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다운 것’은 무엇일까-진짜 나를 찾아 떠나는 질문 여행

‘나다움’이라는 질문 앞에 서다

나를 만든 사회와 문화의 그림자

다양한 시선 속에서 찾는 진짜 나

 

이미지=AI생성

‘나다움’이라는 질문 앞에 서다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인류가 가장 오래 붙잡아온 숙제 중 하나다. 그러나 이 질문은 시대와 환경에 따라 계속 달라진다. SNS에서는 ‘나다움’을 강조하면서도 동시에 타인의 ‘좋아요’ 수를 신경 쓴다. 자기계발서에서는 ‘자기답게 살라’고 하지만, 그 자기다운 모습조차 사회가 정의한 성공의 틀 안에서 찾게 만든다. 아이러니하게도, 우리는 ‘나답게’ 살기 위해 남의 눈치를 본다. 이 모순이야말로 오늘날 ‘나다움’이라는 개념을 가장 혼란스럽게 만드는 지점이다. 그렇다면 진짜 ‘나다운 것’이란 무엇일까? 그것은 타인의 기대를 완전히 버린 자유로움일까, 아니면 관계 속에서 조율된 나만의 색깔일까? 이 질문은 단순한 자기 탐구가 아니라,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본질적인 탐사이자 여행이다.

 

나를 만든 사회와 문화의 그림자
‘나다움’은 결코 진공 상태에서 탄생하지 않는다. 우리가 ‘나’라고 부르는 것의 상당 부분은 성장 과정에서 경험한 환경, 교육, 사회 규범에 의해 만들어진다. 동양 문화에서는 집단의 조화를 중시하며, 개인은 종종 가족과 사회의 기대 속에서 정체성을 형성한다. 반면 서양 문화는 개인의 독립성과 자기 표현을 강조한다. 그러나 글로벌화가 진행된 지금, 이 경계도 흐려지고 있다. 한국에서 자란 한 청년이 유럽식 자율성과 아시아식 유대감을 동시에 지니는 경우가 흔해졌다. 결국 ‘나다움’은 전통적 문화 코드와 현대적 가치관이 섞인 혼합물이다. 문제는, 이런 혼합물이 때로는 나를 풍요롭게 만들지만, 때로는 혼란과 정체성 갈등을 불러온다는 점이다.

 

다양한 시선 속에서 찾는 진짜 나
심리학에서는 ‘진짜 나’를 찾는 과정이 자아 정체성 확립의 핵심이라고 말한다. 에릭 에릭슨은 청소년기와 성인 초기의 ‘정체성 확립’ 단계를 강조하며, 자신이 누구인지 명확히 인식해야 삶의 방향성을 잡을 수 있다고 했다. 사회학에서는 ‘나다움’을 사회적 상호작용의 산물로 본다. 즉,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만 ‘나’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철학적으로는 ‘나다움’이 절대적 실체가 아니라 끊임없이 변하는 과정이라고 본다. 예를 들어, 장 폴 사르트르는 인간이 본질 없이 태어나 스스로의 선택과 행동으로 본질을 만들어간다고 했다. 흥미롭게도, 최근 뇌과학 연구에서도 ‘자아’라는 개념이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경험과 기억, 감정이 실시간으로 재구성되는 복합 현상임을 보여준다. 이런 다양한 시각은 ‘나다움’이 단일한 답을 갖지 않음을 말해준다.

 

출처=언스프레쉬

 

내 안의 ‘나다움’을 키우는 길
그렇다면 ‘나다움’을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첫째, 자기 인식의 확장이 필요하다. 일기 쓰기, 명상, 혹은 심리 상담을 통해 자신이 진정 원하는 것과 타인의 기대를 분리해보는 훈련이 도움이 된다. 둘째, 경험의 다양성을 늘려야 한다. 새로운 사람을 만나고, 다른 문화를 접하고, 낯선 환경에서 자신을 시험해보는 경험은 ‘나’의 경계를 넓혀준다. 셋째, 실패와 불편함을 두려워하지 않는 태도가 필요하다. 진짜 나를 찾는 과정은 편안함보다 혼란과 불확실성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넷째, ‘비교’에서 벗어나야 한다. 남의 삶을 기준 삼는 순간, 나다움은 왜곡된다. 나의 속도, 나의 방식, 나의 선택을 존중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이 모든 과정은 하루아침에 끝나지 않는다. 오히려 평생에 걸쳐 업데이트되는, 살아 있는 프로젝트다.

 

‘나다움’은 도착지가 아니라 여정이다
‘나다움’은 정해진 틀이나 공식이 아니다. 그것은 매 순간 선택과 경험을 통해 만들어지는, 끝없는 여행이다. 중요한 건 ‘진짜 나’를 찾는다는 목표가 아니라, 그 여정을 통해 나를 계속 확장하고 갱신하는 과정이다. 그래서 진짜 나를 찾는 여행은 정답을 얻기보다, 더 좋은 질문을 던지는 과정일지도 모른다. 오늘 당신은 어떤 질문으로 하루를 시작할 것인가?

 

 

작성 2025.08.12 17:03 수정 2025.08.12 17:03

RSS피드 기사제공처 : 온쉼표저널 / 등록기자: 장은순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