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나는 미국 뉴저지주州 오랜지市에 있는 가발가게를 팔고 뉴욕주 법정 통역관이 되었다. 인류의 다양多樣한 색깔과 신조信條의 인생만화경人生萬華鏡/ 漫畵鏡을 통해 나는 인간사人間事를 살펴보면서 다른 문화권文化圈 언어言語를 구사驅使하며 다른 종교 교리와 관습과 법률과 규칙으로 얽힌 여러 다른 인종人種의 사람들 사이에서 매체 媒體 다리 역할을 맡아 거의 20년 동안 수행修行/遂行해 왔다.
그러면서 세상 사물事物, 물정物情과 사정事情을 우주적인 시각 時角/視覺으로 보기 시작했고, 인종과 국적, 남녀노소男女老少, 사회계층社會階層, 빈부격차貧富隔差, 학식유무學識有無 등을 떠나 이것저것 가릴 것 없이 우린 모두 사랑의 무지개 타고 우주 여행 중인 ‘코스미안’임을 나는 깨닫게 되었다.
코스미안은 코스모스 우주의 아바타Avatar분신分神/分身이 아니고 코스모스 그 자체自體, 그 본질本質임을 나는 깨닫게 된 것이다. 모든 사물은 사랑의 세포와 분자와 기본 전하, 입자, 미립자 등으로 만들어졌기에, 꽃이 피고, 별이 반짝이며, 네가 누구이든 또는 무엇이든 내가 널 사랑한다는 걸 난 알게 된 것이다.
사랑의 모든 동의어는 코스미안이다. 모든 망상妄想과 환상幻像/幻想에 사로잡히지 않고 자유로운 삶이 코스미안의 삶이다. 그의 삶은 그 어떤 종류의 소유所有나 괘락快樂이나 고통苦痛에도 얽매이지 않는다. 그는 기쁘든 슬프든 삶과 죽음을 같은 하나로 사랑한다.
그동안 내가 나 자신自信/自身/自神을 발견하고 자아완성自我 完成하는데 도움을 준 그녀들을 나는 오늘 밤 코스미안 축제에 초대했다. 그녀들은 하나같이 내가 사랑하는 여인들이다. 그녀들은 나의 여신女神들로, 사랑의 기적奇蹟을 일으키고 마법魔法을 행사行事/行使하는 삶의 대지휘자大指揮者들Maestras이다.
제일 먼저 온 그녀는 첫 여인 어머니, 그다음은 그리스 신화에 나 오는 지혜, 전쟁, 직물, 요리, 도기, 문명의 여신 아테나Athena, 이어서 세 번째로 온 그녀는 진선미眞善美의 화신化神/身이고, 네 번째 그녀는 코스모스, 다섯 번째 그녀는 카오스, 여섯 번째 그녀는 영국, 일곱 번째 그녀는 아이, 여덟 번째 그녀는 어레인보우, 그리고 끝으로 아홉 번째 도착한 그녀는 코스미안이다.
둥그런 원탁圓卓 테이블에 둘러앉아 우리는 차를 마시면서, 보고 싶은 만큼 얼마든지 볼 수 있는 세상의 모든 아름다움을 깊이 음미吟味했다.
갑자기 깨어나 새롭게 젊어진 듯, 재충전再充電된 나의 리비도가 내 몸에서 튀어나와 그녀들 달콤한 입술에서 무르익은 앵두를 따 먹으려고 그녀들 눈 속 소성단小星團 우주진宇宙塵 별바다로 헤엄치고 있었다. 오늘 밤 우리가 나누게 될 언어 말들이 어두운 밤하늘에 찬란하게 반짝이는 별들이 되리라.
태상(이하 태); 친애하는 나의 연인戀人, 아니 여신女神들 여러분, 시간과 공간의 경계를 너머 이렇게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밤 이 자리에선 그 어떤 제약制約이나 금기사항禁忌事項 타부니 터부도 없이 무엇이든 자유롭게 우리 이야기 나누었으면 합니다.
아테나(이하 아나): 모두를 대변해서, 태상 님, 이렇게 우리를 초대해줘서 고마워요.
태: 사람들은 자신들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 행선지行先地도 모르면서 목적지에 어서 도달하려고 서두르지요.
영국(이하 영): 자신의 목적지目的地를 아는 사람은 깨어난 사람이죠.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알려면 자신의 진정한 정체 성正體性과 목적目的부터 알고 있어야 하겠죠.
카오스(이하 카스): 잘못 인도 받아 틀린 길로 들었다면 얼마나 빨리 얼마나 멀리 가느냐가 아무 득점得點 없는 헛수고로 만사 휴이萬事休矣가 되지 않겠어요?
코스모스(이하 코스):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인 문제는 제쳐놓고라도 평범한 세속적인 세상살이에서 사람들은 전쟁하듯 패배자 敗北者 낙오자落伍者가 안 되려고 기氣를 쓰며 ‘너 죽고 나만 살자’는 생존경쟁生存競爭에 몰두해 있지 않나요?
진선미眞善美(이하 진): 코스모스 님, 그대가 알다시피 사람들은 신기루蜃氣樓 같이 헛된 명예다 돈이다 권력을 얻겠다고 자신들의 영혼을 팔지 못해 야단들이죠. 이렇게 흥미로운 이야기로 기분이 상승上昇되고 있는 그녀들의 몸과 마음을 시원한 저녁 바람이 춤추듯 애무愛撫하듯 어루만져 주고 있었다.
어머니(이하 어니): 세상은 사람들이 굶주려서가 아니고 욕심 때문에 싸우는 전쟁터에요.
코스미안(이하 코안): 사람들은 아주 하찮고 사소한 일에도 너무 심각하게 열을 올리고 죽기 살기로 덤벼드느라 자신들의 삶을 힘 들고 비참하게 만들어요. 이는 마치 한 푼 아끼려다 백냥 천냥 잃듯 어리석은 짓들이 아닐까요?
어니: 문제는 문제 될 것이 없는데 문제를 생生으로 없는 문제를 만드는 거예요. 인생 삶이란 코스모스 우주 음악에 맞춰 춤추고 노래하며 즐길 큰 잔치일 뿐인데요.
아나: 존 레논과 요꼬 오노가 ‘상상해보게Imagine’ 노래의 너무 도 절실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그들의 행위예술로 시위 전시 展示 데모했듯이, 우리가 전쟁을 하지 말고 사랑의 섹스만 한다면 세상 모든 사람과 모든 것에게 그 얼마나 좋을까요. 저 보노보 Bonobo Primate란 원숭이들처럼 서로 다투지 않고 아무하고나 아무 데서나 아무때나 사랑의 섹스만 할 수 있다면 말이에요. 그러나, 아뿔싸, 날 좀 보세요. 그렇게 전쟁놀이란 것이 없이, 사랑놀이만 있었더라면 ‘전쟁의 여신’인 나라는 존재가 있을 수 없었겠지만서도요.
태: 영국으로부터의 인도 독립운동가 정치인이었던 자와할랄 네루 Javaharlal Nehru(1889-1964)는 그의 생전에 이런 말을 했어요. “공존共存의 유일한 대안代案은 공멸共滅이다. The only alternative to co-existence is co-destruction.”
하지만 전쟁조차도 어쩌면 카오스에서 코스모스로 진행하는 과정일 수도 있겠다고 나는 생각합니다. 궁극적으로 볼 때 육식동물 포식자捕食者와 그 먹잇감 피식자被食者가 서로 보완補完해서 우주 자연의 질서를 잡아주는 목적을 함께 공共히 이루는 것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입니다.
카스: 사람들은 자신의 세계를 자기가 건설하기보다 금수저 은수저 물고 왕자나 공주로 태어나는 걸 원하지만, 자신의 불행을 행운으로 아니면 행운을 불행으로 바꿔 카오스에서 코스모스를 아니면 코스모스에서 카오스를 유발誘發할 수 있지 않나요. 그 요점要點은 그대가 어디로 가든 사랑이 있으면 천국이요, 사랑이 없으면 지옥이란 말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서로의 주파수周波數 가 같으냐 다르냐에 따라서이겠죠.
영: 여러분이 다 알다시피 나는 세계 최강국 권좌에 앉아 보았기 때문에 다른 나라와 다른 사람들을 정복하고 지배하면서 온갖 부富와 특권特權의 삶을 누리는, 선민의식選民意識과 우월감優越感이 그 얼마나 달콤하고 그 유혹誘惑이 얼마나 큰지를 잘 알아요. 약육강식弱肉强食이란 정글의 법칙과 적자생존適者生存이란 자연법칙을 따라 전 세계를 상대로 한 해적질로 대영 제국大英帝國은 건설되었던 것 아닙니까
진: 그렇다 해도 천만다행千萬多幸스러운 것은 모든 인간에겐 진선미眞善美를 끝없이 추구할 수 있는 특전特典이 주어졌다는 거죠.
코스: 사람들이 창녀娼女를 업신여기고 깔보지만, 메리 막달렌 Mary Magdalene도 예수의 벗이나, 부인 또는 제자가 아니었나요? 우리 생각 좀 해보면, 창녀라는 ‘위안부慰安婦들 Comfort Women’이 엄마가 아가를 품에 안듯이 남자 남성을 끌어안을 때 돈 몇 푼 받지 않지만이들은 그 어떤 직업보다 한없이 자비慈悲로운 자선慈善의 서비스로 더할 수 없는 즐거움과 기쁨의 크나큰 혜택惠澤을 베풀지 않나요?
고통만 주고 생명을 앗아가는 용병傭兵 군인들의 살육행위殺戮行爲 인명살상행위人命殺傷行爲에 비하면요. 사회적으로 존경받으며 비싼 보수를 챙기는 고상高尙 하고 성聖스럽다는 성직자聖職者를 비롯해서 하나님의 이름과 법률이다, 의료기술이다, 애국심이다, 보수 우파다, 진보 좌파다, 지방색地方色이다, 같은 동문동창同門同窓이다 하는 등등 각종 작당作黨의 파벌 派閥 패거리주의, 부정적인 사회적 속성을 과시誇示하면서 ‘애국’이다 ‘애족’이다 ‘정의正義’다 ‘민주民主’다 ‘자유自由’다 ‘평등平等’이다 하는 등등, 행동 없이 말과 글로만 때우는 허장 성세虛張聲勢의 구두선口頭禪이나 뇌까리며 빈말 팔아먹는 부계사회父系社會 기득권자旣得權者 특권층特權層 고등남창 高等男娼들에 비한다면 말입니다.
재스민 차茶를 마시며 코스모스가 이렇게 세계의 모든 가사家事와 육아育兒 및 성노예性奴隸 여성노동자女性勞動者들을 동정하는 감정이입感情移入의 심퍼시sympathy와 엠퍼시empathy 충만充滿한 말을 하자, 나머지 모든 그녀들이 한마음으로 고개를 끄덕이며 동의동감同意同感했다.
태: 아, 그래서 나 또한 남성男性의 생물학적生物學的 전쟁의 폭력성을 몹시 싫어하고 혐오嫌惡하며 개탄慨歎을 금치 못하고 한탄恨歎해 왔습니다. 그러면서 동시에 여성女性의 화학적化學的인 사랑과 평화의 미덕美德을 사모思慕하고 흠모欽慕하며 숭배崇拜 예찬禮讚해 왔습니다.
아이(이하 아): 사랑이 삶이라고, 아니 삶이 사랑이라고 나는 생각해요. 그 사랑이 창녀 娼女의 육체적인 사랑이든, 수녀修女의 정신적인 사랑이든 상관없이 마찬가지라고. 삶으로서의 사랑은 영원한 빛이고, 사람의 삶에서 모든 가장 고귀高貴하고 가장 순결순수純潔純粹하며 가장 아름다운 것들의 근원根源 원천源泉으로, 곧 더할 수 없이 완전 무결完全無缺한 유기체 有機體 오르가니즘organism이자 성적절정性的絶頂/성극치감性極致感오르가즘이죠. 그렇지 않나요?
코안: 참으로 진실眞實입니다. 사랑은 코스모스 하늘에서 떨어진 ‘만나 manna’이죠. (히브리어로 ‘무엇’이냐고 묻는 의미인데 구약성경과 쿠란/코란에 나오는 음식 이름으로, 안개가 걷힌 뒤에 보니 잘기가 땅에 내린 서리처럼 잔 알갱이들이 광야에 깔려있는 것이었다. 이것을 보고 이스라엘 자손들은 그것이 무엇인지 몰라 ‘이것이 무엇이냐’고 서로 물었다. 모세가 그들에게 말했다: “이것은 주님께서 너희에게 먹으라고 주신 양식이다.” 출애급기 16: 14-15)
나는 이 가장 중요하고 필수적必須的인 양식糧食을 세상의 모든 굶주린 사람들과 나누고 싶어요. 쌀 한 톨에 수고受苦/收苦/愁苦 하는 농부들이 흘린 땀 방울로 자란 땅과 해와 바람의 모든 에너 지와 에테르ether(산소 원자에 두 개의 탄화수소가 결합된 유기 화합물有機化合物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들어 있어요. 그러니 이런 한 끼의 음식을 같이 나눈다는 건 코스모스 우주의 질서 秩序와 섭리攝理에 참여參與, 동참同參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식사食事를 한다는 행위行爲는 하나의 깨어남 소생蘇生이고 그 은유隱喩 메티포metaphor이지요.
태: 내가 가장 사랑하는 어머니, 나는 당신의 피와 땀과 눈물에 흠뻑 젖어 생긴 사랑의 열매입니다. 그래서 나는 세상의 모든 어머니들께 깊이깊이 감사하며 경배敬拜 큰절 올립니다.
아나: 나는 세상의 모든 어머니들이 이런 경배를 받을 자격이 있는지 의심스러워요. 소위 일컬어 ‘대자연Mother Nature’ (어머니의 형태로 그것을 구현함으로써 자연의 생명을 주고 양육하는 측면에 초점을 둔 자연의 인격화人格化로 여성의 이미지와 어머니의 본성은 영원하다는 뜻을 담은 표현임)은 결코 당연시 當然視할 수 없다고 나는 봅니다.
세상의 부귀영화 누리는 판검사, 변호사, 의사다하는 ‘사(ㅅ) 자字 타령’으로 아들딸 불문하고 어려서부터 애들 귀에 못을 박거나, 물은 언제나 아래로 흐르듯 ‘내리사랑’이 자연의 섭리 攝理와 이치理致와 도리道理인데 ‘내가 널 어떻게 키웠는데’ 하는 공치사功致辭로 ‘심청이’의 효도孝道와 효심孝心을 강요强要 하며, 제 새끼 제가 잡어먹듯, 문자 그대로 채권자債權者나 포주抱主 노릇하는 부모, 특히 몰지각沒知覺한 속물근성俗物 根性의 노예奴隸 같은 어머니들이 세상에는 많지 않은가요?
어: 세상에 ‘대자연Mother Nature’의 자연적自然的모성애 母性愛가 없다는 건 정말 상상조차 할 수 없는 끔찍한 일이에요. 대자연의 모성애母性愛가 타고 난 태생적胎生的 본능本能이라면 이 모성애도 자연적自然的으로 자연스러울 뿐이라야 하지 않을까요, 아테나 님?
아나: 대자연의 모성애가 모든 걸 가능케 하는 본능이고, 따라서 그 어떤 희생과 대가를 치르더라도 모든 여성이 달게 감당甘當/堪當해야 한다는 건 너무도 난폭亂暴하고 잔인부도殘忍無道하며 오늘날에 와서는 충격적衝擊的인 시대착오적時代錯誤的 사고 思考입니다. 더 이상 이러한 모성애를 모든 여성에게 강요할 수 없는 일입니다. 이야말로 여성에 대한 테로리즘terrorism이죠. 이제 바야흐로 본능적인 모성애로부터 객관적客觀的이 아닌 주관 적主觀的 모성애로 전환轉換할 때가 왔다고, 아니 벌써 지났다고 나는 봅니다. 그렇게 생각하지 않으세요?
카스: 요즘엔 많은 소녀들이 결혼을 해서 애를 낳아 키우겠다는 계획이나 꿈을 포기함으로써 이 모성애가 충분히 개발開發 발달發達하기도 전에 그 싹부터 잘라버리지 않는가요. 결혼과 육아育兒는 어디까지나 자발적自發的 자의적 自意適/恣意的 선택사항 選擇事項이지, 더 이상 만난萬難을 무릅쓰고라도 완수完遂해야 할 수밖에 없는 운명적運命的 아니 숙명적宿命的으로 부과賦課 되고 예정豫定/豫程된 의무義務이자 사명使命이 아니란 것이죠.
아: 나도 같은 생각입니다. 나 자신을 포함해서 전적으로 모성애에 모든 걸 다 바칠 수 없고 또 바칠 생각조차 없는 여자아이들이 있습니다. 나는 차라리 내 유전인자 DNA 복제複製에 종지부 終止符를 찍고 아무에게도 아무것에도 걸림 없이 자유로운 독신 생활獨身生活의 삶을 즐기려고 합니다. 이것이 나 자신을 사랑하는 길이고 방법이라고 나는 생각합니다.
코안: 불변不變의 정리定理로서 모성애라는 교조적敎條的 독선 독단獨善獨斷의 도그마dogma는 파시즘facism입니다. 당신이 이 사회적으로 주입注入, 세뇌洗腦되고 교화敎化된 객관적客觀 的 모성애를 극복克服하고 졸업卒業해서, 일단 먼저 무시하고 잊어버릴 때 당신의 주관적 主觀的인 모성애가 자연적으로 자연스럽게 생성生成되고 자랄 것입니다.
태: 모성애와 여성은 우리가 끝없이 이야기를 이어갈 수 있는 참으로 신비神秘하고 흥미진진興味津津안 주제主題입니다.
아: 난 아직 애를 낳아 본 일이 없습니다. 나는 인류의 번식작용 繁殖作用을 마냥 환영해 반길 수가 없어요. 지금껏 인류가 공기와 물 그리고 자연의 모든 걸 오염시켜 코스모스 우주의 질서를 파괴해 온 걸 나는 통탄痛歎하고 있는 까닭에서입니다. 내가 누구인가요? 생각해 보면, 나는 아빠의 정자와 엄마의 난자가 결합해 생긴 유전자 주머니 이상도 이하도 아니지 않습니까? 그동안 있어 온 생식작용生殖作用의 자손생산子孫生産으로 충분하지 않을까요. 하하하.
어니: 아이고 하늘님 땅님 맙소사. 이 얼마나 다른 딴 세상이 된 건가요! 모든 여자아이들이 결혼해서 아이 낳아 키우는 일이 이제는 더 이상 당연지사當然之事가 아니라니. 이 얼마나 끔찍하면서도 동시에 엄청나게 경탄할 일인가요.
영: 모성(애)은 동서양이 다르지 않네요. 여성이 회제話題의 주제主題와 소재素材라면, 그 목적目的과 대상對象은 어린애이지요. 모성애가 아니었더라면 인류의 진화과정이 중단되었을 것입니다. 그 한 예로 영국의 왕실 가족을 생각해보세요. 아주 어려서 엄마를 잃은 때부터 다이애나Diana는 끔찍이도 그리운 엄마의 모성애에 굶주렸었지요.
코스: 그녀는 그 얼마나 불운不運하게 가엾은 어린 소녀였나요!
영: 그뿐이 아니었죠. 열두 살 위의 찰스 왕자와 결혼한 후에도 남편이 연상年上인 그의 첫사랑과 혼외정사婚外情事를 이어갔으니. 어린아이같이 그는 이 첫사랑 여인에게서 엄마 같은 모성애를 추구하다가 다이애나가 그토록 비극적으로 죽고 난 다음 이 여인과 결혼했으니까요.
진: 엄마들은 모든 동경憧憬과 그리움의 영원한 대상이지요. 추호秋毫의 의심疑心이나 이론異論의 여지餘地 없이 다이애나 왕세자비에게나 찰스 왕자에게도 그렇다고 해야겠지요.
영: 어린아이에게 엄마는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피난처避難處 항구港口입니다. 카밀라 파커 보울스(찰스 왕세자의 후처)는 찰스 왕세자가 그토록 갈망 渴望해온 모성애를 그에게 제공했음에 틀림없어요. 그리고 다이애나의 아들 해리 왕자도 그가 단 하루도 그의 (죽은) 엄마를 애타게 그리워하지 않은 날이 없다고 했다지요.
태: 아마도 그래서 나는 젊은 아가씨들에게 늘 경고했나 봅니다. 어떤 남자와 결혼하게 되든 결혼이 아니고 양자養子 그것도 제일 어린아이를 입양入養하는 거라고.
우리의 저녁 식사 대화는 끝도 없이 이어졌다. 물론 그녀들은 실체實體가 없는 단지 개념槪念 일 뿐이었다. 그녀들은 허구적虛構的 유령幽靈 같은 환영幻影으로 내가 우리의 마지막 축제 파티에 초대한, 다름 아닌 나 자신의 분신分身/分神들이었다.
코스: 아쉽고 슬프게도 이 축제 파티가 끝나가고 있으니 우리 화제話題를 좀 바꿔서 우리가 헤어지는 이별離別에 대해 얘기해 볼까요.
카스: 만나고 헤어짐이, 삶과 죽음이, 카오스와 코스모스가 샴쌍둥이처럼 분리分離될 수 없는 게 아닌가요.
어니: 꽃은 피었다지고, 사람은 나고 죽어요. 그러나 그렇다고 슬픔이라 말하지 말아요. 이는 들숨 날숨과 같은 거니까요. 생각 좀 해 봐요. 숨을 들이쉬고 내쉬지 않고 어떻게 호흡이 이어질 수 있겠어요. 죽음이 없는 탄생을 상상해 봐요. 영원무궁토록 늙지 않고 죽지 않는다고. 그러면 젊은 것도 사는 것도 아니지요. 끝나지 않는 소풍은 소풍이라고 할 수 없지 않은가요? 이별과 죽음이 없다면 사람이 신神을 만드는 일도 없었을 거에요.
아: 우리가 결혼한 지 5개월 만에 남편이 세상을 떠났을 때 그와의 작별이 내가 경험한 가장 고통스럽고 슬픈 일이었어요.
아나: 이 말이 좀 매정하게 들릴지 몰라도 페르시아의 신비주의 시인이자 이슬람 법학자 잘랄레딘 모하마드 루미Jalal ad-Din Mohammad Rumi(1207-1273)가 말한대로 “눈으로 사랑하는 사람들이 하는 것이 작별인사다. 가슴속 마음과 영혼으로 사랑하는 사람들에겐 이별 같은 건 없기 때문이다. Goodbyes are only for those who love with their eyes. Because for those who love with heart and soul there is no such thing as separation.”
진: 독일의 낭만적인 작가 장 폴 리히터Jean Paul Richter (1763-1825)는 이렇게 표현했어요. “사람의 느낌 감정感情은 언제나 만나고 헤어지는 순간에 가장 순수純粹하고 빛난다. Man’s feelings are always purest and most glowing in the hour of meeting and of farewell.”
태: 그건 누가 뭘 느끼는가에 따라 다르지 않을까요? 내가 일찍 배워 알게 된 걸 얘기해 볼께요. 1949년 내가 중학교에 들어가 처음 영어를 배우기 시작하면서 그 뜻이 서로 상반相反되는 두 문장을 발견했어요. 그 하나는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에서도 멀어진다. Out of sight, out of mind.’이고 또 하나는 ‘떨어지면 더 그리워진다. Absence makes the heart grow fonder.’였어요.
둘 다 맞는 말이라면 어떤 말이 어떤 경우에 맞는 말일까 궁금했어요. 한 참 고민苦悶 고민하며 고심苦心 끝에 나는 이런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네가 그 어떤 사람의 하반신下半身을 주로 사랑할 때는 전자前者일 테고, 네가 그 사람의 상반신 上半身을 진정으로 사랑한다면 후자後者 일 것이라고. 왜냐하면 한 사람의 유일무이唯一無二한 인격人格과 개성個性은 대치代置할 수 없지만 사람의 생물학적 生物學的 하반신 구조構造는 거기서 거기 다 비슷비슷한 까닭에 얼마든지 대체代替가 가능하리라는 이유理由에서였지요.
카스: 자, 그럼, 죽음이란 무엇일까요?
어: 너도나도 인간 사람뿐만 아니라 모든 존재는 조만간早晩間 그 언젠가는 다 (죽어) 없어질 것 같지만 진실로는 우리 모두 다 사랑의 무지개 타고 코스모스 바다와 하늘로 항해하고 비상하는 코스미안들임을 나는 여러분에게 확실히 알려드리는 거예요.
태: 나의 신탁 신탁神託 점복占卜 점쟁이라도 된듯, 법정 스페인어 통역관 동료이자 벗인 라파엘 포티시Rafael Fortich는 나에게 이런 시구詩句 하나를 읊어 주었어요.
”난 그대가 알아주기를 바라네. 모든 행동에는 그 반응反應이 있어 코스모스 우주 속 삶에서 우연偶然의 일치一致란 없다는 걸. 우린 폭풍에 흔들리는 조각배와 같아 아무것도 없는 무無 라는 소용돌이에 휩쓸려 침몰하지 않기 위해 위대한 사랑의 돛대 매스트mast를 꼭 움켜잡아야 한다네. I only want you to know that every action elicits a reaction, then nothing is a coincidence in this life of the Cosmos, in which we are like barges at the mercy of the storm; hence we should grab the great mast of love not to fall into the pit of nothingness.”
진: 칠레의 세계적으로 유명한 노벨수상의 시인이자 교육자 가브리엘라 미스트랄Gabriela Mistral의 이 시구詩句는 나를 대변하고 있어요. “그대는 관능적官能的인 감각을 자극하기 위해서가 아니고 영혼에 자양분滋養分을 주기 위해 아름다울 미美를 창조하리. You shall create beauty not to excite the senses but to give sustenance to the soul.”
어니: 죽음을 두려워하기보단 삶을 소중히 다루는 게 낫지 않나요? 죽지 못해 산다는 건 당신의 영혼을 파멸시키는 거죠. 그 어떤 의욕이나 열정도 없이 산다는 건 아무런 의미가 전혀 없을 테니까요.
태: 난 젊었을 때 실연자살失戀自殺을 시도한 적이 있습니다. 자신의 목숨을 스스로 끊는다는 건 너무도 쓸데없이 부자연스럽고 더할 수 없이 어리석은 짓이지만, 자연사自然死는 축복이지요. 죽음이 없다면 사랑하고 즐길 삶도 없는 것 아니겠습니까? 죽음이 있기에 삶의 모험冒險이 가능하고, 모험 중의 모험인 신비神秘스러운 마볍魔法 같은 사랑의 기적이 일어날 수 있지 않던가요.
영: 출생이 행복이라면 죽음 또한 그렇죠. 처음과 끝은 같은 것이니까요.
코안: 그대가 그대의 사고방식을 바꿔서 그대가 코스모스와 하나가 될 수만 있다면 그땐 탄생이 잔치이듯이 죽음 또한 잔치가 되지요. 그렇다면 뭘 걱정하겠습니까. 내가 죽더라도 나는 코스모스 우주 그 자체일 텐데요.
나는 냉장고에서 쌀로 담근 곡주穀酒를 꺼냈다. 술을 끊은 지 오래됐지만 오늘 밤엔 한잔하고 싶어졌다. 이것이 그녀들과 나누는 나의 마지막 만찬晩餐이 될지 모르니까.
영: 자, 이제 우리 사회제도社會制度에 대해 얘기 좀 해 볼까요. 자본주의資本主義와 공산주의共産主義 또는 민주주의民主主義와 사회주의社會主義가 인간이 창조한 최선의 제도일까요? 더 나은 제도는 없을까요? 어쩌면 이 제도들은 우리가 입는 옷과 같아서 어떤 건 우리 몸에 더 잘 맞거나 안 맞거나 하겠지요.
어: 이 지구地球 지상地上엔 완전무결하고 완벽한 제도란 없어요. 인간이 그렇지 못한데 어떻게 그런 제도가 가능할 수 있겠어요? 자연自然이 있는 그대로 완전하고 완벽하다면 인간도 그렇다고 봐야죠. 인간도 자연의 일부이니까요. 만일 인간이 로봇 같다면 삶이 견딜 수 없도록 그 얼마나 재미없고 지루하겠어요? 어쩌면 그래서 인간이 불완전하게 태어난 게 아닐까요. 각자가 각자 대로 스스로를 신격神格으로 한 단계 높여 업그레이드 up-grade 시키든가 스스로를 짐승 같은 수격獸格으로 낮춰 down-grade 할 수 있도록 말입니다.
태: 어린 소년 시절부터 나는 인간이 신神과 동물動物 사이에서 태어난 ‘튀기’라고 판단했습니다. 대자대비大慈大悲의 신神은 하늘에서 살고 약육강식弱肉强食의 짐승은 땅에 산다면 인간은 어디서 살아야 할까? 나는 무진장無盡藏 고뇌苦惱하고 고민 苦悶했습니다.
모든 인간은 땅을 밟고 삽니다. 현실을 초월할 수도 망각할 수도 없기에 우리는 다 땅을 밟고 삽니다. 그렇지만 우리가 얼굴만은 하늘을 우러러 살아야 하는 것이 인간 된 도리라고 나는 판단한 것입니다.
그리고 또 나는 이런 결론을 내렸습니다. 진실로 이상理想은 정말 실현實現될 수 없는데 그 뜻과 의의意義가 있을 거라고. 하늘이 끝도 한도 없이 높은 것 같이 영원히 실현될 수 없는 이상을 추구함으로써 인간은 끝없이 노력하고 따라서 한없이 발전할 수 있으리라고.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시인 윤동주의 ‘서시序詩’에서처럼 우리 모두 그와 같이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기를”
염원하고 기원하면서 영원한 ‘인간 수수께끼’를 풀어보리라고.
아: 나처럼 모든 코스모스 우주의 아이들은 세상의 그 어떤 제도制度, 교리敎理, 교의敎義, 학설學說, 주의主義, 주장主張, 이념理念과 사상思想 등에 구속拘束 구애拘碍 받지 않고, 새장에 갇히지 않은 새처럼, 깃털같이 가볍게, 바람 같이 자유롭습니다.
코안: 이런 자유아自由兒 자유인自由人들Free Spirits은 석가모니나 예수처럼 세상의 모든 화석화化石化된 성상파괴자聖像 破壞者들iconoclasts이 아니었습니까? 카스트caste 신분제도 다, 가족제도다, 결혼제도다, 국가제도다, 유대교 시나고그 회당이다, 이슬람 사원이다, 가톨릭 성당이다, 기독교 교회당이다, 불교사원이다 등 말입니다.
코스: 사랑만이 이 모든 분열적分裂的인 경계선境界線 장벽障壁 바운더리boundary를 허물고 모든 사람과 모든 것을 하나로 통일 통합할 수 있습니다.
영: 고전적古典的인 그 한 예가 로미오와 줄리엣Romeo and Juliet이고 또 한 예가 사랑을 위해 영국 왕관을 내려놓은 윈저공 公과 미국의 이혼녀 심프슨 부인 이야기 아닙니까? 어떤 사람들은 이들을 ‘미쳤다’고 치지도외置之度外하겠지만 나이 95세에도 자식이나 손주에게 왕위를 물려주지 않고 있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로미오와 줄리엣이나 윈저공처럼 사랑에 중독中毒된 로맨스의 노예는 아니지만 그 거추장스럽고 무거운(?) 왕관의 노예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태: 사람들은 돈과 명예와 권력이 아니더라도 알콜 술, 마약, 도박, 섹스, 스포츠, 등에 중독되어 있지 않습니까? 또 많은 사람들이 알라다 예수다 여호와다 하는 허깨비 같은 각종各種 신神에 중독中毒/重毒되어 있지 않나요? 이런 것들에 미치면 당신이 타락墮落하게 되고 이런 것들이 당신의 삶을 망치지만 사랑만큼 은 우리를 순화純化, 정화淨化, 승화昇華시켜 우리 모두 사랑의 무지개를 탄 코스미안이 되게 해줍니다.
원효 대사는 이렇게 말했다지요. “태어나지 마라. 죽는 게 고통스러우니까. Do not be born, for dying is painful.” 나는 이렇게 말하고 싶어요. “태어나라. 삶은 즐겁고 기쁜 일이니까. 죽어라. 새로 다시 태어나는 게 경이驚異로우니까. Be born. Life is joyful. Die. To be born anew is wonderful.”
석가모니 부처는 생로병사生老病死와 희노애락喜怒哀樂 때문에 인생은 고해苦海라고 했다지만, 나로 말할 것 같으면 이 생로병사와 희노애락 모든 것 때문에 우리 인생 삶은 그 더욱 흥미진진 興味津津하고 즐겨볼 수 있는 드라마요 신나게 경험해볼 만한 모험이 아니겠는가 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내 인생 85년 동안 평생토록 계속되는 ‘코스미안 노래 Cosmian Song’입니다. 그래서 우리 모두의 ‘자화상自畵像’이라 할 수 있을 ‘바다’란 동시를 내 나이 열 살 때 지어, 그리고 우리 모두의 자서시自敍詩라 할 수 있을 ‘코스모스’를 내 소년 시절 지어, 평생토록 나는 읊조리고 있는 것이지요.
바다
영원과 무한과 절대를 상징하는
신神의 자비로운 품에 뛰어든
인생이련만 어이 이다지도 고달플까.
애수哀愁에 찬 갈매기의 고향은
정녕 출렁이는 파도 속에 있으리라.
인간의 마음아 바다가 되어라.
내 마음 바다가 되어라.
태양의 정열과 창공의 희망을 지닌
바다의 마음이 무척 부럽다.
순진무구한 동심과 진정한 모성애 간직한
바다의 품이 마냥 그립다.
비록 한 방울의 물이로되
흘러흘러 바다로 간다.
The Sea
Thou, symbolizing
Eternity, infinity and the absolute,
Art God.
How agonizing a spectacle is life
In blindness tumbled into Thy callous cart
To be such a dreamy sod!
The homeland of the gull
Of sorrow and loneliness full.
Where would it be?
Beyond mortal reach would it be?
May humanity be a sea of compassion!
My heart itself be a sea of communion!
I envy Thy heart
Containing passions of the sun
And fantasies of the sky.
I long for Thy bosom
Nursing childlike enthusiasm
And all-embracing mother nature.
Although a drop of water,
It trickles into the sea.
코스모스
소년은 코스모스가 좋았다.
이유도 없이 그냥 좋았다.
소녀의 순정을 뜻하는
꽃인 줄 알게 되면서
청년은 코스모스를
사랑하게 되었다.
철이 들면서 나그네는
코스미안의 길에 올랐다.
카오스 같은 세상에서
코스모스 우주를 찾아
그리움에 지치지 않는 노인은
무심히 뒤를 돌아다보고
빙그레 한번 웃게 되리라.
걸어온 발자국마다
무수히 피어난
코스모스 발견하고
무지개를 좇는
파랑새의 애절한 꿈은
정녕 폭풍우 휘몰아치는
저 먹구름장 너머 있으리라.
사랑의 무지개배 타고
코스모스바다 위로
하늘하늘 날아보리
코스모스 칸타타 부르며
모두 다 아름답고
모두 다 경이롭고
모두 다 좋다고…
This is the Cosmian Song I’ve been singing all my life.
When I was a boy,
I liked the cosmos,
Cozy and coy
Without rhyme or reason to toss.
Later on as a young man,
I fell in love with the cosmos,
Conscious of the significance
Of this flower for me sure,
The symbol of a girl’s love pure.
As I cut my wisdom teeth,
I took on the Cosmian path,
Traveling the world far and near
In my pursuit of cosmos
In a chaotic world.
Upon looking back one day,
Forever longing, forever young,
Never aging and never exhausted
By yearning for cosmos,
I’d have found unawares numerous cosmos
That had blossomed all along the road
That I had journeyed.
The dreamland of the bluebird,
Looking for a rainbow,
Where could it be?
Over and beyond the stormy clouds,
Lo and behold, there it is,
The wild blue yonder
Where you can sail and soar
In the sea and sky of cosmos
Arainbow of Love
Chanting Cosmos Cantata:
All’s beautiful!
All’s wonderful!
All’s just well!
우리는 오늘 밤 너무도 뜻깊고 보람찬 파티를 즐겼다. 그녀들은 모두 다 다시 시간과 공간의 경계 너머 코스모스 우주로 되돌아 갔다. 내가 그녀들을 만날 수 있었다는 건 나의 가장 큰 행운이었다. 그녀들로 인因해 사랑과 경이로움에 충만充滿한 내 삶의 모험을 나는 즐겨 만끽滿喫할 수 있었다.
The Cosmian Festival
I sold my wig store in New Jersey and became a court interpreter in New York. I began to interpret things through a kaleidoscope of variegated colors and creeds of humanity either prescribed or proscribed by all kinds of custom, dogma, law and regulation. As I started to see things from the cosmic perspective, I’ve come to realize that we all are Cosmians on our cosmic journeys arainbow of love.
A Cosmian is no avatar of the Cosmos, but the Cosmos itself. All things are made of cells, molecules and particles of love. So is the fact that flowers are blooming; stars are twinkling; and that I am loving you, whatever or whoever you are.
All synonyms of love are Cosmian. So is life free of delusions and illusions. A Cosmian is shackled neither by obsessions nor by possessions, neither by pleasures nor by pains of any sort. A Cosmian loves both life and death, in joy and sorrow, as one.
I invited all the ladies who helped me to find and fulfill myself to the Cosmian Festival I’m hosting tonight.
They are my dear Cosmians. They are my Goddesses, maestras of life laboring in love. First to arrive was the Mother, followed by the Athena, the Truth/ Goodness/Beauty, the Cosmos, the Chaos, the United Kingdom, the Child, the Arainbow and the Cosmian.
Sitting at the round table and drinking tea, we were admiring all the beauty of the world one cares to behold.
All excited, my suddenly reawakened, rejuvenated and revitalized libido jumped out of me and was swimming through the sea of stardust in their eyes to pick their cherries ripened on their sweet lips.
The words we’re going to share will become scintillating stars in the dark sky.
Tae-Sang (T): Thank you my dearest Ladies for coming across time and space. Let’s freely talk about anything without restraints and taboos.
Athena (At): Speaking for all of us here, thank you, Tae-Sang, for your invitation.
T: People are anxious to get to their destinations without knowing where they are heading for.
United Kingdom (UK): Those who know their destinations are the awakened ones. In order to be aware what’s happening, one has to find one’s true identity and purpose.
Chaos (Ch): If misdirected, how fast and how far you go is pointless. isn’t it?
Cosmos (C): Apart from metaphysical issues, what about all the mundane affairs, which are nothing short of warfares hell-bent on winning?
Truth/Goodness/Beauty (TGB): As you know, Cosmos, people are eager to sell their souls for the ephemeral, evanescent, mirage-like fortunes of fame, money and power.
As we went on, the cool evening breeze was dancing and caressing the ladies getting warm by the interesting subjects.
Mother(M): The world is a battleground where people fight for greed, not for hunger.
Arainbow (A): But if it wasn’t for greed, evolution would not have happened.
Cosmian (Cn): People are foolhardy to make life so difficult and miserable by becoming so heavy-hearted and too serious about every little thing. It’s like being penny-wise and pound-foolish. Isn’t it?
M: The thing is that people make problems and troubles where there are none. Life is a great feast to enjoy, singing and dancing to the music of the Cosmos.
At: As John Lennon and Yoko Ono demonstrated by their performance art to get their urgent message of the song Imagine get across, how different life would be for everybody and everything if we just made love, not war. But, alas, look at me. I would not have come into being if there were no wars.
T: As Jawaharlal Nehru(1889-1964) was quoted as saying: “The only alternative to coexistence is codestruction.”
Nevertheless, even war-making may be the process of progressing from Chaos to Cosmos. In the final analysis, predators and preys are serving the same purpose complementing each other to make every-thing perfect, methinks.
Ch: People prefer being born princes or princesses to building one’s own world. You can turn a misfortune into a fortune, making a cosmos out of chaos or vice versa. The point is wherever you go, it will be a heaven with love, but a hell without love, depending on whether you are on the same or different wavelength, so to speak.
U.K.: As you all know, I have been at the pinnacle of world power. That’s how I know how sweet and addictive are the temptations of dominance, a life of privilege and wealth, a sense of chosen species. The British Empire was built by piracy all over the world, in accor-dance with the law of the jungle and the natural principle of survival of the fittest.
TGB: Even so, thank heaven and earth, it’s the privilege of humans to seek endlessly the truth, goodness and beauty.
C: People look down on prostitutes but wasn’t Mary Magdalene a friend, or a disciple of Jesus, if not his wife? When you think about it, as ‘comfort women,’ they provide far more beneficial, charitable services of mercy, when they embrace men as mothers hold babies in their arms. They take a pittance and give great pleasure, whereas mercenaries and soldiers give pain and take lives. Let’s compare them with all the high-priced sacred and noble, looked-up-to guys: clerics, lawyers, physicians and politician, prostituting themselves in the name of God, Law, Medicine, and Patriotism, and what-not.
Thus saying, sipping jasmine tea, the Cosmos was commiserating with all the slaves of sex, housekeeping and childcare of the world, and all the other ladies nodded in unison.
Child (Cd): I think love is life, or rather life is love, no matter whether it’s a prostitute’s physical life/love or a nun’s spiritual life/love. Love as life is the everlasting light, the source of all that is noblest, purest, the most beautiful in the human life, the perfect organism/orgasm, that is.
Cosmian (Cn): True! Love is manna from the Cosmos. I want to share this crucial, the most essential, food with all the dying of hunger.
M: In a grain of rice, therein lies all the energy and ether of soil, sun and wind, grown by the drops of toiling farmer’s sweat. So partaking of a meal is participation in the order and providence of the Cosmos. And an act of eating is an awakening as well as a metaphor.
T: Dearest Mother, I’m the fruit of your love, soaked in your blood, sweat and tear. I worship all the mothers of the world with my deepest gratitude.
At: I doubt if all the mothers of the world deserve to be worshipped. The so-called Mother Nature is not a matter of course, and it shouldn’t be taken for granted.
A: This is really shocking that there is no natural Mother Nature. If Mother Nature is an innate instinct, wouldn’t it be only natural, Athena?
At: That Mother Nature is an instinct that makes anything possible and that motherhood must be borne by all women at any cost is the most outrageous anachronism of today. It cannot be imposed and forced upon women any longer. It is the terrorism committed against women. It’s long past time to make a transition from the instinctive to the subjective motherhood, Don’t you agree?
Ch: Nowadays, many girls nip the bud of Mother Nature before it gets fully developed by giving up on getting married to have children. It’s a matter of choice, not a pre-destined and pre-ordained obligation or mission to be accomplished at all costs.
Cd: I do agree. There are some girls like myself who can’t and won’t go all in into motherhood. I’d rather put a period to the hereditary cloning of my DNA, in order to enjoy my carefree single life. This is my way of loving myself.
Cn: The dogma of the Mother Nature’s indisputability is fascism. When you get over this socially indoctrinated motherhood, your own subjective Mother Nature will develop naturally.
T: Mother Nature and women are such interesting and mysterious subjects we can go on discussing endlessly.
Cd: I haven’t given birth to a child. I don’t welcome the propagation of humanity, because I deplore the appalling reality that humans have been destroying the natural order of the Cosmos, polluting the air, water and everything else of Nature. What am I? Come to think of it, am I nothing more or nothing less than a gene pouch generated by the union of my father’s sperm and my mother‘s egg? We’ve had enough of the gene reproduction. Hahaha.
M: Oh, for my good heaven and earth’s sake, what a different world it is nowadays. It’s no more matter of fact that all girls must get married and have children to raise. It’s awful and awesome at the same time.
UK: Mother Nature is the same regardless of the East or of the West. Its subject is the woman and its object is her child. But for the Mother Nature, the human evolution would have been discontinued. Think about the British Royal Family, for example. Diana missed it since she became motherless early in her life.
C: What an unlucky poor girl she was!
UK: On top of that, she was not happy after she married 12-year-older Prince Charles, as her husband carried on an extramarital affair with his first love, who was older than him. Like a child, he sought mother-like love from this woman whom he married after Diana died so tragically.
TGB: Mothers are the eternal objects of all longings. So was it, no doubt, for Princess Diana and Prince Charles.
UK: Mother is the safest haven for a child. Camilla Parker Bowles (Camilla, Duchess of Cornwall) must have been providing the mother-like love that Prince Charles craved. Diana’s son Prince Harry, too, confessed that there was never a day when he didn’t miss his mother.
T: I guess that’s why I keep warning young girls that when they marry a man, they’ll be adopting a child, the youngest one at that.
Our conversation at the dinner table went on endlessly. Of course, these ladies had no substance, and had only concepts. They were only fictional phantom characters, none other than my alter egos, whom I invited to this final party of ours.
C: Let’s change the subject now and talk about parting when this party is going to be over, sadly.
Ch: Meeting and parting, life and death, cosmos and chaos are inseparable, like Siamese twins.
M: As flowers bloom and fall, humans are born and die. But don’t say it is sadness. It’s more like breathing in and breathing out. Think about it. How can the breathing go on without in and out. Imagine the birth without the death. Imagine one is young and lives forever. That wouldn’t be being young and living. A picnic that never ends is no picnic at all. Would it?
UK: Were it not for farewells or passing away, God might not have been invented by humans.
Cd: Saying goodbye is the most painful and saddest feelings I experienced when I lost my husband five months after our wedding.
At: This may sound heartless. But as Rumi said:
“Goodbyes are only for those who love with their eyes. Because for those who love with heart and soul there is no such thing as separation.”
TGB: As Jean Paul Richter put it:
“Man’s feelings are always purest and most glowing in the hour of meeting and of farewell.”
T: Wouldn’t it depend on who feels what? Let me tell you what I learned early on. When I first started learning English in my first year of middle school (7th grade), I came across two contradictory sayings.
One was ‘out of sight, out of mind’. The other one was: ‘Absence makes the heart grow fonder.’ If both were true, I wondered, which one would apply to which circumstance. After much agonizing meditation, I came to the conclusion. If you like mainly a person’s lower half, the former applies, while if you are really in love with a person’s upper half, the latter will stand. My reasoning was that a person’s one and only, unique character and personality was irreplaceable whilst a person’s biological anatomy could easily be available. Hahaha.
Ch: Now, then, what is death?
A: Not only humans but all beings are mortal. Or rather we all are Cosmians afoot for a cosmic journey, afloat and aflight, arainbow of love, I reassure you all my fellow mortals.
T: My dear friend Rafael Fortich who served as my oracle recited this verse to me:
“I only want you to know that every action elicits a reaction, then nothing is a coincidence in this life of the Cosmos, in which we are like barges at the mercy of the storm; hence we should grab the great mast of love, not to fall into the pit of nothingness.”
TGB: Gabriela Mistral spoke for me when she wrote this verse:
“You shall create beauty not to excite the senses but to give sustenance to the soul.”
M: It’s better to care about life than to fear death? Living because you cannot die destroys your soul. There’s no point in living without will and enthusiasm.
T: In my youth, broken-hearted, I confronted death. Taking one’s own life is undesirable, but natural death is a blessing. Without death there is no life to love and enjoy. Because of death, the adventure of life is possible, so is the adventure of all adventures, the miracle of love.
UK: If birth is happiness, so is death. For the beginning and the end are the same.
Cn: Only if you change your way of thinking so that you and the Cosmos become one, then as birth is a feast, so is death. Why worry, when I’m the Cosmos, even if I die. Hahaha.
I took out some rice wine from the fridge. Although I quit drinking a long time ago, tonight I wanted to have a drink as this may be the last supper with my ladies.
UK: Now let’s talk about systems. Would capitalism and communism, or democracy and socialism be the best systems humans created? Wouldn’t be there any better ones? Perhaps these systems are like clothes that fit somewhat better than others.
A: There is no perfect system on earth. Since no humans are perfect, how could there be perfect systems? If only the Nature is perfect as it is, then humans are perfect too, because humans are part of the Nature. If humans are like robots, then, isn’t life unbearably boring? Maybe that’s why humans are born perfectly imperfect so that it’s up to each and every one of them either to upgrade oneself to become divine or to downgrade oneself to become beastly.
T. From early on, I judged that humans are hybrids between the divine and the beastly. If the divine resides in the heaven and the beastly dwells on earth, where should humans live, I wondered. There is infinite distance between the ideal and reality. The heaven cannot be the earth, nor can the earth be the heaven. All humans have to keep their feet on earth since they cannot ignore or transcend the reality.
And yet, they must look up, connecting to the sky, though grounded to Gaia (Mother Earth). The ideal is not meant to be achieved, I gather. Once achieved, it’s no longer an ideal but realty; hence we should strive forever for perfection. This is the path for the human beings, I decided. Any human who realizes this premise will be living the life of the enlightened.
Ch: The best fit for humans are their birthday suits. Have you seen animals, plants or rocks wearing clothes? All the creatures live as they were born. That’s their natural systems? Hahaha
Cd: Like myself, all the children of the Cosmos are unencumbered by any kind of systems or doctrines whatsoever, as free as a bird, as light as a feather, like a wind.
Cn: Weren’t all the free spirits like Buddha and Jesus breakers of all the sacred icons and systems of caste, family, marriage, state, synagogue, temple and what not?
C: Love alone going beyond any kind of boundary unites with all, no matter what.
UK: A classic case in point in literature is Romeo and Juliet. Another in history is Duke of Windsor and Mrs. Simpson. Some people may dismiss them as ‘crazies’, captives of passion, or rather slaves of romance, intoxicated in love.
T: People are addicted to alcohol, drugs, gambling, sex, sports, if not to fame, money, and power. Some people are Allah/Jesus/Jehovah/ God-intoxicated. Aren’t they? If you are crazy about these things, they can corrupt you and ruin your lives. But, mind you, only love purifies and uplifts you to become Cosmians Arainbow of Love.
Wonhyo warned: “Do not be born, for dying is painful.”
I disagree. I would say: “Be born. Life is joyful. Die. To be born anew is wonderful.”
Buddha bespoke that life is a bitter sea because of birth, aging, sickness and death; on account of happiness, anger, sorrow, and pleasure. As for me, owing to all of them, life is all the more enjoyable, far more interesting and intriguing.
This is the Cosmian Song I’ve been singing all my life.
Cosmos
When I was a boy,
I liked the cosmos
Cozy and coy
Without rhyme or reason to toss.
Later on as a young man
I fell in love with the cosmos,
Conscious of the significance
Of this flower for me sure,
The symbol of a girl’s love pure.
As I cut my wisdom teeth,
I took the Cosmian path
Traveling the world far and near
In my pursuit of cosmos
In a chaotic world.
Upon looking back one day,
Forever longing, forever young
Never aging and never exhausted
By yearning for cosmos,
I’d found unawares numerous cosmos
That had blossomed all along the road
That I had journeyed.
A dreamland of the bluebird
Looking for a rainbow,
Where could it be?
Over and beyond the stormy clouds,
Lo and behold, there it is
The wild blue yonder
Where you can sail and soar
In the sea and sky of cosmos
Arainbow of Love,
chanting
Cosmos Cantata:
All’s beautiful!
All’s well!
All’s wonderful!
We’ve had the most amazing party and the ladies returned across time and space to the Cosmos.
It was the greatest fortune for me to meet them. Thanks to them, I could have enjoyed this adventure of my life full of miracles of love and wonder.
[이태상]
서울대학교 졸업
코리아타임즈 기자
합동통신사 해외부 기자
미국출판사 Prentice-Hall 한국/영국 대표
오랫동안 철학에 몰두하면서
신인류 ‘코스미안'사상 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