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차영의 대중가요로 보는 근현대사] 바다의 꽃 섬, <오동도 동백꽃처럼>

최비룡 작사 최고야 작곡 최향 노래

유차영

영혼을 맑게 하는 싸늘한 기운이 서둘러 동백꽃을 벙글게 했다. 계절이 꽃을 품고, 검붉은 꽃이 <오동도 동백꽃처럼> 노랫가락에 팔락거린다. 남녘 바닷가 오동도에 무수히 피고 지는 붉은 꽃, 마주하는 연인들의 가슴팍을 설레게 한다. 이 노래 속 동백꽃은 먼 옛날 전설 속, 여인네의 수절(守節) 상흔을 아물고 있다.

 

노래 모티브 지역은 여수 앞바다 오동도, 사연은 그곳에 자생하는 동백꽃이다. 우리나라 동백(冬柏, 冬栢)은 중국에서는 해홍화(海紅花)라고 부른다. 동백은 겨울에 꽃이 핀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주로 붉은색인데, 거문도 등 남쪽 바다 섬에서는 흰동백이 피기도 한다. 동백꽃은 ‘그 누구보다 당신을 사랑합니다’라는 상징의 꽃이다.

 

연분홍빛 동백꽃은 / 세 번 핀다 하지요 / 한번은 나무에 피고 / 땅에 져서 두 번 / 세 번은 그대 가슴에 / 꽃송이 채 떨구고 마는 / 사랑 품은 동백꽃 / 가지마세요 돌아오세요 / 그날 밤의 그 언약 잊었나요 / 그 품에 잠들고 싶어 / 붉게 피었어요 / 오동도 동백꽃처럼 // 사랑일랑 변치 말자 / 맹세했던 그 사람 / 정 주고 마음도 주고 / 원망해서 보낸 / 그대를 사랑합니다 / 물결 드는 초승달 아래 / 애달파라 동백꽃 / 가지마세요 돌아오세요 / 그날 밤의 그 언약 잊었나요 / 그 품에 잠들고 싶어 / 붉게 피었어요 / 오동도 동백꽃처럼 // 그 품에 잠들고 싶어 / 붉게 피었어요 / 오동도 동백꽃처럼 / 오동도 동백꽃처럼.

 

사랑일랑 변치 말자 맹세했던 그 사람. 정 주고 마음도 주고 원망해서 보낸 그대, 물결(밀물) 드는 초승달 아래 동백꽃은 애달프다. 하필이면 초승달 아래인가. 초승달은 낮에 떠서 초저녁에 지는 달이다. 낮달이다. 이 달은 하늘에 떠 있으되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연인들의 애간장을 녹이는 달에 비유된다. 그 달이 지기 전에 오동도 연인들은 사랑을 언약했었다.

 

오동도는 ‘바다의 꽃 섬’으로 불린다. 한때는 동백섬으로 불리기도 했다. 옛날부터 이곳 일대에 오동나무가 유난히 많아 오동도(梧桐島)라고 불렀다. 임진왜란(1592~1598) 당시에는, 이곳에 충무공 이순신 장군(1545~1598)이 손수 심어서 활 만드는 재료로 사용했다는 해장죽(海藏竹)이 많아서 죽섬(竹島)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해장죽은 바다에 감추어진 대나무다.

 

오동도 동백꽃

 이 섬 곳곳에는 5천여 그루의 동백나무가 자생하고 있다. 이 동백나무는 10월 하순부터 꽃봉오리를 내밀기 시작해, 새 봄 3월 하순까지 절정을 이룬다. 오동도의 동백꽃은 다른 곳에 비해 크기가 작고 촘촘하게 피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섬의 모양도 오동잎을 닮았단다.

 

옛날에 이 섬으로 귀양(歸養)을 온 한 부부가 땅을 개간하고 고기잡이를 하며 살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남편이 고기잡이를 나간 사이에 도적이 들어 아내를 겁탈하려고 하였다. 이에 여인네는 바닷가 벼랑으로 도망을 치다가 떨어져 죽고 말았다. 고기잡이에서 돌아오던 남편이 바닷물 위에 떠 오른 아내의 시신을 거두어 섬 꼭대기에 묻었다. 그 뒤 아내의 무덤에서 절개를 상징하듯, 눈보라 속에서도 붉은 꽃이 피어났는데, 그 꽃이 바로 동백꽃이고, 세월이 흐르면서 섬 전체로 번식되어 오늘에 이른단다.

 

그래서 동백꽃을 여심화(女心花)라고도 한다. 이 동백꽃은 3번 피어난단다. 동백나무 가지 위에서 한 번, 꽃떨기 채로 떨어진 땅바닥 위에서 또 한 번, 그리고 사랑하는 연인의 가슴팍에서 또 한 번 핀다. 이러한 사연을 얽은 노래가 <오동도 동백꽃처럼>이다.

 

엘레지의 여왕 이미자의 목청에 걸린 <동백아가씨>의 동백은 프랑스 소설 『춘희』(椿姬)를 번역한 것을 모티브로 한 노래로 여기서 춘(椿)은 신령스럽다는 의미인데, 일본에서는 동백나무로, 우리나라에서는 참죽나무로 통한다. 프랑스 소설 『춘희』가 일본을 통해서 유입되면서 『동백아가씨』로 환생하였음이다. 이 소설을 모티브로 작곡한 주세폐 베르디의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 속에 등장하는 꽃도 동백꽃이다.

 

우리나라 대중가요 100년사에 오동도 동백꽃을 모티브로 한 유행가는 많다. 1968년 문주란은 <오동도 에레지>를 열창했다. ‘여수항 오동도를 왜 내가 찾아왔나/ 그날 밤 그 물새는 왜 나를 울려주나/ 찢어진 빈 가슴에 알알이 뿌린 눈물/ 이 설움 몰라주는 박정한 님이었네/ 아~ 떠나간 사랑이었네.’

 

1971년 정영아는 <오동도 가시나>로 오동도 아가씨와 서울 간 도령님의 사랑을 읊었었다. ‘파도치는 바닷가에 갈매기 우는데/ 순진한 내 가슴에 돌을 던진 서울 도령님/ 동백꽃 다시 피면 오겠다고 하시더니/ 달이 가고 해가 가도 왜 아니 오시는가요/ 아~ 밤이면 눈물짓는 오동도 가시나.’ 

 

순진한 내 가슴에 돌을 던진 서울 도령님~. 노랫말이 귀에 익었다. 유지나(본명 유순동)의 <미운 사내> 노래가 아물거려진다. ‘순진한 여자의 가슴에다 돌을 던진 사내야/ 떠나버릴 사람이라면 사랑한다 말은 왜 했나/ 활짝 핀 꽃처럼 웃던 얼굴이/ 웬 일인지 요즈음 우울해 졌네~ .’ 돌을 던진 그 사내~ 동백꽃이 다시 피면 돌아올까. 새 봄이 궁금해진다.

 

오동도의 전설을 새긴 비문도 간간한 소금바람에 또록하다. <동백꽃으로 피어난 여인의 순정>. ‘멀고 먼 옛날/ 오동 숲 우거진 오동도에/ 금빛 봉황이 날아와/ 오동 열매 따서 먹으며 놀았더래/ 봉황이 깃든 곳에는/ 새 임금이 나신다는 소문이 나자/ 왕명으로 오동 숲을 베었다네/ 그리고 긴 세월이 흐른 후 오동도에는/ 아리따운 한 여인과 어부가 살았는데/ 어느 날 도적 떼에 쫓기던 여인/ 낭벼랑 창파에 몸을 던졌더래/ 바다에서 돌아온 지아비 소리소리 슬피 울며/ 오동도 기슭에 무덤을 지었는데/ 북풍한설 내리치는 그해 겨울부터/ 하얀 눈이 쌓인 무덤가에는/ 여인의 붉은 순정 동백꽃으로 피어나고/ 그 푸른 정절 시누대로 돋았다네.’ 이 노래 속의 동백꽃은 여수시 시화(市花)이다.

 

오동도는 이제 섬이 아니다. 길이 768m의 방파제가 육지와 연결되었기 때문이다. 여수시 수정동 오동도와 육지를 잇는 방파제, 일본제국주의 강제점령기이던 1935년 조선총독부 여수토목출장소가 신항만 건설을 위하여 착공하였다가, 태평양전쟁(1941~1945)으로 공사가 지연되어, 1945년 해방광복 무렵 완공되었는데, 이 방파제를 따라 도로가 개설되었고, 관광객들은 이 도로를 따라 걷거나 동백열차를 이용하여 오동도에 갈 수 있다.

 

송구영신(送舊迎新) 절기와 해(年)의 연계지절(連繫之節)에 당신의 가슴팍에 붉은 동백꽃 한 떨기를 매달아 드린다. 다가오는 새해는 ‘푸른 청룡의 해’ 갑진년(甲辰年)이다. 육십간지의 41번째, 푸른색을 의미하는 갑(甲)과 용을 의미하는 진(辰)을 합친 청룡(靑龍)이다. 가슴팍에 동백꽃을 매단 그대여~ 갑진년에는 부디 청룡의 등을 타고 등용문(登龍門)하시기를 기원드린다. <오동도 동백꽃처럼>를 절창한 최향은 본명 박지희, 1995년 익산 출생이다.

 

 

[유차영]

시인

수필가

문화예술교육사

한국유행가연구원 원장

유행가스토리텔러 제1호

글로벌사이버대학교 특임교수

이메일 : 519444@hanmail.net

 

작성 2023.12.07 10:00 수정 2023.12.07 10:11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한별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대청의 그거 왜 해?
광주루프탑카페 숲안에 문화복합공간 #로컬비즈니스탐험대 #우산동카페 #광주..
2025년 4월 25일
2025년 4월 25일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