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파킨슨병 치료의 새로운 타깃 유전자 발견
한국과 영국 공동연구팀이 파킨슨병의 핵심 병리 중 하나인 신경염증 조절에서 RNA 편집(RNA editing)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뇌인지과학 연구팀은 영국 UCL 국립신경전문병원 연구소,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와 공동 연구를 통해 뇌를 보호하려고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교세포(astrocyte)에서 RNA 편집 효소인 '에이다원(ADAR1)'이 면역반응을 조절해 파킨슨병의 병리진행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은 파킨슨병의 원인으로 알려진 알파시뉴클레인(α-synuclein) 응집체가 뇌의 신경세포를 돕는 교세포와 신경세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알파시뉴클레인 응집체가 교세포 내에서 면역 신호 네트워크인 '인터페론 반응' 경로를 활성화해 면역 반응을 일으키고, 이 과정에서 '에이다원'이 수행하는 RNA 편집 활동이 염증을 일으키는 유전자들에 비정상적으로 집중되어 있다는 걸 발견했다.
이 현상은 파킨슨병 환자 뇌의 부검조직에서도 동일하게 관찰됐다. 이를 통해 RNA 편집의 이상 조절이 교세포의 만성 염증반응을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신경세포 독성과 병리 진행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이번 연구는 신경 면역세포인 교세포 내 RNA 편집 조절이 신경염증 반응의 핵심 기전이라는 사실을 새롭게 밝혔다는 데 큰 의미가 있고 에이다원이 파킨슨병 치료의 새로운 타깃 유전자로 작용할 수 있음을 제시해 주목받고 있다.
이번 연구는 단백질 응집으로 인한 염증 반응의 조절자가 RNA 편집이라는 새로운 층위에서 작동함을 입증한 것으로, 기존의 파킨슨병 치료 접근과는 전혀 다른 치료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드(Science Advances)'에 지난 11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