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식 칼럼] 존 스타인벡의 '분노의 포도'에서 느끼는 공생의 의미

민병식

1939년에 초판이 나온  커다란 미국사회에 커다란 센세이션을 불러온 작품비평가들은 미국의 3 전통사상 사상이 녹아있다는 찬사를  반면 보수주의자나 자본가들은 사회질서를 무너뜨릴 불온서적이라고 비판을 가했다. 1939년에 3년째 판매 1위를 차지한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제치고 베스트셀러에 오른 대작 '분노의 포도' 어떤 주제를 갖고 있을지....

 

1929 미국은 경제 대공황으로 사회적인 분위기가 암울했다길거리엔 실업자들로 즐비했고은행과 공장이 줄줄이 문을 닫았다인간의 삶은 피폐해졌다. ‘분노의 포도 바로  시절을 살았던 '굶주린사람들의 이야기다빈부의 격차는 자본주의의 고질적인 병폐이다 조각의 빵이 없어 굶는 사람들 위에 1 세계대전  엄청난 부를 축적한 소수의 미국인이 있었다미국의 경제 대공황은 이런 시기에 몰아쳤다 스타인벡의 ‘분노의 포도 1930년대 미국 경제공황의 어려움 속에서  농부 일가가 겪는 인생유전을 그린 소설이다

 

 조드는 실수로 사람을 죽여 4년을 복역한  가석방되어 집으로 돌아온다그때 1932년부터 미국 중서부의 광활한 평원을 휩쓸었던 더스트 (Dust Bowl) 먼지 바람으로 농사를 망친 소작인  일가는 때맞춰 불어온 경제대공황으로 가난에 찌들게 되고 오직 캘리포니아로 오라는 광고지  장에 희망을 걸고   존경받는 목사였던 케이시와 함께 고향 오클라호마를 떠난다조그만 중고트럭  대에 12명의 가족이 모두 타고 66번 도로를 따라 일자리가 넘친다는 오렌지와 포도가 넘쳐난다는 낙원의  캘리포니아로 가는 길은 멀고도 험난했다. 가는 도중 조부모는 사망하고맏아들은 도망쳤다여동생의 어린 남편도 마찬가지다그러나 막상 캘리포니아에 도착해보니 기대와는 딴판일거리도 적고 임금도 낮은 데다가 농장주들은 낮은 임금으로 배고픈 하층민들을 갈취하고 있었다.

 

후버빌에서 짐을  그들은 일자리를 구하려 하나광고를 보고 서부로 몰려온 30만의 실직자가 들끓고 있는 상황그날 저녁 노동자를 모집하러  정부의 고용인과 그곳에 사는 보안관 플로이드와의 불합리한 폭행에 톰이 반발하여 개입하나 케이시가 자청하여 책임을 떠안고 끌려가 톰은 처벌을 피할  있었다그날  후버 빌을 떠난 그들은 위드패치 캠프에 도착하여 그곳에 수용되었다이곳은 자치구역으로서 이상적일 만큼 모든 시설이 잘되어 있었다위드패치 캠프에    달이 되도록  가족은 일자리를 얻지 못하여 고향을 떠날  챙겨온 여비가 떨어지자 별수 없이 다른 희망을 품고 북쪽으로 갔으며 도중에 복숭아 따는 일자리를 얻어 그곳에서 머문다임금은 형편없이 낮았고  물가는 굉장히 높았다

 

그날  산책을 나간 톰은 골짜기에서 출옥한 케이시와 만났다케이시는 출옥한  임금인하에 반대하는 저항세력의 지도자가 되어 있었다그러나 반가움도 잠시케이시는 색출대의 습격을 받아 숨을 거뒀다톰은 홧김에 케이시를 죽인 살인자를 현장에서 살해하고 가족이 있는곳으로 도망 사실을 어머니에게 알린다조드 가족은 톰을 트럭에 숨기고 야간을 틈타 그곳을 빠져나간다. 도망친 곳에서 가족들은 목화 따는 일을 얻고 톰은 지역 하수관에 몸을 숨긴다톰의 가족은 화차 바퀴를 떼어 만든 조잡한 캠프 한 칸을 얻어 집으로 삼고 가족 모두가 일해서 4달러를 벌면서 겨우겨우 생활을 유지한다그러던 어느  루시가 아이들과 싸우다가 톰과 케이시의 이야기를 자랑했다어머니는 이에 두려움을 느끼고 재빨리 톰에게 알리러 갔다오랜 시간을 하수구에서 보낸 톰은 맥알레스터에서 출옥할 때와는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되어있었다그는 그림자처럼 보이지 않고 그루터기 같이 땅에  붙어 앉은  어머니와 대화를 하고 돈을 받아 도망을 간다.

 

앨은 이웃집 웨인라이트 씨의 딸과 약혼하고 가족에게서 떨어져 나오겠다는 목표를 이루었다  무서운 홍수가 지역을 휩쓸었으며 아버지와  백부는 개울에 제방을 쌓지만 실패했다. 비가 몹시도 내리던  어린 임산부인  딸은 죽은 아이를 낳는다슬픔에 잠길 여유도 없이 강물은 범람하고 남은 가족들은 세상을 삼킬 듯이 내리는 비를 피해 헛간으로 피하는데 비를 피하는 움막 안에는  중년 남성이 먹지 못해 죽어가고 있었다이때 아이를  사산한  딸은 중년 남성의 머리를 안고 부푼 젖을 물린다

 

죽은 아이를 낳아 기력을 잃고 슬픔에 젖은 산모가 죽어가는 사람을 위해 젖을 주는  행위야 말로 어디서도 찾아볼  없는 인간애휴머니즘의 정수가 아니겠는가스타인백이 인간의 끈질긴 생명력을 찬미하고 생명의 유대를 강조한   장면을 통해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들이   순간 분노의 포도를 다시 읽어야 하는지 생각하게 하는  장면이다. 이는 1930년대 미국의 문제도 현대 대한민국의 문제도 자본주의만의 문제는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결국 자본주의는  수단일뿐이며자본주의 하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마음이 문제인 것이다

현대 사회의 온갖 문제는 단순히 시스템을 바꿔서 해결   있는 문제가 아니라  마주하고 살고 있는  사회 안에서 서로 부대끼고 살아가는 사람끼리 문제 해결을 위해 연대도 필요하지만 결국 서로 함께 살아가야 하는 공동체적 인류로서  인간적인 유대가 필요한 것이고 서로 돕고 이해하고 양보하고 사랑하는 함께 공생하는 인간적인 유대가 필요하다고 스타인벡은 우리에게 말하고 싶었을 것이다.


[민병식]

인향문단 수석 작가

대한시문학협회 경기지회장

문학산책 공모전 시 부문 최우수상

강건 문화뉴스 최고 작가상

詩詩한 남자 문학상 수필 부문 최우수상

2020 코스미안상 우수상


전명희 기자


전명희 기자
작성 2020.09.29 10:47 수정 2020.09.29 11:01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전명희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