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산림과학원은 약 3,400만 건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인제 자작나무숲이 인제군 방문에 최대 27.6%가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강원도 인제읍 원대리에 위치한 자작나무숲은 1974년부터 138ha에 약 69만 그루의 자작나무를 심고 가꿔온 우리나라 대표 명품숲으로, 희소한 수종과 아름다운 경관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는 인제 자작나무숲이 실제로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기획되었다.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진은 2021년부터 2024년 6월 까지 3년 반 동안 자작나무숲 방문객 수와 소비 지출액을 분석했다. 분석에는 모바일 데이터 7,200만 건, 신용카드 데이터 1억 8천만 건, 신용정보 데이터 8억 1천만 건을 가명처리하여 결합한 3,400만 건의 데이터가 활용되었다. 가명처리란,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도록 처리한 방법이다.
분석 결과, 인제군 방문객 중 연평균 11.8%, 최대 27.6%가 자작나무숲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객의 주요 연령대는 50대(34.8%)였으며, 겨울철(12~2월)에는 2~30대의 방문 비율이 30.9%로, 연중 평균 19.5%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이는 눈 덮인 자작나무숲의 아름다운 경관이 SNS로 공유되면서 젊은 층의 방문을 유도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자작나무숲 방문객의 강원도 내 카드 소비 중 19.4%가 인제군에서 이뤄졌으며, 물품 구매(49.1%)와 식비(44.0%)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특히 자작나무숲 방문객의 식비 비중은 일반 인제군 방문객보다 1.7배 높아, 인제군 음식점업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휴먼서비스연구과 이수광 박사는 “이번 연구는 잘 가꾼 숲이 지역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실증적 근거를 제시한 사례”라며, “산림자원을 활용한 지역 소멸 대응 모델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