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휘 기자 칼럼] 농교육을 생각하고 말하다

(9) 청각장애 학생들의 말소리 특성을 알아볼까요-상

김건휘 기자

 

지난 시간까지 소리의 다양한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소리의 특성을 잘 알아야지만 청각장애 학생들의 말소리 특성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지난 시간까지 살펴보았던 소리의 다양한 특성을 바탕으로, 이번 시간부터 두 시간에 걸쳐 말소리의 이해와 더불어 청각장애 학생들의 말소리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사람과 동물은 의사소통, 즉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을 활용하여 소리를 산출하게 된다. 그런데 우리가 말소리라고 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말소리라고 하는 것은 우리가 만들어 내는 소리 중에서도 우리의 발음기관을 통하여 만들어진 소리이기 때문이다. 즉 다시 말하자면 말소리라고 하는 것은 인간의 발음기관을 통하여 만들어지는 다양한 소리들, 특히 언어적으로 의미가 있는 소리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음역은 20~2Hz, 일상생활에서 회화음을 들을 수 있는 음역은 250~4,000Hz 정도이다. 청인학생의 경우에는 회화 음역에서의 결함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말소리를 지각하고 인지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1,000Hz 이상에서 청력손실을 가진 청각장애학생은 산출하는 말소리의 주파수 범위와 말소리를 이해하는 주파수의 범위가 다름으로 인해서 말소리를 듣고 지각하는 데 어려움을 가진다(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2).

 

본격적으로 청각장애학생의 말소리 특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청각장애학생들은 청각적 결함으로 인하여 상대방이 말하는 말소리의 피드백에 곤란함을 가지게 되므로 말소리를 산출하는 발성 과정에서 말명료도, 조음, 음성, 말 속도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번 시간에서는 말명료도와 조음 부분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1) 말명료도 특성

말소리의 명료도는 듣는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말소리의 비율이다. 일반적으로 청력손실의 정도와 시기에 따라 말소리의 명료도는 다르게 나타나 경도에서 중등도의 청각장애학생은 모음 발성은 대부분 명료하나 자음의 발성과 음성 자질 및 초분절적 특성에서는 약한 강도, 높은 주파수, 짧은 지속 시간의 특성을 보인다(한국특수교육연구회, 2009).

이러한 말 명료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청각장애의 정도, 조음 능력, 언어 능력, 교육 기간 등이 있다.

 

(2) 음성 특성

음성은 목소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하여 호흡, 발성, 공명의 밀접한 상호작용이 요구되며 이를 통해 음성의 음도, 강도, 공명 등이 자연스러운 음성을 산출하게 한다. 청각장애학생들은 음도, 강도, 그리고 공명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들이 보이는 독특한 음성 특성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며, 중재를 할수록 의시소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청각장애학생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음성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음도 특성

청각장애학생의 음도 특성을 살펴보면, 억양의 높낮이 변화가 거의 없거나 한 음절에서도 높낮이가 변화하는 등의 비정상적인 변화를 보인다. 청인학생은 청소년기를 거치면서 음도가 저하되는데 농학생을 비롯한 청각장애학생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청인학생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음도가 높게 산출된다. 청각장애학생은 음도를 습득하기 위한 청각적인 피드백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음도가 높게 나타난다.

 

. 강도 특성

음성의 강도는 다양한 특성이 있는데 약한 강도, 큰 강도,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강도는 모두 농학생을 비롯한 청각장애학생의 발성에서 나타날 수 있는 특징이다. 청각장애학생은 일반적으로 강도가 약하거나 강도가 크며, 변화가 없는 일관된 목소리 크기를 나타내는 등의 특징을 보인다.

 

. 공명 특성

청각장애학생은 청각적 결함으로 인하여 청각 자극을 받아들이는 데 제한을 가지므로 청인학생에 비해 과대비성과 과소비성, 맹관공명이 나타난다. 과대비성이라 함은 구강과 비강 사이의 불완전한 막힘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며, 과소비성은 비강 통로의 폐쇄로 인해 발생하는 것을 말하며, 맹관공명은 과소비성과 무비성이 결합되어 변형된 경우이다.

 

이렇게 청각장애 학생들의 말소리 특성 중에서도 말명료도 특성과 음성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청각적 정보습득이 불가능하거나 어렵기 때문에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학생을 비롯한 청각장애학생을 지도하는 교사는 청각장애학생들이 어려워하거나 주저하지 않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조금씩 표현해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것이 이루어질 때 농학생을 비롯한 청각장애학생들이 스스로 자립해 갈 수 있는 하나의 발판이 될 것이다.


김건휘 기자 loveseoulmirae0921@naver.com

편집부 기자
작성 2020.11.10 10:33 수정 2020.11.10 11:11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편집부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