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마음을 적다>

가족 간의 사랑을 표현한 조선시대 한글자료 전시

 

<한글, 마음을 적다>는 한글로 표현한 가족 사랑을 주제로 양 기관의 주요 소장품을 공개하며, 충청남도역사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2025년 3월 27일부터 7월 6일까지 열린다.

 

조선시대 왕실과 양반가의 한글 자료가 한 자리에

 

국립한글박물관과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은 양 기관 간 소장품의 조사, 연구, 전시, 활용 등을 폭넓게 협업하고자 지난 2024년 1월 15일 상호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전시는 업무 협약 이후 처음 열리는 공동 전시로 조선시대 왕실과 양반가의 한글 자료를 한 자리에 선보인다.

 

국립한글박물관 소장품으로는 왕실의 품격이 녹아 있는 아름다운 한글 궁체를 감상할 수 있는 덕온공주가 한글 자료와 정조의 한글 편지 14점 등이 수록된 보물 『정조어필한글편지첩』이 소개된다. 충청남도역사박물관 소장품으로는 어머니와 아들의 글씨가 함께 남아 있는 『선비유언』, 가족 간 주고받은 한글 편지 여러 점과 한글 편지 서식을 정리한 『언간독』 등이 전시된다. 이와 더불어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왕실 한글 편지 체험 콘텐츠도 마련된다.

 

시대는 달라도 가족을 사랑하는 마음은 한가지

 

국립한글박물관은 2016년부터 덕온공주(德溫公主, 1822~1844)와 그 일가의 한글 자료를 대대적으로 수집해 왔다. 이 중 이번 전시에서 왕실 가족 간의 애정과 사랑이 표현된 한글 자료를 엄선해 소개한다. 『자경전기』는 정조, 순조, 덕온공주로 이어지는 조선 왕실의 효심을 잘 보여주는 자료이다. 

 

공주가 단아한 한글 궁체로 적은 친필이라는 점에서도 큰 의미를 지닌다. 순원왕후가 막내딸 덕온공주의 제사에 보낸 음식의 목록을 적은 『망전단자』, 「순원왕후가 사위 윤의선에게 보낸 편지」 등의 자료를 통해서도 조선 왕실 구성원들이 한글로 서로 소통하며 따뜻한 사랑을 나누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충청남도역사박물관 소장 「선비유언」(1855)은 19세기 대표적인 성리학자인 임헌회(任憲晦, 1811~1876)의 모친이 세상을 떠나기 하루 전에 아들에게 남긴 한글 유언문이다. 어머니와 아들의 글씨를 나란히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며, 병이 깊은 중에도 자신보다 아들의 건강을 걱정했던 어머니의 마음을 엿볼 수 있다.

 

충청남도역사박물관이 자리한 충남 공주시는 현전하는 기록상 가장 오래된 효자인 신라의 향덕과 고려시대 효자 이복의 이야기가 전해오는 곳이다. 박물관 입구에는 이들을 기리는 효심공원이 조성되어 있어, 전시장을 찾은 관람객이 가족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뜻깊은 시간을 갖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3월 말에는 공주의 벚꽃 명소로 이름난 충청남도역사박물관 인근의 벚꽃이 만개할 것으로 예상되어, 전시 개막에 대한 기대를 더욱 높이고 있다.

 

전국 방방곡곡으로 찾아가는 한글문화 전시

 

한편 국립한글박물관은 이번 전시를 비롯해 총 7개 유관기관에서 순회 전시를 개최‧운영하고 있다. 근대 한글의 변화상을 다양한 분야의 작가들이 재해석한 한글실험프로젝트 <근대한글연구소>가 김포와 부산을 순회한다. 어린이를 위한 체험이 가득한 기획전시 <어린이 나라>가 공주와 구미를, 지역 고유의 언어문화를 소개하는 기획전시 <사투리는 못 참지!>가 강릉과 제주를 각각 순회한다. 앞으로도 순회전시를 통해 지역의 한글문화 향유 기회를 늘리고, 전국 문화예술 기관들과의 물적‧인적 교류를 확대해 나갈 국립한글박물관의 행보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

 

작성 2025.03.27 10:18 수정 2025.03.27 10:28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정명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