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89개 (35 페이지)
[이태상의 항간세설] 개구리의 춤사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세계경제의 질서가 ‘코로나19 전과 후로 영원히 바뀔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핸리 키신저(Henry Kissinger, 1923 - ) 전(前) 미국 국무장관은 2020년 4월 3일 (현지 시간) 월스트리...
[이태상의 항간세설] 코스모스바다에 떠 있는 일엽편주(一葉片舟)
요즘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으로 온 세계 사람들이 사회적인 거리두기 (서로 떨어져 멀리하기)가 실시되고 있어 타의든 자의에서든 우리 모두 따로따로 떨어진 섬들이 되어가고 있다. 청소년 시절 어디에선가 읽은 글이 평생토록 잊혀지지 않고 갈수록 그 ...
[이태상의 항간세설] 미녀(美女)와 야수(野獸)
각종 성추행과 성폭행 혐의로 전 세계 ‘미투(#MeToo-나도 당했다) 운동을 촉발한 미국 할리우드의 거물 제작자 하비 와인스틴(Harvey Weinstein 1952 - )에개 뉴욕 맨해튼에 소재한 뉴욕 1심 법원은 2020년 3월 11일 선고 공판에서 2...
[이태상의 항간세설] 인생은 호스피스, 아니 놀이터
현재 전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역병 코로나바이러스는 1947년 출간된, 1957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프랑스 작가 알배르 카뮈 (Albert Camu 1913-1960)의 소설 '페스트(The Plague)가 사실적으로 예시한 바가 있다. 카...
[이태상의 항간세설] 씨앗은 바람을 타고, 우린 매일 죽는다
한국에선 5월 8일이 어버이날이지만 미국에서는 어머니날은 5월, 아버지날은 6월 한 주 일요일에 지켜진다. 지난 2015년 ‘아버지날’ 선물로 딸들로부터 받은 티셔츠가 아주 내 맘에 꼭 드는 특이한 것이었다. 초록색 바탕에 새겨진 앞가슴 문구가 ‘...
[이태상의 항간세설] 장미인애 님에게 드리는 공개편지
안녕하십니까.저는 현재 미국 뉴저지주 테너플라이라는 동네에 사는 83세의 전직 코리아타임스 기자로 2018년 7월 창간한 글로벌 신문 코스미안뉴스 회장 이태상입니다. 1972년 한국을 떠나 영국과 미국에서 생활하다 보니 유감스럽게 도 배우 장...
[이태상의 항간세설] ‘그냥’의 미스터리(III)
장 자크 루소(Jean-Jacque Rousseau, 1712-1778)는 ‘자연으로 돌아가자’라고 했다. 이 말을 나는 그냥 ‘자연주의자(naturist)’ 곧 ‘우주주의자(cosmist),’ 다시 말해 ‘코스미안(Cosmian)이 되자’ 이렇게 표현해 보...
[이태상의 항간세설] ‘그냥’의 미스터리(II)
천재지변(天災地變)이나 전쟁 같은 인재(人災) 때마다 늘 그래 왔듯이 요즘 코로나 사태로 또다시 지구 종말론이 회자(膾炙)되고 사람들이 모두 죽음의 공포에 떨고 있는 것 같다. 그래서인지 2008년에 출간된 미국의 심령술사 실비아 브라운 (S...
[이태상의 항간세설] ‘그냥’의 미스터리
스타워즈(Star Wars)에 출연했던 나탈리 포드만(Natalie Portman 1981 - ) 주연의 영화 ‘블랙 스완(Black Swan 개봉 2010년)’도 있지만 경제학 용어로 ‘검은 백조(black swan)’라 하면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일이...
[이태상의 항간세설] 덩실덩실 춤출 뿐이리오
2007년에 전자책으로 나오고 2014년 개정판으로 다시 발간된 ‘플라멩코 이야기’가 있다. 고향인 마산에서 자유기고가로 활동하고 있는 ‘카페 소사이어티’의 작가 김준형씨가 영어로 플라멩코와 판소리의 만남을 자전적 소설형식으로 쓴 ‘플라멩코 여정(Flamen...
[이태상의 항간세설] 인곡(人曲) ‘아리랑’부터 불러보리(III)
교향곡 ‘한국(인)’을 작곡한 폴란드의 대표적 작곡가 크시스토프 펜데레츠키(Krzysztof Penderecki 1933-2020)가 2020년 3월 29일(현지시간) 향년 86세로 타계했다. 악보에는 적혀있지 않지만 ‘Korean’이라 불...
[항간세설] 틀을 깨고 뒤집어 보기
요즘 코로나바이러스 역병(疫병)으로 온 지구촌이 유령 마을 (Ghost Town)로 변해 사람들의 사회활동이 거의 멈추고 집안에 격리되다 보니 옛날 우리 조상 원시인들이 동굴 속에 살던 시대로 되돌아가는 것만 같다. 그때는 몸 성한 남자들은...
[이태상의 항간세설] 인류의 거듭남이어라
예부터 말이나 어떤 형상(形象)으로 표현되는 순간 그 내용 실체(實體)와 실상(實相)은 증발(蒸發)해 버리듯 사라진다고 했던가. 촛불이나 모닥불처럼, 산불의 불꽃 또는 연기처럼, 이슬방울이나 폭포수, 부서지는 파도의 포말(泡沫) 그리고 물안개처럼 아무 흔적(...
[이태상의 항간세설] 인곡(人曲) ‘아리랑’부터 불러보리 (II)
요즘 세계언론은 지난 IMF 사태 때와 같이 대한민국의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방식을 교과서적인 모범사례로 극찬하고 있다. 이번에도 이 세계적이고 세기적인 재앙을 어서 극복하여, 전화위복 (轉禍爲福)으로 돌리고, 한반도에서 새로운 코스미안 시대...
[이태상의 항간세설] 인곡(人曲) ‘아리랑’부터 불러보리
우주는 왜 존재하는가. 우주는 어떻게 생겼는가. 우주 속에 내가 존재하는 의미와 목적은 무엇인가. 내 몸이 소멸되면 내 마음과 정신도 없어지는가. 육체와 영혼이 별개의 것으로 분리될 수 있겠는가. 이 같은 거창한 문제에 만인이 만족할 만한 ...
[이태상의 항간세설] 글쓰기와 표절 시비
몇 년 전 한국에선 신경숙 소설가의 표절 시비가 있었다. 신경숙 씨 표절 의혹은 1999년에 처음 나왔다고 한다. 컴퓨터와 전자 매체의 일상화로 종이책과 신문 등 인쇄 매체가 사양길에 들었다지만 한 자(字) 한 자(字) 자신이 직접 글을 쓰고 싶어 하는 사람...
[이태상의 항간세설] 삶의 축제(The Festival of Life)
현재 코로나바이러스로 전 세계가 공황장애(恐慌障碍 panic disorder) 상태이지만 선견지명(先見之明)이라도 있었을까. 얼마 전부터 미국의 청소녀, 청소년들의 유행어가 ‘제기랄 난 아무것도 (할) 수조차, (알) 수조차, (상상할) 수조차 없네’란 뜻으...
[이태상의 항간세설] 사랑으로 숨쉴 때마다 영육일치(靈肉一致)되는 것이리
요즘 박테리아보다 10~100배 작고, 생물이라고도 무생물이라고도 할 수 없으며, 보이지 않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에 사회적인 거리 두기로 모든 사회활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사람마다 집에 칩거(蟄居) 고립되다 보니 마치 무인고도에 표류된 것 같다. &n...
[이태상의 항간세설] 코스미안으로 복락원(復樂園)하리
두 개의 진실이 서로에게 접근한다.하나는 안으로부터또 하나는 밖으로부터 둘이 만나는 곳에서 우리의 모습을 볼 수 있다. Two truths approach each other.One comes from inside,the other comes...
[이태상의 항간세설] 받아들임의 심미학(審美學)
현재 전 세계적으로 창궐하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의 긍정적인 덕목을 하나 꼽으라면 인종이나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우린 모두 생(生)과 사(死)의 경계인(境界人), 곧 지구별에 잠시 머무는 우주나그네 ‘코스미안’임을 각성케 해주는 것이리라. 지...
Opinion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2014년에 시작된 국제적 무력분쟁이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크게 확대된 이후 3년...
연예 매체 ‘버라이어티’ 보도에 따르면 미국 NBC 방...
선재길을 걸으며 수려한 자연과 그 속에 담긴 역사 이야기 그리고 국립조...
거침없는 상상력과 감각적인 문장으로 그려낸 강렬한 서사의 세계이토록 존귀한 나는 누구인가....
조선 후기 괘불도인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를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지정...
새 신발 새로 산 운동화가 훌쩍이고 있어요.비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