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80개 (134 페이지)
[민병식 칼럼] 위수정 단편 '오후만 있었던 일요일'에서 보는 우리의 노년은 준비가 필요하다
위수정(1977 - ) 작가는 부산출생으로 동국대학교 국문학 석사를 수료했으며 2017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중편소설 '무덤이 조금씩'이 당선되며 작품활동을 시작하였고 소설집 '은의 세계가 있다. 이 작...
[이봉수 칼럼] 임진왜란 시기 사천해전이 벌어진 곳은 장암창지
지난 칼럼에서 임진왜란 시기 사천해전이 벌어진 곳이 선진리 선진 마을(조선 후기 사천 선소)이 아니라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번...
[신기용 칼럼] 디카시의 이론적 한계와 상상력의 층위 (3)
Ⅳ. 상상력의 층위: 정동에서 문화적 코드화까지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1724~1804)는 상상력을 공상(空想)과 다르다고 보았다. 감성과 지성의 중간쯤에서 지성에 이르는 통로를 여는 능력이라고 보았다. ...
[민은숙 칼럼] 《장자》의 ‘추수’를 따라가다 짚는 한 권만의 위험성
요즘은 유튜브 영상 하나, 짧은 뉴스 기사 쇼츠 하나만으로도 세상의 이치를 다 꿰뚫은 듯한 기분이 들기도 합니다. “이게 맞고, 저건 틀렸어.” 단정은 빨라지고 댓글 하나에 대댓글로 논쟁이 이어지기도 하기도 합니다.&nbs...
[이윤배 칼럼] 도로 위의 무법자들
보릿고개를 겪던 때가 엊그제였는데,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는 2021년 우리나라 지위를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 그룹’으로 변경했다. UNCTAD가 1964년 설립된 이래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 그룹으로 지위를 변경한...
[곽흥렬 칼럼] 뭉치면 죽고 흩어져야 사는 세상
코로나19가 세상을 온통 뒤흔들어 놓았다. 처음 중국의 한 도시에서 생겨난 것으로 추정되는 전대미문의 이 괴질로 인해 지구촌 전체가 공포의 도가니에 휩싸였다. 그로부터 반년 남짓, 코로나19는 마치 도깨비불처럼 종잡을 수 없이 날아...
[김관식 칼럼] 선진화된 품격과 국격
사람이 사람답지 못하면 지탄을 받는다. 사람답지 못하다는 것은 인격이 바닥이라는 말이다. 인격은 사람으로서의 품격이다. 타고난 인성과 성장 과정에서 겪은 여러 경험과 교육에 따라 형성된 기본적인 인간 됨됨이를 말하는데, 동서양을 막론...
[이봉수 칼럼] 임진왜란 시기 사천해전이 벌어진 곳은 선진리가 아니다
임진왜란이 일어난 1592년 조선 수군은 4차례에 걸쳐 출전을 하였다. 1592년 5월 29일(음력) 전라좌수사 이순신 휘하 조선&nb...
[이봉수의 우리말 찾기] 참과 개
우리말 중에 접두사 '참'과 '개'의 쓰임새가 아주 재미있다. 참은 진짜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고 개는 진짜보다 못한 B급 정도로 쓰인다. 요즘은 여기저기 개를 갖다 붙이는 경우가 많다. 한 가지 예를 들면 ...
[윤헌식의 역사칼럼] 명량해전 날짜에 관한 검토
정유재란 시기인 1597년 9월 전라도 울돌목(명량)에서 벌어진 명량해전은 한 편의 드라마 같은 극적인 전투였다. 이러한 까닭으로 종종 영화나 TV드라마 등으로 제작 및 방영되어 명량해전을 모르는 한국인은 거의 없다. 명량...
[고석근 칼럼]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공부 안 하면 어떻게 되나저렇게 된다똥지게 진다 - 심호택, <똥지게> 부분 3살 때부터 함께 자란 오랜 벗들과 광장시장에 갔다. 고향의 주막에 간 기분으로 술잔을 나눴다. 술잔이 오...
[이진서 칼럼] 공공성은 추상적 정의가 아니다
지금 한국 사회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공정의 문제는 단순히 신자유주의의 폐해라는 말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그 뿌리는 훨씬 깊고 오래되었다. 그리고 이미 극단까지 치달은 능력주의와 그것의 문제점을 은폐· 정당화하는 이중 규범이 지금의 상황을...
[민병식 칼럼] 윤흥길의 '장마'가 주는 교훈, 동질성과 공동체 정신
윤흥길(1942- )의 '장마'는 길고 지루하게 내리는 비를 뜻하는 ‘장마’를 은유적으로 차용한 소설이다. 장마는 지루하지만 언젠가는 그치고 장마가 그치고 나면 맑은 하늘이 열린다. 작가는 장마의 이런 특성에 착안하여 이데올로기로 인...
[신기용 칼럼] 디카시의 이론적 한계와 상상력의 층위 (2)
Ⅲ. 정동 이론과 디카시 1. 정동 이론 이해 가. 스피노자의 정동(Affectus)스피노자(Baruch Spinoza, 1632~1677)는 『에티카』에서 “나는 정서(이 책에서는 정동을 정서로 번역)를 ...
[민은숙 칼럼] 목숨으로 지켜낸 문화유산
강화도에서 조선 태종의 명으로 해인사로 옮겨진 이래 해인사는 ‘법보종찰’로서 교과서적인 사찰이 되었다. 부처님의 말씀인 팔만대장경이 보관된 이곳은 종교적 의미를 넘어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고 민족의 앞선 기술력과 지혜를 고스란히 품고 있는 역사적 현장이...
[최민의 영화에 취하다] 줄스
따뜻한 이야기는 따뜻한 가슴을 갖게 한다. 폭력, 패륜, 전쟁 등 지구에서 흥행하는 이야기들은 너무 자극적이다 못해 폭력을 조장한다. 매일 맛있는 음식을 먹는데 자신도 모르게 성인병에 걸려 죽을 날만 기다리는 시한부 같은 것이다.&n...
[홍영수 칼럼] 도추(道樞)의 관점으로 사물을 바라보자
예전에, 청계천이 지금처럼 오픈되기 전 헌책방들이 많아서 그곳을 자주 드나들었다. – 지금은 동묘 근처에 헌책방이 많다. - 청계천 헌책방 거리를 가다 보면 다양한 종류의 새를 파는 곳, 조류원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nb...
[김관식 칼럼] 문학작품에 대한 안목을 넓혀야 한다
시에 대한 안목이 없는 사람은 시를 읽고 장님이 코끼리 만지기 식의 감상을 늘어놓기 마련이다. 습작기에 보통 시 공부를 한다고 동인들끼리 시에 관한 이론도 공부하기도 한다. 그리고 자작시 발표회를 갖고 서로의 소감을 말하고 열띤 토론을 벌이기도 한다....
[이태상 칼럼] 코스미안은 모두 시인이자 철인이다
언제나당신은 당신이었고,나는 나였었지;우리 때가 오기 전엔우린 둘이었었지. 나는 당신의 것이었어나도 모르게,그리고 당신 또한언제나 나의 것이었지. ALWAYS You were you,and I was I;we were twobefore our...
[이진서 칼럼] 민주주의는 왜 ‘살 만한 삶’을 약속해야 하는가
‘살 만한 삶과 살 만하지 않은 삶’(2024, 문학과 지성사)에서 주디스 버틀러와 프레데리크 보름스는 단순하지만,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무엇이 삶을 살 만하게 만드는가, 그리고 그 조건을 누가 보장할 수 있는가. 이 질...
Opinion
서울대공원은 올해 현충일인 6.6일(금) 낮12시경, ...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안녕하세요. 강라희입니다. 오늘은 티베트의 수행자 밀라레빠의&...
성석제(1960~ )는 소설가이며 시인으로 1986년 문학사상에서 시 부문 신인상...
푸른방동사니(Cyperus nipponicus.)전초 및 화서(출처: 국립생물자원...
9월 27일부터 10월 24일까지 강원특별자치도산림박...
국가유산청은 「2026년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의 지원 대상으로 ‘제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