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침 지인에게서 이메일로 받은 ‘어느 재미교포가 쓴 글’을 옮겨 본다.
"한국에 와 보니 웬만한 동네는 모두 고층 아파트가 되어있다. 가정집뿐만 아니라 심지어 공중화장실에도 미국에서는 부자들만 쓰는 비데가 설치되었고, 주차티켓을 뽑는 그런 촌스런 행동은 하지 않고 우아하게 자동인식으로 주차장에 들어간다. 모든 대중교통은 카드 하나로 해결되고 집에 앉아서 롯데리아 햄버거를 배달시켜 먹고 어느 집을 가도 요즘은 비밀번호나 카드 하나로 모든 문을 열고 들어간다. 열쇠, 주차티켓, 화장실 휴지 등등은 이제 구시대의 물건이 되었다.
차마다 블랙박스가 달려있고 방문하는 집마다 거실에 목받이 소파가 있고 집안의 전등은 LED이며 전등, 가스, 심지어 콘센트도 요즘 은 리모컨으로 켜고 끈다. 미국에서 나름대로 부자 동네에서 살아온 나도 집마다 구석구석에 박혀있는 사치스럽고 고급스런 제품들에 놀라고 부러워하며 마치 예전에 일본제 제품들을 보는 듯한 신기함에 빠지고, 내 삶은 마치 2~30년은 과거에 살다 온 느낌이 든다.
오늘도 너무나 부드럽고 고급스런 창문을 열면서 우리 집의 뻑뻑거리며 자주 레일을 벗어나는 문을 이렇게 바꾸면 얼마나 좋을까? 부러움으로 괜히 창문을 열었다 닫았다 해 본다. 집집마다 수십 개의 스포츠 채널을 포함, 끝없는 채널이 나오고 가는 곳마다 즉 지하철, 고속철도, 음식점, 상점가, 심지어는 버스 정류장에서도 자동으로 초고속 와이파이가 잡힌다. 역마다 정류장마다 몇 분 후에 내가 기다리는 차가 온다는 정보도 뜨니 옛날처럼 도로를 쳐다보며 버스를 놓칠까 염려하는 모습은 사라진 지 오래다. 나도 우아하게 비데를 사용하며 편리한 지하철, 고속열차를 이용하고 요금이 싼 택시도 타고 다녀보고, 그리고 몇 걸음만 걸으면 먹을 수 있는 수 없이 다양한 음식과 디저트를 즐기면서 목받이 소파에 눕듯이 앉아 수 많은 채널을 돌려가면서 이 고급스런 생활을 며칠만 있으면 두고 떠난다는 것이 못내 아쉽다.
그런데 아이러니한 것은 만나는 사람마다 한국에 사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를 토로한다. 전셋값이 얼마나 비싼지, 정치는 얼마나 헛짓을 하는지, 아이들 교육시키기가 얼마나 힘이 드는지, 만나는 사람마다 자신이 지옥에 살고 있다고 모두들 아우성이다. 돈이 없다고 하면서 땅이나 주식투자 안 하는 친구들이 거의 없고, 고급차 한대 안 가지고 있는 사람이 별로 없고, 아이들 스포츠나 과외 안 시키는 사람이 드물다.
같은 가격이면서 우리 집보다 방은 두 배 많고, 연이자도 2% 대인 모기지를 가진 한국에서 전세라는 훌륭한 제도를 통해 매달 이자를 안 내고 살 수도 있는 이곳 사람들이 오늘도 모기지(부동산 담보 대출 이자)로 매달 3~4천 불을 내며 미국에 사는 우리들보다 행복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연봉이 나보다 반이나 적은 사람이 나보다 더 좋은 차를 몰고 더 비싼 걸 먹고 더 편리하고 더 고급스런 제품이 가득한 삶을 살면서도 만족스럽지 않은 진짜 이유는 무엇일까?
의료보험은 열 배나 싸고 치료비도 열 배 싸게 느껴지는 이곳에서 같은 10불짜리 밥을 먹어도 팁이 없어서 늘 몇 프로 할인받는 느낌인 이곳에서 대부분 사람들이 느끼는 삶이 지옥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참 신기하다. 50대가 되면 쫓겨나야 하는 현실, 줄어드는 일자리에 대한 말을 많이 듣지만 실제로 내 주변에 해고당한 사람은 한국보다 미국이 훨씬 많은데.
미국의 반도체 기업 3사의 엔지니어들이 직업을 잃어, 몇 개월을 다른 일자리를 찾아 헤매도 쉽지 않은 나로서는 미국이 일자리가 더 안정되었다는 이들의 말에 선뜻 동의하기가 어렵다. 미국 생활이 길어져서 감을 잃어버린 걸까? 아마 나도 이곳에 살아보면 이들처럼 느끼게 되겠지 하며 나는 공감 능력이 확실히 떨어진 상태로 오늘도 수많은 이들의 불평을 듣고 있다. 냉장고를 두 세계 가지고 고기를 종종 먹으며 사시미를 먹고, 좋은 차를 몰고, 편하고 고급스런 집에서 살면서도 만족을 모르고 가난과 위기를 노래하게 된 내 조국, 이들에게 하나님이 주시는 진짜 안식과 평안이 필요함을 느낀다. 언제쯤 되면 우리는 진짜 가난한 북쪽의 동포를 돌아보는 그런 여유가 생기는 진짜 부자가 될까?
스스로 부유한체하여도 아무것도 없는 자가 있고, 스스로 가난한 체하여도 재물이 많은 자가 있느니라. (잠 13:7)
대한민국은 초고속으로 압축 성장한 나라다.
아마도 기네스북에 올려야 할 나라다.
세계가 다 아는데 모르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대한민국 국민이다.
그래서 이민을 가려는 자들이 줄을 선다.
자신은 아니더라도 자식만은 미국에 보낸다.
국회 인사청문회를 보면 거의가 다 그렇다.
자식을 이중국적자로 만든다.
무엇이 불안한지 위장전입도 서슴치 않는다.
그렇게 바쁜 인생들을 산다.
우리나라는 국토도 최선진국이다.
산에는 나무가 너무 많아 간벌을 해야할 지경이다.
공중에서 본 국토는 온통 푸르다.
그리고 넓게 거미줄 같이 뻗은 고속도로,
다목적댐과 4대강 사업으로 물은 항상 넘실댄다.
홍수와 가뭄은 이제 옛날 이야기가 되었다.
더 기가 막히는 사연이 있다.
한민족은 5천 년을 배고프게 살았다.
그러나 지금은 아니다.
쌀이 넘쳐나 저장할 창고가 없다.
그뿐이랴. 각종 먹거리가 산을 이루고 있다.
그래서 뚱보가 늘어나고,
당뇨와 혈압 환자가 줄을 잇는다.
세상은 이렇게 풍요로운데
왜 우리는 바쁘고 불안하고 불만족스러운가?
좁은 땅에 사람이 너무 많다.
그래서 부딪히며 살아간다.
그래서 이웃을 멀리하고 경계한다.
진짜 불안한 이유는 이것이다.
북쪽에 야만인들이 산다.
그들은 배가 등짝에 붙도록 고프면서도
무시무시한 무기를 가지고 있다.
바로 핵폭탄이다.
그런데 이상한 일들이 벌어진다.
그들과 친해지려는 세력이 있다.
대통령이 그들과 한편이라는 의심을 받는다.
그들은 우리를 핵폭탄으로 협박하는데
우리는 대항할 수단이 전혀 없다.
오직 있는 것은 한미동맹인데 그것마저 흔들린다.
그래서 오늘도 불안한 나날을 보내는 것이다.
나라가 흔들리는데 좋은 집, 좋은 교통,
좋은 의료가 무슨 소용인가?
그래서 우리는 잘살면서도 불안하다.
그래서 우리는 불평불만이 많다.
그래서 우리는 나라를 떠나고 싶다.
떠나자니 조국이요, 있자하니 망국이라."
어젯밤 나는 또 다른 지인으로부터 문의 전화를 받았다. 이 70대 지인은 어느 한 (학교를 별로 다니지 않아 학벌이 없는) 50대 '무식'한 사람이 매주 찾아와 한두 시간씩 이런저런 '배움'을 청하는데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를 묻는 전화였다. 그러면서 나이 70대가 되고 보니 주위에 말이 통하는 사람이 없다는 거였다. 그래서 나는 이렇게 짤막하게 내 소견을 말해줬다.
세상에 저 혼자만 잘났다고 쉬지 않고 시끄럽게 떠들어 대는 사람들 천지인데, 배우겠다고 찾아오는 '제자'가 있다니, 이 얼마나 반갑고 큰 '스승'이 아니겠냐며 나는 이 지인을 축복 축하해 주고 나서 이렇게 '蛇足사족'을 달았다.
옛날부터 학벌이 없는 '학무식學無識'은 구제할 길 있어도 '인무식人無識'은 구제할 길 없다고 했듯이, 오늘날 학교에서 배운다는 것이 대부분 순수한 人性인성을 박탈하는 고등 기술 교육으로 말하자면 '인간 기생충'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공장 같은 '반교육反교육' 현장에 불과하지 않은가.
영어로 death-cleaning 이란 단어가 있는데 나이 든 사람들이 세상 떠나기 전에 자신의 소지품을 미리 다 정리 처분해서 유족들의 수고를 덜어주는 일처리 처사를 지칭하지 않는가. 마찬가지로 유형의 잡동사니뿐만 아니라 무형의 정신 심리적인 잡동사니도 되도록 많이 정리해 모든 걸 최소한으로 줄이고 간소화할 필요가 있지 않겠느냐고 나는 이 지인에게 물었다. 그러면서 나의 개인적인 방침을 얘기해줬다.
“80대인 나의 옛 친구나 지인들이 거의 모두 '빨갱이, 노랭이, 파랭 이' 타령이나 하는 소위 일컬어 '좌파 빨갱이'니 '보수 우파 수구 꼴통'이니 해서 대화가 안 통하는 사이라 자연스럽게 인연이 끊어졌고, 몸에 해로운 음식을 기피하듯 마치 세상에 아름다운 산과 바다와 꽃밭도 많은데 굳이 쓰레기 더미에 코를 박고 매사에 불평불만에 차서 남을 헐뜯기만 하는 독성毒性 인간은 멀리해 왔다. 특히 자신 스스로 행복하지 못한 정신 심리적인 불구자들이 남과 세상을 탓하는 법이다. 진정한 배움터는 인생과 우주 자연 자체라고 나는 본다. 더구나 앞으로 살날이 점점 날로 줄어가기만 하는 마당에 보기 좋고 듣기 좋은 것만 듣고 보기도 안타깝게 아쉬운데 말이어라.”
2021년 9월 13일자 뉴욕판 중앙일보 오피니언 [아름다운 우리말] 칼럼 '배우고 또 배우다' 필자 조현용 경희대학교 교수는 '배움의 기쁨'을 이렇게 적고 있다.
"배우는 것은 자라는 것이고, 스스로를 치유하는 일입니다. 배우는 것은 지식을 쌓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배움이 고통이 되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입니다. 배우는 건 좋은 일이고 기쁜 일입 니다. 논어의 시작은 늘 깨달음을 줍니다. 배우고 틈만 나면 익히 는 것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기쁨이라는 선언이 논어의 시작이 기 때문입니다.
무엇을 배울까요? 무엇을 배웠기에 그리 기뻤을까요? 반대로 질문을 던지자면 무엇을 몰라서 고통스르러웠을까요? 몰라도 되는 것이었다면 배울 필요도 없었을지 모릅니다. 몰라도 되는 것을 배울 때 오히려 고통이 밀려올 수 있습니다. 동기가 없기 때문입니다. 배울 이유가 없다 생각하면서 배워야 하니 그 시간이 괴로울 수밖에요.
배움이 기쁨이 되는 가장 중요한 가르침은 내 고통을 더는 겁니다. 옛사람도 그러했겠지만 지금도 비슷한 고통이 있습니다. 대표적으 로는 두려움입니다. 병이 들어 아프고, 가까운 사람을 잃는 것은 참을 수 없는 고통이고, 두려움입니다. 죽음도 두렵습니다. 이 세상을 언제 떠날지 모르기에 두려움이 커집니다. 내세가 궁금하 고, 전생이 알고 싶은 이유일 겁니다. 아프지 않기 바라고, 행복하 기 바라는 것은 모두 고통을 바라보는 내 자세와 관련이 됩니다. 됩니다. 이러한 자세를 배우는 겁니다. 더 이상 고통이 고통으로 되지 않게 배웁니다.
누구에게 배울까요? 우리에게는 고마운 스승이 있습니다. 인류의 스승이라는 분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분들을 눈앞에서 만날 수는 없으나 책을 통해서 접할 수 있음은 기쁜 일입니다. 경전이라고 하는 책, 고전이라는 책은 가르침의 향기를 자아냅니다. 그 향기를 맡으며 우리는 고통을 달래고, 기쁨을 찾습니다. 그런 게 행복이란 것을 압니다.
이제 인류의 스승을 직접 만날 수 없을지 모르나 그 스승에서 이어 져 온 배움이 전통은 만날 수 있습니다. 공자나 소크라테스, 부처, 예수 등은 제자에 제자를 거쳐 지금에 이어져 있습니다. 좋은 스승 은 스승의 말씀이나 자세를 우리에게 전해 줍니다. 오래전부터 이어져 온 가르침과 배움의 기쁨을 스승은 들려줍니다. 눈앞에 보여줍니다. 고마운 순간입니다. 저는 스승의 가르침에 늘 기뻐 합니다.
저는 아침에 일어나면 스승들의 가르침을 되새기는 경우가 많습 니다. 한동안 뉴욕주립대에서 가르침을 받았던 박성배 선생님의 글을 읽었습니다. 2009년 선생님 학교에 연구년을 갔을 때 선생님 의 책을 번역했었습니다. '어떤 한국인의 불교에 대한 논의'라는 책입니다. 출판이 목적이 아니라 공부가 목적이었기에 더 배움의 기쁨이 있었습니다. 이 책은 참선과 깨달음이라는 선생님의 수업 을 들으면서 번역했던 건데, 최근에 참선 강의를 한다는 교수의 소식에 기회가 되면 출간해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더 공부해야겠네요.
또 한참 동안은 전헌 선생님의 요한복음 강의를 정리하며 강의 속 에 빠져 있었습니다. 강의록은 책의 분량을 넘을 정도이고, 폭과 깊이를 헤아리기 어렵습니다. 강의록 정리도 여러 번 읽고 곱씹어 생각하게 하는 기쁨을 줍니다. 저에게만 들려주시는 강의라는 황홀한 착각을 합니다. 그렇게 저를 위로하는 요한복음 강의를 수없이 듣고 있습니다. 이 강의록은 잘 정리해서 출판하려고 합니다.
요즘에는 서정범 선생님이 일본에서 출판하신 '한국의 샤머니즘' 이라는 책을 아침마다 번역하고 있습니다. 일본어를 공부한 보람 을 느낍니다. 선생님의 강의를 학부에서 박사과정까지 다양하게 들었기에 책에서도 목소리를 듣습니다. 일본어를 한국어로 바꾸 면서 선생님의 말투와 목소리까지 담습니다. 이미 돌아가신 지가 10년이 넘었지만 책을 통해 선생님을 만나는 기쁨을 누립니다. 이 책도 출판이 목적이 아니라 공부가 목적입니다만 한국에 출판되지 않은 내용이어서 선생님의 뜻을 잇는다는 점에서 더 공부가 깊어지 면 세상에 보이고 싶은 마음도 있습니다. 늘 이렇게 배우니 참으로 기쁩니다."
이 말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우리 각자는 각자대로 자기 자신을 비롯해 우주 만물에게서 한없이 끝없이 배울 수 있다는 것이리라.
자, 이제 미국 남 다코타주 '우뚝 선 바위'란 뜻의 아메리칸 원주민 인디언 보호지역 'Standing Rock Indian Reservation' 마법사의 말 좀 들어보자.
"우린 한번의 기회가 있을 뿐이다. 하루하루 날마다 선행을 하면 저 세상 영의 세계로 가 다른 선인들을 만나볼 것이다. 그곳에 있는 저울에 네가 한 모든 일들을 달아보고 네 악행이 선행보다 무거우 면 넌 그만이다. 바람에 흩어지는 숨일 따름이다. 사는 동안 동정 심을 가져야 한다. 길거리에서 구걸하는 걸인을 보거든 자선을 베풀라. 네가 주는 동냥으로 그가 술을 사 마신다 해도 네가 걱정할 일 아니고 너는 이미 너의 선행을 한 것이다. 이 바쁜 세상에서 너 는 긴장을 풀어야 한다. 잠시 앉아서 생각하는 동안 넌 사물을 똑 바로 볼 수 있다. 삶이 무엇인지 생각이 떠오를 것이다. 네가 정말 꼭 필요로 하는 것을 기도로 말하고 네 머리가 나쁜 생각 하지 못하 도록 네 마음을 다잡아야 한다. 그리고 조물주 '와칸 탄카 Wakan Tanka'와 접촉해야 한다. 그는 네가 어떤 사람인지 잘 알고 계시고 네 기도를 들어주신다. 우리가 땅바닥에 기는 개미새끼들 같아도 그는 다 보고 계신다. 이 세상 사는 동안 너는 너의 최선을 다해야 한다. '삶이 뭐냐?'는 물음에 네가 대답해야 한다. 남이 너를 인도 하고 지도할 것을 기대하지 말라. 너 스스로 해야 할 일이다. 네 행동, 네 생각으로 삶의 의미에 대한 해답은 네 자신 속에서 찾아야 한다."
이를 미국의 세균학자로 소아마비 예방접종 백신을 개발했고 에이 즈 예방접종약을 만들어내기 위한 연구에 전념했던 보너스 소크 Jonas Salk(1914-1995)는 이렇게 표현했다.
"삶의 의미란
인간관계를 통해
느껴지는 것...
다른 사람들
나의 이웃들
그리고
나 자신과의
관계에서
느껴지는 것
태어나는
순간의
나로부터
어떻게
한 아이로
한 어른으로
한 부모로
한 조부모로
그리고
한 조상으로
얼마만큼
성장하고
발전하며
변하는가
그런 관계에서
삶의 의미는
모든 관계에서
꽃처럼 피어나는 것...
자식 낳아
키우는 것
가르치고
봉사하고
창조하고
그러는 데서
뿐만 아니라
배우는 데서
자연으로부터
현인들로부터
동배들로부터
그리고
그 누구
무엇보다
그 언제까지나
끝없는
자아완성
자아실현
과정을 통해
날로 새롭게
나타나는
자신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그가 남긴 다음과 같은 말들도우리 깊이 곱새겨 보리라.
"지구로부터 모든 곤충들이 사라진다면 50년 안에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도 없어질 것이다. (하지만) 지구에서 모든 인간이 사라진다면 50년 안에 지상의 모든 (인간 이외의 다른) 생물이 번성 번창하리라. If all the insects were to disappear from the earth, within 50 years all life on earth would end. If all human beings disappeared from the earth, within 50 years all forms of life would flourish.”
-- Jonas Salk
"우리 자신에게 물어야 할 가장 중요하고 중차대한 질문은 '우린 좋은 조상(이 될 것)인가?'이다. The most important question we must ask ourselves is, 'Are we being good ancestors?'”
-- Jonas Salk
"좋은 부모는 자식들에게 뿌리를 심어주고 날개를 달아준다. (고향) 집이 어딘지 알려주는 뿌리와 (부모에게서) 배운 대로 나는 법을 연습해 날아갈 수 있는 날개 말이다. Good parents give their children Roots and Wings. Roots to know where home is, wings to fly away and exercise what's been taught them.”
-- Jonas Salk
"꿈과 상상을 실현, 현실화하려는 용기가 있는사람에겐 희망이 있다. There is hope in dreams, imagination, and in the courage of those who wish to make those dreams a reality.”
-- Jonas Salk
“나는 꿈도 악몽도 꾸었지만, 내겐 꿈이 있었기에 악몽을 극복, 정복할 수 있었다. I have had dreams and I have had nightmares, but I have conquered my nightmares because of my dreams.”
-- Jonas Sa
"직관력의 직감이 생각하는 내 뇌리에 다음 방향을 가리켜 줄 것이다. Intuition will tell the thinking mind where to look next.”
-- Jonas Salk
"어린 아이 때부터 난 과학엔 관심이 없었고, 단지 사람에게, 자연 속, 자연의 일부로서의 인간적인 면에 계속 흥미를 느낀다. As a child I was not interested in science. I was merely interested in things human, the human side of nature, if you like, and I continue to be interested in that. That's what motivates me.”
-- Jonas Salk
“결국엔 우린 깨닫게 되리라. 지구 생태계를 파괴하는 것은 우리 자신 자멸하는 것임을. Eventually we'll realize that if we destroy the ecosystem, we destroy ourselves.”
-- Jonas Salk
“네 꿈은 뭘 할 것인지를, 네 이성은 어떻게 할 것인지를 일러준다. Your dreams tell you what to do; your reason tells you how to do it.”
-- Jonas Salk
“사람들이 발견의 순간이라 생각하는 것이 실은 문제를 찾아내는 순간이다. What people think of as the moment of discovery is really the discovery of the question.”
-- Jonas Salk
"아마도 지금 이 시대는 인류역사상 가장 좋은 때이다. 온갖 테크놀로지와 과학의 산물로 창조적 가능성이 인간의 도구가 되었으니, 물론 그 반대로 인간이 이 도구의 노예로 전락하지 않는다면. This is perhaps the most beautiful time in human history; it is really pregnant with all kinds of creative possibilities made possible by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now constitute the slave of man - if man is not enslaved by it.”
-- Jonas Salk
“위험부담은 언제나 그럴만한 가치가 있다. 뭘 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배우게 되니까. Risks, I like to say, always pay off. You learn what to do, or what not to do.”
-- Jonas Salk
"아침마다 언제나 난 잠에서 깰 때면 신바람이 난다. 오늘은 어떤 직감이 떠올라 (코스모스 우주) 바다에서 어떤 선물을 받게 될까 하고. It is always with excitement that I wake up in the morning wondering what my intuition will toss up to me, like gifts from the sea. I work with it and rely on it. It's my partner.”
-- Jonas Salk
“뭘 내가 함에 있어 얻게 되는 가장 큰 보상은 더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는 거다. I feel that the greatest reward for doing is the opportunity to do more.”
-- Jonas Salk
“무모無謀함이 아닌 신념에 바탕을 둔 것이 용기이고, 경험을 통해 얻어지는 게 자신감이다. It is courage based on confidence, not daring, and it is confidence based on experience.”
-- Jonas Salk
우리 모든 우주 나그네 코스미안의 여정旅程은 배움의 나들이이리.
[이태상]
서울대학교 졸업
코리아타임즈 기자
합동통신사 해외부 기자
미국출판사 Prentice-Hall 한국/영국 대표
오랫동안 철학에 몰두하면서
신인류 ‘코스미안’사상 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