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상 칼럼] 동풍(東風)에 바치는 송시(頌詩) Ode to the East Wind: 코스모스같은 아이들아

이태상

 

방탄소년단(BTS 지민-RM-제이홉--슈가--정국) 세계관과 성장을 담은 드라마 푸른 하늘이 제작된다는 보도다.

 

푸른 하늘하면 대번 동요 반달이 떠오른다.

 

반달(푸른 하늘 은하수)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엔

계수나무 한 나무 토끼 한 마리

돛대도 아니 달고 삿대도 없이

가기도 잘도 간다 서쪽 나라로.

 

은하수를 건너서 구름나라로

구름나라 지나선 어디로 가나

멀리서 반짝반짝 비치이는 건

샛별이 등대란다 길을 찾아라.

 

1924년에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동요로 발표된 윤극영 작사 작곡의 노래이다. 지은이 윤극영 선생은 1923년에 모임을 시작한 색동회의 회원이 되어서 일제 치하의 우리 어린이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기 위하여 노래를 만들기 시작하였으며 '', '고드름' 등의 노래도 같은 시기에 발표하였다.

 

이 동요 반달의 가사는 1927년 조선동요연구회(朝鮮童謠硏究會) 발행 李源圭(1890-1942)‘아동낙원(兒童樂園)에 수록되어 있었다. 兒童樂園)’3대 독자에다 유복자(遺腹子)로 태어나 자식을 열다섯이나 보신 나의 선친(先親)께서 자식들뿐만 아니라 모든 어린이들을 극진히 사랑하는 마음으로 손수 지으신 동시, 동요, 아동극본집을 자비로 500부 출판하셨는데 단 한 권 집에 남아 있던 것마저 6.25동란 때 분실되고 말았다.

 

서너 살 때였을까 내가 글을 처음 배우면서 읽은 兒童樂園속의 금붕어란 동시 한 편의 글귀는 정확히 기억을 못 해도 그 내용만은 잊히지 않았다. 어느 비 오는 날, 어항 속 금붕어를 들여다보면서 이린아이가 혼잣말하는 것이었다.

 

헤엄치고 늘 잘 놀던 금붕어 네가

웬일인지 오늘은 꼼짝 않고 가만있으니

너의 엄마 아빠 형제들 그리고 친구들

모두 보고 싶고 그리워 슬퍼하나 보다.

저 물나라 네 고향 생각에 젖어

밖에 내리는 빗소리 들으며...

 

난 네가 한없이 좋고

날마다 널 보면서

이렇게 너와 같이

언제나 언제까지나

우리 한집에 살고 싶지만,

난 너를 잃고 싶지 않고

너와 헤어지기 싫지만,

난 너와 떨어지기가

너무 너무나 슬프지만

정말 정말로 아깝지만

난 너를 놓아주어야겠다.

정말 정말로 아깝지만

난 너를 놓아주어야겠다.

너의 고향 물나라 저 한강물에.

 

Goldfish

 

Always happy at play

Swimming

Around and around

Gaily and merrily

You were.

My dear goldfish.

Why then are you so still today,

Not in motion at all?

What’s the matter with you?

 

Maybe you’re homesick,

Missing your Mom and Dad,

Your sisters and brothers,

All your dear friends,

Soaked with memories

and thoughts of your home

In the water-land.

Far away, over yonder, of yore.

 

I do like you so very much.

I do want to live with you

Forever and ever in this house.

I don’t want to lose you.

I don’t want to part company from you.

I’ll be very sad to be separated from you.

I’ll be missing you so very much.

 

And yet I’ll have to set you free.

Yes, my dearest goldfish,

I’ll let go back to your water-land

In the Han River.

It breaks my heart

to see you looking so sad.

 

It hurts so very much.

I love you much too much

To keep you away from your folks.

I can’t be happy

If you are not happy.

I just want you to be happy.

That’s all I wish.

 

그동안 고서방(古書房) 등 백방으로 찾아온 이 兒童樂園을 소장(所藏)하신 분의 긴급 연락 요망하는 바이다.

 

아일랜드의 노벨문학상 수상 시인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William Butler Yeats,1865-1939)의 아래와 같은 시구(詩句)에서처럼

"잎은 여럿이나

뿌리는 하나

내 청춘의 속절없이

환상적인 나날에

나는 자랑스럽게

내 잎을 내흔들고

내 꽃을 피웠었지

찬란한 햇빛 속에

나 이제 그만

진실 속으로

시들어 버리리

 

 

Though leaves are many,

the root is one;

Through all the lying days of my youth,

I swayed my leaves and flowers in the sun;

Now I may wither into the truth.”

 

- W. B, Yeats

 

 

현재에 있는 것 전부, 과거에 있었던 것 전부, 미래에 있을 것 전부인 대우주(大宇宙)를 반영하는 소우주(小宇宙)가 인간이라면, 이런 코스모스가 바로 나 자신임을 깨닫게 되는 순간이 사람이면 그 어느 누구에게나 다 있으리라. 이러한 순간을 위해 너도 나도 우리 모두 하나같이 우주 순례자 코스미안이 된 것이리라.

 

(If each one of us is indeed a micro-cosmos reflecting a macro-cosmos, all that existed in the past, all that exists at present and all that will exist in the future, we're all in it together, all on our separate journeys as cosmians to realize this.)

 

영국 시인 퍼시 비시 셸리(Percy Bysshe Shelley 1792-1822)서풍(西風)에 바치는 송시(頌詩) Ode to the West Wind)’라는 기도(祈禱)를 탄식(歎息)처럼 발()했다. (그 일부만 축약해 옮겨 본다. 그 영문 전문과 함께)

 

 

, 날 좀

불어 올려주게

저 파도같이

저 나뭇잎같이

저 구름같이!

 

삶의 가시덤불에

넘어져 쓰러진 채로

나는 피흘리고 있다네.

 

한때는 나도

그대처럼

이성적이고

민첩하고

당당했었는데

세월의 무거운 사슬이

 

나를 이렇게 묶어 놓고

하늘로 향하던

내 고개를

땅으로 떨궈 놓았네.

 

날 그대의 악기로

만들어 주게

그러면

저 숲에서

나는 소리처럼

내 잎들 떨어질 때

그대의 음악이

깊은 애상(哀傷)

애조(哀調)를 띨 것이네

 

사나운 그대 정기(精氣)

내 정기가 되게

그대가

나 되어 주게

 

Ode to the West Wind

Percy Bysshe Shelley - 1792-1822

 

I

O wild West Wind, thou breath of Autumn's being,

 

Thou, from whose unseen presence the leaves dead

Are driven, like ghosts from an enchanter fleeing,

 

Yellow, and black, and pale, and hectic red,

Pestilence-stricken multitudes: O thou,

Who chariotest to their dark wintry bed

 

The wingèd seeds, where they lie cold and low,

Each like a corpse within its grave, until

Thine azure sister of the Spring shall blow

 

Her clarion o'er the dreaming earth, and fill

(Driving sweet buds like flocks to feed in air)

With living hues and odours plain and hill:

 

Wild Spirit, which art moving everywhere;

Destroyer and Preserver; hear, O hear!

 

II

Thou on whose stream, 'mid the steep sky's commotion,

Loose clouds like Earth's decaying leaves are shed,

Shook from the tangled boughs of Heaven and Ocean,

 

Angels of rain and lightning: there are spread

On the blue surface of thine airy surge,

Like the bright hair uplifted from the head

 

Of some fierce Maenad, even from the dim verge

Of the horizon to the zenith's height,

The locks of the approaching storm. Thou dirge

 

Of the dying year, to which this closing night

Will be the dome of a vast sepulchre

Vaulted with all thy congregated might

 

Of vapours, from whose solid atmosphere

Black rain, and fire, and hail will burst: O hear!

 

III

Thou who didst waken from his summer dreams

The blue Mediterranean, where he lay,

Lulled by the coil of his crystalline streams,

 

Beside a pumice isle in Baiae's bay,

And saw in sleep old palaces and towers

Quivering within the wave's intenser day,

 

All overgrown with azure moss and flowers

So sweet, the sense faints picturing them! Thou

For whose path the Atlantic's level powers

 

Cleave themselves into chasms, while far below

The sea-blooms and the oozy woods which wear

The sapless foliage of the ocean, know

Thy voice, and suddenly grow grey with fear,

And tremble and despoil themselves: O hear!

 

IV

If I were a dead leaf thou mightest bear;

If I were a swift cloud to fly with thee;

A wave to pant beneath thy power, and share

 

 

The impulse of thy strength, only less free

Than thou, O Uncontrollable! If even

I were as in my boyhood, and could be

 

The comrade of thy wanderings over Heaven,

As then, when to outstrip thy skiey speed

Scarce seemed a vision; I would ne'er have striven

 

As thus with thee in prayer in my sore need.

Oh! lift me as a wave, a leaf, a cloud!

I fall upon the thorns of life! I bleed!

 

A heavy weight of hours has chained and bowed

One too like thee: tameless, and swift, and proud.

 

V

Make me thy lyre, even as the forest is:

What if my leaves are falling like its own!

The tumult of thy mighty harmonies

 

Will take from both a deep, autumnal tone,

Sweet though in sadness. Be thou, Spirit fierce,

My spirit! Be thou me, impetuous one!

 

Drive my dead thoughts over the universe

Like withered leaves to quicken a new birth!

And, by the incantation of this verse,

 

Scatter, as from an unextinguished hearth

Ashes and sparks, my words among mankind!

Be through my lips to unawakened Earth

 

The trumpet of a prophecy! O Wind,

If Winter comes, can Spring be far behind?

 

(This poem is in the public domain.)

 

이러한 우리의 바람이 꽃피는 바람꽃, 아니 우리의 꿈나무 열매가 우리의 아이들 아니랴. 셸리의 서풍(西風)에 바치는 송시(頌詩)’에 대구법(對句法)으로 나는 동풍(東風)에 바치는 송시(頌詩)’를 하나 읊어보리라.

코스모스 같은

아이들아

하늘하늘

하늘에 피는

코스모스 같은

아이들아

하늘하늘

하늘의 소리를

피리 불듯

바람처럼 불어다오

늙은 나무뿌리

썩는 것은

새나무 새순

돋게 하기 위한

것이리니

눈을 떠야 별을 보지

별을 봐야 꿈을 꾸지

꿈을 꿔야 님을 보지

님을 봐야 별을 따지

별을 따야 눈을 감지

눈 감아야 잠을 자지

잠을 자야 일어나지

일어나야 춤을 추지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또 닳도록

하늘하늘이 돌도록

땅 땅이 울리도록

어울렁더울렁

우리 사랑하는

가슴이 숨차게

뛰고 달리다가

쓰러져 줄어든

사슴아니

뛰노는 노루가

되어 보리라

어울렁더울렁

하늘춤을 추듯

어울렁더울렁

파도춤을 추듯

어울렁더울렁

코스모스하늘

코스모스바다

푸른 하늘로

날아 보리라

은하수 바다

노저어 보리

 


[이태상]

서울대학교 졸업

전) 코리아타임즈 기자

전)코리아헤럴드 기자

현) 뉴욕주법원 법정통역관



편집부 기자
작성 2020.08.27 11:02 수정 2020.08.27 11:41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편집부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5일
2025년 4월 25일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