품 「보병과 더불어」를 관보에 30일간 등록예고를 마친 지난 12일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했다.
한국현대음악사의 획기적인 발굴이라고 평가받는 이번 칸타타「보병과 더불어」국가문화재 지정은 예술 작품으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한국전쟁과 관련된 역사적인 사료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은 것이어서 한국음악계 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예술계에도 큰 축복이 되고 있다.
이 악보는 진주의 유명 작곡가 故이상근(1922-2000)선생의 작품으로 2006년 중앙일보에 대서특필될 때부터 세간의 이목을 끌었으며, KBS 파노라마 팀에서 관련 다큐멘터리를 2013년 11월에 방영하여 시청자들에게 많은 감동을 주었다.
한편, 이 작품의 슬픈 일화도 국민들의 마음을 꼭 붙들고 있다. 1952년 8월 이상근 선생은 당시 고려교향악단 지휘자였던 김생려씨에게 연주를 조건으로 악보를 빌려주었으나 전쟁으로 연주도 못하고 분실되어 54년 동안 악보를 찾지 못했으며 선생 또한 2000년도에 자신의 작품 초연도 하지 못하고 작고했다.
그러나 악보는 가치를 아는 사람들의 손에서 기적적으로 보관되어 왔고 2006년 중앙일보에 대서특필되어 다시 세상의 빛을 보게 되었다. 악보는 최초에 서울의 소장자가 가지고 있다가 대구 고문서 수집가를 통해 진주시에서 수집하였다. 같은 해 6월 25일 진주에서 역사적인 초연(부산대학교 박성완 교수 지휘, 진주시립교향악단, 합창단, 김해시립합창단)이 열렸고 부산문화회관 대공연장에서도 무대에 올렸다. 실로 54년만의 감동적인 순간이었다.
칸타타「보병과 더불어」는 故이상근 선생이 한국전쟁 중에 유치환 선생의 시집에서 영감을 얻어 1952년(당시 30살) 마산여고 재직 중에 작곡했다. 시를 4편 골라 대규모 합창이 딸린 한국전쟁의 대서사시를 창작했다. 이 악보는 교향곡 형식의 4악장으로 구성되어있으며 1악장(전진), 2악장(전우에게), 3악장(1950년 X마스에 부치다), 4악장(결의)로 기승전결 형식이다.
54년 만에 귀향한 악보「보병과더불어」 국가등록문화재로 영광 되찾아
진주 출신 故이상근 작곡가 작품으로 한국 전쟁을 그려낸 기념비적 작품
등록기자: 서문강 [기자에게 문의하기] /
작성
2020.08.18 10:18
수정
2020.08.18 11:43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News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안녕하세요. 강라희입니다. 과부하 걸린 뇌는 달콤한 설탕을 원...
서재의 책꽂이에 꽂혀있는 책을 버릴 것은 버리고 정리해야겠다는 마음 먹고 책을 정리하는데 ...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안창호, 이하 ‘인권위’)는 2025년 7월 23일, 해군...
가족과 함께 또는 연인과 함께 건강하게 걸으며 무더위를 피할 수 있는&...
흉노는 아틸라의 훈제국을 끝으로 사라졌다 흉노는 어디에 있었으며 어떤 민족 국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