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성평등 어린이사전…우리 아이 성차별 언어·행동 바꿔봐요

시 여성가족재단, 세계 어린이날(11.20.) 맞아 ‘서울시 성평등 어린이사전’ 발표

총 1,053명 참여, 31.4% 성차별 가장 심한 부분 ‘선생님의 말·행동’ 꼽아

어린이집·유치원·학교에서 어린이가 겪는 성차별 언어·행동 이제는 바꿔봐요!

· 언어: “엄마는 아빠다리 할 수 없나요?”, “여아는 형님반 갈 수 없나요?”

· 수업·놀이: “여아는 발레·인형놀이, 남아는 태권도·공놀이 해야 하나요?”

· 차림·외모: “졸업식에서 여아는 드레스, 남아는 턱시도 입어야 하나요?”

· 성격·행동: “남자는 울면 안 되나요?”, “여자는 얌전해야 하나요?”

 

 “여자는 얌전해야 해!”, “남자니까 씩씩하게 뚝!”, “학예회 때 여학생은 발레, 남학생은 태권도 해요.”, “여자애가 머리가 왜 이렇게 짧아?”, “남자는 키가 커야지.”, “아빠다리하고 앉아볼까?” 우리 아이가 다니는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에서 아직도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말과 행동이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대표이사 백미순)1120일 세계 어린이날을 맞아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에서 어린이가 겪는 성차별적 말과 행동을 시민의 제안으로 성평등하게 바꾸는 서울시 성평등 어린이사전결과를 발표했다.

 

 

 

1120일 세계 어린이날

19541214일 유엔은 1120일을 세계 아동의 날로 선포하고

  아동의 복지 증진과 아동에 대한 이해 증진을 촉진하기 위해 기념할 것 권고.

19591120일에는 유엔아동권리선언이 채택

19891120일에는 유엔아동권리협약이 채택되면서 생존보호발달참여를 

  핵심으로 한 아동의 기본권과 아동권리 보장을 위한 국가의 의무를 규정

어린이: 4, 5세부터 초등학생까지의 아이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이번 서울시 성평등 어린이사전에는 총 1,053명의 시민이 참여해 총 1,406건의 개선안을 제안했다

 (주관식 복수 응답, 11.4.()~11.9.() 진행)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생활 중 어린이가 겪는 성차별이 가장 심한 부분으로 선생님의 말과 행동’(31.4%)1위로 꼽혔고 교육 프로그램’(26.1%) 친구들의 말과 행동’(21.8%) 교재·교구·교육내용’(19.1%)이 뒤를 이었다.

 

 

                                                                                                                                                          제공:서울시


< 언어:“엄마는 아빠다리 할 수 없나요?”,“여아는 형님반 갈 수 없나요?”>

 “엄마·아빠도, 여아·남아도 할 수 있는 나비다리시민들은 어린이집, 유치원에서 바닥에 앉아 놀이하거나 수업을 들을 때 주로 하는 아빠다리를 성별을 지칭하는 용어가 아닌, 다리 모양에 따라 나비다리로 바꾸자고 제안했다. 아이들이 이해하기 쉽게 나비 날개 모양을 본뜬 말로 바꾸자는 의견이다.

여자 어린이도 진급할 수 있는 7세반어린이집, 유치원에서 진급할 때 배정받는 형님반을 여아, 남아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7세반’, ‘나무반등 성별 구분 없는 언어로 부르자고 제안했다.

 


                                                                                                                                                           제공:서울시

 

< 수업·놀이:“여아는 발레·인형놀이, 남아는 태권도·공놀이 해야 하나요?”>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의 수업, 놀이, 학예회, 역할극, 체육대회 등에서 아직도 남아 있는 성별 고정관념을 이제는 개선하자는 요구도 높았다. 학예회에서 여아는 발레, 남아는 태권도를 하는 것 역할극에서 여아는 토끼, 남아는 사자역할을 맡는 것 이름표, 실내화와 같은 준비물, 학용품이 여아용은 핑크, 남아용은 파랑으로 고정된 것 등을 아이들이 원하는 것으로 자유롭게 선택하게 하자는 의견이다. 

 

                                                                                                                                                           제공:서울시 


< 차림·외모:“졸업식에서 여자는 드레스, 남자는 턱시도 입어야 하나요?”>

 어린이집, 유치원의 졸업식에서 여자는 드레스, 남자는 턱시도’, 생일파티에서 여자는 공주 옷, 남자는 왕자 옷을 입고 오도록 하는 것, 여자는 긴 머리에 날씬한 몸매, 남자는 짧은 머리에 큰 키등 차림과 외모를 성별로 구분하는 것도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공:서울시  


< 성격·행동:“여자는 얌전해야 하나요? 남자는 울면 안 되나요?”>

 ‘여자는 얌전해야지, 남자는 울면 안 돼등 여성과 남성에 대한 편견을 담은 말, 멋진 왕자님, 예쁜 공주님등 성별로 구분하는 수식어도 개선해야 할 성차별적 말과 행동이라는 의견이다.

 

 

                                                                                                                                                           제공:서울시 


< 규정·지도: “여자는 치마·남자는 바지 교복 입어야 하나요?”>

 ‘여자는 치마, 남자는 바지로 정해진 원복·교복’, 남자가 앞번호인 출석번호’, 짝의 성별을 고정한 남녀짝꿍등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 학교에서 정해진 규정, 규칙에 대한 성차별 개선의 요구도 높았다. 가정통신문 등의 알림장에서 보호자의 역할과 아이 지도의 역할을 엄마에게만 부여하는 것도 성차별적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제공:서울시 

 

 이번 서울시 성평등 어린이사전에 의견을 제안한 1,053명 중 여성은 73.6%, 남성은 26.4%를 차지했다. 연령대는 30(45.2%)가 가장 많이 참여했고, 40(23.4%), 20(23.3%)가 그 뒤를 이었다. 응답자 중 자녀가 있는 사람은 전체의 63.2%였다.


 

                                                                                                                                                   제공:서울시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어린이집 보육 교직원과 양육자가 성인지 감수성을 기르고, 영유아기 아이에게 성평등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세 살 성평등, 세상을 바꾼다!’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교육 신청은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보육서비스지원센터 홈페이지를 통해서 하면 된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보육서비스지원센터: https://child.seoulwomen.or.kr)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백미순 대표이사는 어린이들이 가정 외에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생활에서 아직도 성차별 개선의 과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이번 시민제안을 통해서 아동기부터 성평등한 돌봄과 교육이 한 걸음 더 나아가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국클래식음악신문 www.classicnews.co.kr

 한완규 기자 liante99@hanmail.net

한완규 기자
작성 2020.11.21 23:38 수정 2020.11.22 19:43

RSS피드 기사제공처 : 한국클래식음악신문 / 등록기자: 한완규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