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미 칼럼] 칸나

김용미

칸나는 아버지가 좋아하시던 꽃이었다. 우리집에 여름이 오면 꽃밭에 늘 붉은 칸나가 피었다.  조부모님과 같이 살았던 시골집과 아버지의 이름으로 첫문패를 달았던 읍내의 기와집에도 칸나가 피어 있었다. 아주 오래 전 무채색 기억의 풍경 속에 피어 있던 칸나를 생각하면 그 강렬하게 붉던 꽃의 색깔과 더불어 아버지가 생각난다.

 읍내의 기와집은 방 세 칸짜리의 집이었다. 아버지는 마당의 한 귀퉁이에 꽃밭을 만들었다. 그 작은 꽃밭에 여름이 오면 칸나가 피었다. 허리가 긴 꽃대에서 길고 통통한 꽃자루가 솟아오르고 그 살갗에 햇빛이 닿으면 꽃잎 세 장이 허리를 젖히며 차례로 피어났다. 여름 햇빛 속에 꼿꼿이 피어오르던 칸나의 붉은 색은 여름의 상징같은 것이었다.  장맛비가 거친 숨을 몰아쉬며 그 기와집의 마당을 휩쓸고 지나간 다음날 아침이면 붉은 꽃잎이 찢겨 있기도 했다. 칸나는 바지랑대로 올린 빨랫줄보다 조금 낮게, 촘촘한 꽃잎을 피워 올리는 달리아보다 조금 높게 피어나곤 했다.

아버지는 초등학교 교사였다. 술을 좋아하시던 분이셨다. 옅은 취기로 자전거를 끌고 퇴근해 오시면 꽃밭 앞에 서서 아버지 키와 비슷한 칸나를 한참씩 바라보시곤 했. 아버지가 칸나를 좋아하신다고 말씀한 적은 없었다. 다만 그렇게 칸나를 바라보던 아버지의 기억이 아버지는 칸나를 좋아하셨을 것이라고  짐작하게 해줄 뿐이다.

여름방학 중인 어느 해 여름의 끝이던가. 어머니의 심부름으로 숙직을 서는 아버지의 저녁 도시락을 들고 학교에 찾아갔던 적이 있다. 운동장 한가운데 서 있던 해가 플라타너스 가지를 길게 끌며 서쪽으로 기울어가는 시각이었다. 텅 빈 운동장과 건물 사이의 꽃밭에도 칸나가 피어 있었다.  여름내 혼자서 피고지는 일에 쓸쓸해 하던 칸나들은 붉은 꽃잎을 바닥에 떨어뜨리며 꽃 피우기를 그만두고 있는 참이었다. 

숙직실에 가보았지만 아버지는 계시지 않았다. 숙직실 앞에 아버지의 낡은 구두 한 켤레가 코를 나란히 하고 있었고 초라한 국방색 담요 한 장이 방구석에 개켜 있었다. 아이들이 없는 학교는 기이한 정적만이 맴돌았다. 숙직실 바닥에 도시락을 밀어 넣고 돌아서는데 어느 교실에선가 풍금소리가 아련하게 들려왔다. 나는 그 풍금소리를 쫒아갔다. 아버지였다 .

유리창 너머로 들여다본 아버지는 지금까지 내가 알고 있던 아버지가 아니었다. 하늘색 고무슬리퍼를 신은 발로 풍금의 페달을 밟으며푸른 하늘 은하수인지낮에 나온 반달인지를 치시던 아버지의 모습은 처음인 것처럼 낯이 설었다. 발 끝의 페달로 바람을 모아 떨림판을 떨리게 하여 내는 풍금소리가 그처럼 서글픈 소리를 낼 수 있다는 것을 나는 그때 알았다. 한낮의 교실에서 듣던 풍금소리는 경쾌했는데 저녁에 듣는 아버지의 풍금소리는 슬펐다.  교실 안에는 슬픈 음계들이 가득했고 아버지도 어쩐지 슬퍼 보였다.

어린 마음에도 그 교실 문 너머의 아버지를 아는 척 할 수 없어 나는 발뒤꿈치를 들고 그 복도를 빠져나왔었던 것 같다. 시들어가는 꽃잎을 석양에 담근 채 서있던 키 큰 칸나들을 뒤로 하고 운동장 한가운데를 벗어날 때까지 아버지의 풍금소리는 내 뒤를 따라왔다 .

아버지는 열아홉 살부터 선생님을 하셨다. 해방 직후에 세워진 허술한   2 년제 사범학교에서 풍금의 기초만을 터득한 채 졸업을 하신 아버지는 음악을 아주 좋아하시던 분이셨다.

오래된 기억 속의 풍금소리가 다시 기억난 것은 십여 년 전 아버지의 마지막 호흡을 지켜보던 병원에서였다. 먼 길을 떠나기 위한 아버지의 호흡은 약하고도 느리게 가라앉아가고 있었다. 그 흐려지는 호흡 속으로 그날의 풍금소리가 들려왔다. 가파르던 한 생애를 간단없이 마치고 눈을 감는 아버지의 모습은 부드럽고 평온했다. 영원한 작별을 위해 온기가 빠져나가기 시작하는 아버지의 몸에서 다리를 만져보았다. 나의 아버지는 한쪽 다리를 살짝 저시는 분이셨다.  그 굵기가 서로 다른 다리로 애써 균형을 잡으며 살아오신 아버지의 생을 생각하니 애써 삼키고 있던 눈물이 터져 나왔다.

어쩌면 내 아버지의 생은 낡고 이가 빠진 풍금처럼 온전한 음계를 이루지 못한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균형을 잃은 두 다리로 견뎌내기엔 세상의 바람은 너무 강했으리라. 나는 아버지가 가고 없는 세상에서 취기로 돌아오던 아버지를 오롯이 이해하기 시작했다. 술 취한 아버지의 행보를 지키며 느리게 바퀴를 돌려 아버지를 따라다니던, 아버지의 분신 같던 그 자전거도 그리워지기 시작했다 .

전화를 걸면 날씨 이야기며 절기 이야기를 자주 꺼내시던 아버지가 영원한 절기 속으로 떠나버리신 후의 세상엔 두 종류의 사람들만이 존재했다. 아버지가 있는 사람과 아버지가 없는 사람들이 존재했다.

여름과 가을의 짧은 동행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조석으로 싸늘한 기운이 느껴져 달력을 확인하니 처서도 지난 지 오래고 절기는 백로에 닿아 있다. 어정칠월이니 동동팔월이니 하는 절기에 대해 배운 것도 아버지 덕분이었다. 오늘 같은 날 아버지가 살아계셨다면, 그래서 전화를 드렸다면 아마도 이런 이야기를 화두로 꺼내셨을 것이다

아침 저녁으로 날씨가 제법 쌀쌀허지야? 한낮에 잠시 내리쬐는 노염으로 벼이삭이 패는 시기구나. 늦은 햇빛을 얼마나 쬐였느냐에 따라 거둬들이는 쌀섬이 차이가 나는 법이지. 거긴 비가 온다구? 백로에 비가 오면 곡식도 겉여물고 과실에서는 단물이 빠져나가서 좋지 않지. 너 백로 다음으로 오는 절기가 뭔지는 아니? 이십사절기 중에서 열여섯 번째인 추분이란다. 인생에도 절기가 있는 법이니라. 너도 그 인생의 절기를 잘 짚어보며 지혜로운 한 생을 살아 가거라.”

비가 내리고 있다. 지금도 세상 어딘가에는 수숫대 같이 자란 칸나들이 꽃을 피우고 있을 것이다. 여름이 끝나면 칸나는 치열했던 삶을 살아낸 표적으로 붉은 꽃잎을 땅에 떨어뜨리며 지상에서 사라져갈 것이다.

아버지가 그리운 계절이다. 한 옥타브 낮게, 반 박자 느리게, 슬픈 곡조를 만들어내던 바람의 악기, 아버지의 풍금소리도 그리운 계절이다 .

   

[김용미]

이메일 pinkmd411@hanmail.net


작성 2022.01.19 10:43 수정 2022.01.19 11:55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전명희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5일
2025년 4월 25일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