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영 칼럼] 깨어 있으라

김은영

위기의식이 팽배한 요즘 깨어 있으라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 성경에서는 예수님은 위기상황을 자주 경고하시며 위기는 아무도 모르게 도둑같이 오니 자지 말고 깨어 있으라고 제자들에게 당부하신다. 이 말을 들을 때마다 나는 어떻게 계속 자지 않고 깨어 있음을 유지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으로 이어졌다. 그런데 이번 팬데믹의 집콕 생활을 하면서 이 말에 대한 좀 더 실질적인 뜻을 알게 되었다.

 

우리가 아는 세상이 사라진다. 기후변화로 야기된 재앙적 지형변화만을 생각해 왔다. 눈에도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가 이 큰 동물의 사회를 골수까지 바꾸어 놓을 줄은 몰랐다. 피부의 촉감으로 나누는 따뜻한 체온과 숨소리 그리고 가슴과 가슴이 닿으면서 느껴지는 그 정감이 거세되었다. 인간적 접촉이 디지털화 되고 인간 활동의 중심이 물리적 공간이 아닌 사이버 공간으로 옮겨가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점점 외로워져 간다. 물건을 사든, 전화를 하든 처음 대하는 것은 녹음된 음성 아니면 인공지능이다. 하루에 접촉하는 것이 사람보다는 기계가 더 많다. 우리의 인성은 어디에 있는가? 내 안의 인성이 소리친다. 그 인성이라는 것을 만질 수 있다면 가슴에 꼭 안고 도망갈까 봐 놓지 않겠다. 사람과 같이 울고, 웃고, 사랑하고, 기뻐하고, 즐거워하고, 슬퍼하고, 이런 것이 그립다. 그 인간성 속에 나를 푹 담가놓고 싶다.

 

하나의 세상이 무너지고 다른 세상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에서는 파멸하는 자와 기회를 잡는 자로 나누인다. 우리 모두는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자가 되고 싶어 한다. 그런데 문제는 기회의 여신은 앞머리에만 머리카락이 있고 옆머리와 뒷머리는 대머리이다. 여신이 옆에 있어도 지나가는 것을 알아도 잡을 수 없다. 잡을 수 있는 머리카락이 앞에만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리 준비하고 있어야 하고 멀리서도 그 여신의 모습을 알아챌 수 있어야 한다. 그걸 알아채게 하기 위해서 바로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깨어 있어라고 당부하신 것 같다.

 

집콕생활을 하면서 없던 습관을 하나 만들었다. 아침에 깨었어도 침대에 한참 누워서 뭉개는 것이다. “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하는가?”를 읽고 하루에 8시간은 자보려는 노력의 일부이다. 수면과학의 세계적 권위자인 저자 매슈 워커는 잠이 보약 중의 보약이라는 말을 평생을 바친 연구와 실험으로 증명해 준다.

 

우리 인생의 25~30%를 차지하는 잠을 우리는 무시해 왔다. 거의 모든 성공담에서 잠을 안 자고 공부하고 일해서 성공했다는 것이 그 중심이다. 우리 사회는 잠을 무시하고 잠을 빼앗는 사회로 치달아 왔다. “잠은 건강을 돕는 무수한 혜택을 제공하며 24시간 되풀이되면서 당신을 회복시키는 처방전이다. 그러니 그 처방전을 받아라(많은 이들은 받지 않는다)”라고 역설한다. 8시간의 잠시간을 지킴으로 면역성, 기억력, 호르몬조절, 창의성, 판단력 등의 무수한 혜택을 설명하고 잠이야말로 우리의 신체적 기능을 최고의 깨어 있음상태로 만들 수 있음을 내게 납득시켜 주었다.

 

잠이 신체적 깨어 있음의 조건인 것처럼 독서는 우리 정신의 깨어 있음의 조건이라고 나는 말하고 싶다. 내가 속한 북클럽에서 미래세상을 엿보기 위하여 ‘2021세계미래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특별판을 읽었다. 5G 기술로 우리 주변의 거의 모든 기계가 초고속 초연결되는 사회. 디지털 공간이 현실보다 더 현실 같은 사회. 안경을 쓰고 VR이나 AR 공간 속으로 들어가면 학교도 가고 쇼핑도 하고 회의도 하고 파티도 한다. 내 몸속에서는 혈액을 통해 돌아다니는 나나이트(나노 로보트)들이 건강 이상을 진단하고 고치며 다닌다.

 

나를 나보다 더 잘 아는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 소프트, 그리고 그들이 만드는 인공지능이 우리와 말하고, 그림을 그리고, 소설을 쓰고, 중매쟁이 노릇을 하면서 인류의 문화 속으로 들어온다. 아이들은 인공지능 교사에게서 배우거나 뇌와 컴퓨터가 연결된 뉴럴링크로 공부를 안해도 된다.

 

우리는 북클럽을 통하여 책을 읽고, 질문하고, 토의하고, 독서노트를 쓰면서 일상의 순간순간에서 책에서 만난 천재들과 성현들의 조언을 떠 올릴 수 있다. 뿐만아니라 우리의 뇌신경망을 그들의 정신세계와 더 가깝게 조율해 갈 수 있다. 우리에겐 깨어 있으라는 말이 단순한 개념이 아니다. 그것은 나의 24시간 속에 안배한 하나의 행동이다. 이 실천은 건강한 신체와 함께 기회의 여신을 알아차릴 수 있는 정신의 눈이다. 미래는 터미네이터처럼 갑자기 오는 것이 아니고 현재로부터 비롯되는 무언가이자 어느 정도는 내가 만들어 갈 수 있는 무언가인 것을 알기 때문이다.

    

[김은영]

기후전문가

미국 워싱턴 D.C


전명희 기자
작성 2021.01.03 12:32 수정 2021.01.03 12:34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전명희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