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고분 출토 '금동 허리띠', 문화재 지정되나

가야고분 출토 유물

경상남도 문화재 지정예고


경상남도 제공

경상남도는 가야고분에서 출토된 ‘금동허리띠’등 12건을 도 문화재로 지정 예고했다고 19일 밝혔다. 지정은 도 유형문화재로 김해 대성동 88호분에서 출토된 '금동허리띠'등 10건이, 도 문화재자료로 '고성 옥천사 자방루 청동북' 등 2건이 예고되었다.


금동허리띠는 도내에서 출토된 가야유물로 최초로 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다. 이 문화재는 2012년 대성동고분박물관이 발굴한 김해 대성동 88호 목곽묘에서 출토됐다.


금동허리띠는 도내에서 출토된 가야유물로는 처음 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다. 


금관가야 최고 지배층의 위세품인 금동허리띠는 중국 후한대인 2세기 말에 등장해 중국 진대인 4세기 무렵 동아시아에서 크게 유행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기에 가야의 국제성과 중국과의 교류 관계를 밝히는데 중요한 유물이다.


대부분 합천 해인사를 포함한 도내 고찰에서 소장한 지정 예고된 문화재 중에는 불교 문화재들이 다수 포함되어있다.


조각품에는 통일신라시대인 9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합천 해인사 금동여래입상’과 조선 후기에 제작된 ‘합천 해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불감’, ‘합천 해인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 일괄’, ‘고성 옥천사 나한전 나한상’이 있다. 


회화 작품에는 18~19세기에 제작된 ‘합천 해인사 백련암 환적당 의천 진영’, ‘통영 연화도 연화사 삼장 보살도’, ‘합천 해인사 길상암 치성광여래도’가 있다.


조선 세조 때 설치됐던 간경도감에서 판각한 판본을 사용해 16세기에 인출한 불교경전인 ‘창원 무량사 법어와 1606년 진주목 주민들이 병사 겸 목사인 이수일에게 전란으로 훼손된 진주성을 보수한 것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건립한 비석인 ’병사 겸 목사 이수일 유애비‘도 포함됐다.


문화재자료로 지정 예고된 고성 옥천사 자방루 청동북은 제작 시기(1872)와 봉안처, 중량, 발원자 등 자세한 내용의 명문으로 잘 남아있어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조선 철종 때 사람인 추성원의 효행이 기록된 ‘추성원 효자정려비’는 철종~고종대에 작성된 효행상서문과 연관된 효행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다.


문화재자료로 지정 예고된 12건은 30일간 예고 기간에서 각 계층의 의견을 수렴 및 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도 유형문화재와 문화재자료로 각각 지정된다.

pc 배너기사보기 2 (우리가 작성한 기사 기사내용 하단부) (898X100)
조수민 인턴 기자
작성 2020.11.21 13:55 수정 2020.11.21 15:03
<대한민국청소년의회 뉴스>의 모든 저작물은 [저작자표시 URL포함-변경금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