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값 뛰니 오피스텔도 들썩...내년 서울 기준시가 5.8% 오른다

오피스텔의 내년 기준시가가 올해보다 평균 4% 오른다. 서울 오피스텔 기준가는 평균 5.86% 인상된다. 아파트 등 부동산 가격 급등세가 거주지로서 상대적으로 인기가 떨어지는 오피스텔 기준시가도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국세청이 20일 서울 등 수도권과 5대 광역시, 세종시의 오피스텔과 상업용 건물의 내년도 기준시가안을 공개했다. 국세청은 지난 6월부터 9월말까지 조사를 거쳐 기준 시가안을 산출했다. 기준시가는 시세의 70% 선으로 알려졌다.


국세청의 기준시가안에 따르면 전국 오피스텔은 올해 기준시가보다 평균 4.0% 올랐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5.86%로 가장 많이 올랐다. 경기(3.20%), 인천(1.73%) 등 수도권은 물론 △대전(3.62%) △부산(1.40%) △광주(1.01%) △대구(0.73%) 등 주요 광역시도 대부분 올랐다. 오피스텔 기준 시가가 내린 곳은 울산(-2.92%)과 세종(-2.92%) 뿐이었다.


국세청 기준시가는 양도소득세를 부과할 때 실지거래가액 등을 확인할 수 없을 경우 활용된다. 상속세와 증여세를 부과할 때도 시가를 과세 기준으로 정해야 하지만, 몇 년간 실거래가 이뤄지지 않는 등 시가 판단이 불가능할 경우 기준시가를 대신 쓴다. 다만 취득세와 종합부동산세 등은 행정안전부의 시가표준액이 적용되므로 국세청 기준시가와 관계가 없다.


오피스텔 소유자는 다음 달 10일까지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를 통해 기준시가를 사전 열람하고 이의가 있으면 온라인이나 관할세무서에 의견제출서를 제출하면 된다. 국세청은 제출된 의견을 검토 한 후 평가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다음 달 31일 최종 기준시가를 고시할 예정이다.

김성진 기자
작성 2020.11.20 16:54 수정 2020.11.20 16:54

RSS피드 기사제공처 : 연합개미신문 / 등록기자: 김성진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