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연 악어는 눈물을 흘리는 것일까? 인정사정이라곤 털끝만치도 없어 보이는 추물 파충류의 흐느낌. 생김새와는 조금도 격에 맞지 않는 악어의 울음 이야기는 셰익스피어의 희극에 나온다. 막 잡은 먹이를 앞에 놓고 희생물이 불쌍해 연민의 눈물을 흘리는 악어. 속죄하는 마음으로 먹이와 함께 눈물도 꿀꺽 삼키는 악어의 모습은 생각만 해도 웃음이 난다.
사실 악어가 운다는 전설은 16세기 노예 선장, 존 하킨스의 기록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노예선이 처음 도착한 카리비언 연안에서 악어가 "어깨를 들썩이며" 구슬프게 흐느끼는(cry and sob) 모습을 보았다고 적었다.
그러나 실망스럽게도 악어는 울지 않는다. 악어가 눈물 같은 액체를 흘리는 건 사실이지만 그건 감정의 표출이 아니란 것이다. 눈 안의 염분을 제거하려고 분비선을 통해 흘러나오는 윤활액일 뿐이다. 그래서 악어의 눈물은 동정을 사기 위한 파렴치한의 뻔뻔스러운 술수에 견준다.
십수 년 전, 플로리다주 에버글레이드 대 습지에 갔을 때 야생 악어를 처음 보았다. 검은 타이어 같은 등짝과 코만 물 위에 들어내고 유유히 헤엄쳐 다니는 엘리게이터 떼들을 먼발치에서 숨죽이고 보았다. 잠자듯 꼼짝 않다가도, 갑자기 먹이를 향해 물기둥을 일으키며 곤두박질치는 악어들을 보며 그들의 저돌성에 악 소릴 지를 정도로 놀랐다.
우리에겐 모두 악어지만, 엘리게이터(alligator)와 크락커다일(crocodile) 두 종류로 크게 나뉜다. 엘리게이터는 주로 민물에, 크락커다일은 바닷물 가에 산다고 한다. 미 남부에 서식하는 엘리게이터는 좀체 사람을 해치지 않는다. 그러나 나일강 가나 아프리카의 크락커다일은 동족은 물론 사람도 잡아먹을 정도로 포악하다. 몸길이가 5-6미터 이상 가는 큰놈들은 턱뼈로 단숨에 물소의 허리뼈를 부러뜨린다. 그런데 악어는 이빨이 뾰족해 먹이를 씹지 못하고 통째로 삼킨다. 그들은 뱃속에 수 킬로그램의 작은 돌멩이들을 넣고 다니며 삼킨 먹이를 갈아 소화시킨다는 것이다.
이렇게 포악한 악어들도 새끼들에겐 한없이 부드럽다. 새끼들이 딱딱한 껍질을 까고 나올 때 어미는 자기 턱으로 아주 섬세하게 부화된 새끼들을 들어 올려 입속의 주머니에 넣는다. 갓 태어난 새끼 악어는 길이가 불과 두 뼘 남짓, 무게도 100g 정도여서 밀림의 포식자들에겐 둘도 없는 먹잇감이다. 어미들이 새끼들을 물속으로 안전하게 도피시킬 때, 수컷들은 손뼉 대신 걸걸한 괴성을 지르며 반갑게 맞는다. 악어들이 먹이 앞에선 울지 않아도 새끼들을 위해선 진짜 눈물을 흘릴지도 모를 일이다.
이런 자연의 섭리가 악어를 중생대부터 2억 3천만 년간 지켜온 셈이다. 함께 태어났던 공룡은 이미 멸종되었지만 악어는 아직도 건재하다. 사실, 악어는 지난 6천 5백만 년 동안 털끝 하나 변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 세상 동물 중에 적응력이 가장 탁월한 증거이다. 그런데 최근 들어 악어들이 진짜 통곡할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수년 전, 플로리다 아포프카호수의 악어 번식률을 조사하던 한 생태학자는 깜짝 놀랐다. 수컷 악어들의 성기가 4분의 1로 줄어든 것이다. 그는 곧 원인을 알아냈다. 수십 년간, 이 호수에 수천 갤런의 살충제 DDT가 유입되었던 것이다. 소위 ‘환경 호르몬’이 악어의 생식력 파괴의 주범임을 밝혀냈다.
‘환경 호르몬’- 대표적인 생식력 파괴 물질이 농약과 살충제다. 이들이 생식력을 파괴하는 이유는 분자구조가 뜻밖에도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닮았기 때문이다. 일단 몸속에 들어가면 진짜 호르몬인 양 행세하며 내분비계를 교란한다. 유사 여성호르몬이 악어의 남성호르몬(테스토스테론) 분비를 막으면서 성기가 줄어든 것이다. 비단 악어뿐만 아니라, 사람도 정자 수가 크게 줄어 수태 능력이 감소되고 있다. 환경 호르몬은 21세기 인류가 풀어야 할 최대 난제 중의 하나다.
악어의 눈물은 거짓 눈물이다. 배우의 눈물도 연기에 불과하다. 파렴치한 내로남불 정치꾼들의 눈물은 말할 것도 없다. 오로지 잘못을 뉘우치는 참회자의 눈물만이 진실한 눈물이다. 근세기 ‘환경 호르몬’을 양산해, 2억 수천만 년 동안 지속되어 온 지구 생태계의 씨를 말리고 있는 우리 인간들은 과연 어떤 눈물을 흘리고 있는가?
[김희봉]
서울대 공대, 미네소타 대학원 졸업
Enviro 엔지니어링 대표
캘리포니아 GF Natural Health(한의학 박사)
수필가, 버클리 문학협회장
제1회 ‘시와 정신 해외산문상’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