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식 칼럼] 니콜라이 고골의 단편 ‘초상화’에 나타나는 선택할 수 없는 인간의 연약함

민병식

 

니콜라이 바실리예비치 고골(Nikolai Vasilevich Gogol, 1809~1852)은 우크라이나 출생으로 러시아에서 활동한 작가 겸 극작가이다. 속물적이었던 당시 러시아 사회를 예리한 풍자로 그려 내어 러시아 리얼리즘의 시조로 평가받는 작가이며 주요작품으로는 아라베스크, 광인일기, 초상화, 네프스키거리, , 외투, 검찰관 등 다수가 있다.

 

초상화는 고골의 ‘빼쩨르부르그 이야기 나오는 다섯 편의 단편  하나이다외투광인일기초상화넵스키 거리가 그것인데전체적으로 러시아 적인 색채가 있으면서도 판타지적 요소가 가미되어 있는 소설집으로 다크 판타지에 가깝다고골 소설 속의 판타지적 요소는 사회 비판 혹은 인간 내면의 어두운 부분을 드러내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로 단편 소설의 제목만 봐서는 절대 상상 불가능한 내용의 전개가 이루어지는데 특이성이 있다고 하겠다.

 

가난한 화가 차르뜨꼬프는 미술과 예술에 대한 열정이 넘쳐나는 사람이다어느  미술상 앞을 지나가다 낡은 초상화  점을 사게 된다 그림은 광대뼈가 나오고 청동  얼굴을  말라 보이는 노인의 초상화였다초상화 속의 노인은 상대방을 무서운 눈길로 노려보고 있었다그날  차르뜨꼬프는 초상화의 노인이 걸어 나와  꾸러미를 푸는 모습을 지켜보는 꿈을 꾼다.

 

그는 우연히 초상화 액자에 숨겨진 금화를 발견하게 되고   돈을 갖고 싶은 욕심에 예술에 매진할 생각은 뒤로    돈을 들여 아뜰리에를 차리고 신문에 광고를 내어 사람들의 초상화를 그려 주며 명예와 부를 획득한다초상화의 금화는 재능 있는 화가를 타락으로 이끄는 악마성을 발휘한 것이다세속적으로 출세한 그의 삶은 나태와 권태 속에 잠식되어 가고 열정은 사라지고 돈만 남았다.

 

그러던 어느  그는 친구의 그림 전시장에서 강한 충격을 받는다자신이 그토록 열망했던 예술가의 영감을 친구가 발휘하고 있었던 것이다그는 다시금 진지하게 예술 창작을 시도하지만 자신의 무능함만을 깨닫고 후회의 눈물을 흘린다그는 자신의 재능과 노력을 믿지 않고 초상화속의 금화로 인생을 망쳐버린 자신을 깨닫고는 고통과 절망 속에 고가의 미술품을 사다 찢는 짓을 반복하는 광기를 보이다 숨을 거두고 만다.

 

  어느 경매장에서 악마의 영혼이 깃든  초상화가 다시 등장한다 초상화는 당대의 미술화가가 그린 것이었고  초상화  주인공은 언제나 재앙을 몰고 다니는 고리대금 업자였음이 밝혀진다이런 내력을 알고 있는 사람은  그림을 그린 미술가의 아들로 초상화를 회수해 파괴하려하지만 그가 한눈을 파는 사이 초상화는 다시 사라져 버린다.

 

우리의  깊숙이 내재되어 있지만 누구도  밖으로  꺼내지 않는 단어 '욕망', 우리는  작품을 통해 과연 욕망은 어디에서 오는 것이고어떻게 우리  속에서 작용하는 지에 대해 자세히 보고 심사숙고해야 한다인간의 지나친 욕구는 일그러진 욕망으로 변하고 물질적 안정을 추구하는 마음이 지나쳐 탐욕이 되고 돈의 노예가 된다

 

그렇다고 반대로  없이 가난한 삶을 살기란 비참하고 힘들다돈을 추구했던 차르뜨코프는 삶이 행복했을까그렇다고 자신이 원했던 예술 혼을 위해서 그림 그리기에 매진했다면 행복한 삶을   있었을까 난해한 문제이다행복의 경계점이 어디인가를  살펴보자

 

 작품을 통해  시대를 살아가며 우리가 추구하는 행복의 의미를 다시   되새겨 보아야 한다


[민병식]

인향문단 수석 작가

대한시문학협회 경기지회장

문학산책 공모전 시 부문 최우수상

강건 문화뉴스 최고 작가상

詩詩한 남자 문학상 수필 부문 최우수상

2020 코스미안상 우수상

민병식 sunguy2007@hanmail.net


전명희 기자
작성 2021.11.03 10:58 수정 2021.11.03 11:09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전명희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