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상 칼럼] 코스미안 찬가 Ode to Cosmian (1): 이게 삶이야 This is Life

이태상

 

나는 지구 방문을 끝낼 준비를 하고 있다. 이 지구별 행성에서의 롤러코스터 놀이기구에서 내려와 나의 우주여행을 계속할 때가 된 것이다. 이제 내 나이 80대로 그동안 살아온 삶은 너무도 놀랍도록 경이롭고 신비로운 놀이였다. 그 어느 누구의 초대를 받고 내가 왔는지, 어떻게 왔는지 전혀 알 수 없지만, 나는 내 마음과 혼을 다 해 매 순간순간의 삶을 만끽하며 사랑했다.

 

지금 고백하건대 숨 쉬는 숨 하나하나를 내가 사랑할 수 있었던 이 사랑의 源泉원천은 내가 사랑한 여인이었다. 나는 그녀를 만나러 가는 것이다. 나에게 죽음을 주었다가 생명을 돌려준 여인을 만나러 가기 위해 나는 내 여행 짐 가방을 챙겼다. 나는 귀향歸鄕의 즐거움을 맛볼 것이다.

 

생각해보니, 나는 나의 삶을 모험으로 시작했고 모험으로 끝내는 것이다. 내가 아직도 그녀를 잊지 않고 기억하고 있다는 건 기적 중의 기적이다. 기적이란 일어나야 할 일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나는 믿는다.

 

이번 서울 여행을 가기 위해 뉴욕주 법원 법정 통역관으로 일하는 내 직장에서 10일간 휴가를 얻었다. 어쩌면 나의 마지막 고향 방문이 될는지 모르는 이 여행을 잘 다녀오라고 내 동료 법정통역관들이 빌어주었다. 이들은 내 모국 한국과 내 생각들의 뿌리와 내가 평생토록 과거도 그렇고 현재도 그러하며 앞으로도 여전히 사랑할 여인에 대해 알고 싶어 한다.

 

나는 내가 사랑하는 이 여인들을 코스미안이라고 부른다. 내가 이들에게 감사를 표할 때가 된 것이다. 삶의 가장 아름다운 말로 나의 사랑을 고백할 때가 온 것이다. 내게 온 모든 것들이 다 사랑으로 변했기에, 이제는 내가 이 여인들에게 사랑이 되어야 한다. 드디어 사랑으로 충만한 우주에서 이 모든 여인들을 만나 이들을 영원무궁토록 사랑할 시점時點인 임계점臨界點 정류점定流點 정상점定常點에 도달한 것이다.

 

나는 내 여행 백 속에 2016년말 자연과인문 출판사에서 출간된 내 책 생의 찬가한 권을 넣었다. 출판사에서 보내준 이 책을 받고 나는 나 자신에게 이렇게 독백을 하고 있었다. ‘, 이젠 그녀를 찾아봐야 해.’

 

생의 찬가는 내 기억 속에 결코 늙지 않는 그녀를 위해 불러 온 내 필생畢生의 노래이다. 그녀를 내가 만나지 않았었더라면 우주진宇宙塵 티끌의 하나로서 잠시 들린 이 지구별에서의 소풍이 얼마나 무미건조無味乾燥하고 무의미無意味 했을 것인가!

 

나는 알고 있다. 변덕스럽게 변하기 쉬운 내 몸의 육감六感/肉感 이 주는 感覺의 늪에서 라는 자아自我의 모든 에고를 걷어내 버린다 해도 그녀와 내가 절대로 사라지지 않을 것임을. 마치 강물은 계속 흐르고, 바닷물은 말라버리지 않듯이 우리 존재는 결코 없어지지 않을 것임을. 대양과 파도가 같은 것이듯, 흙과 도자기가 하나이듯, 그녀와 나는 같은 하나임을.

 

나는 알고 있다. 그녀에 대한 나의 그리움은 내 마지막 숨을 내쉴 때까지 멈추지 않을 것임을. 이 동경심憧憬心은 사랑과 동의어同義語임을. 사랑이 곧 삶임을. 사랑이 창조임을. 그녀가 사랑이고, 삶이며, 창조임을.

 

적어도 그녀는 지식智識/知識 앎과 지혜智慧의 알파와 오메가,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내가 찾던 것 훨씬 그 이상으로.

 

아침이면 해가 뜨고 밤이면 하늘에 별들이 반짝이는 한, 봄이면 꽃들이 피어나고 가을이면 낙엽들이 지듯이, 나에게는 인생 삶이 경이로움이고 축복 중의 축복이었다. 나에게 그녀는 태양과 별들 같았다. 그렇다. 진실로 그녀는 사랑의 무지개 타고 내게로 온 코스미안이었다. 내가 이 미스테리를 인식認識하게 되기까지는 오랜 세월이 걸렸다.

 

내가 여행 짐을 싸는 걸 보고 열 살짜리 내 외손자 일라이자가 어깨를 으쓱 올렸다가 내리면서 탄식하듯 말한다.

 

이게 삶이야!”

 

이 말을 내뱉고는 맥없이 축구공을 옆구리에 끼고 걸어나갔다. 일라이자가 나간 후 나는 내가 그 나이 때 기억을 떠올려 보았다. 아득한 그 옛날 서울은 다 바랜 흑백 사진 한 장으로 내 기억에 남아 있을 뿐, 지금은 찾아볼 수 없을 것이다. 이런 생각을 하자 나도 모르게 일라이자가 한 말을 나도 되풀이하고 있었다. ‘이게 인생이라

 

그렇다. ‘이게 인생이다.’ 그렇지 않다면 그녀들이 있을 수 없지. 나는 내일 아침이면 뉴욕의 존 에프 케네디 비행장을 출발해 그녀들을 찾으러 갈 것이다. 짐을 다 꾸리자 벌써 밤이 되었다. 나는 눈을 감았다. 시간이 내 몸에서 빠져나가고 있었다. 아니, 내가 시간 밖으로 달려나가고 있었다. 내가 자상地上의 영역領域으로부터 그 어떤 초현실적超現實的 세계로 상승上昇한 느낌이 들었다. 아마도 시간이 지나거나 정지하는 게 아니고, 내가 지나가고 정지하는 것일 수도 있으리라.

 

반쯤 잠이 들어 나는 이미지 형상形象들을 보기 시작했다. 꿈속에서 꿈을 꾸듯 나는 몇 년 전에 뉴욕 허드슨강가 길을 걸으며 지은 시를 낭송朗誦하고 있었다.

 

삶을 사랑하기 위해 나는 죽음도 사랑해야지.

카오스 때문에 코스모스가 있을 수 있으니까.

카오스와 코스모스 이 둘은 쌍생아雙生兒.

 

낮과 밤이

기쁨과 슬픔이

人情慾心

理解忿怒

智慧無知

 

이 둘은 둘이면서 하나지.

코스모스와 카오스 같이

이 둘은 샴쌍둥이이니까.

 

 

This is Life

 

I’m getting ready to end my visit to Earth. It’s about time to get off the roller coaster of life on this planet and resume my cosmic journey.

 

Now in my eighties, life to me has been an amazing, mysterious and wonderful game. Although I don’t know on whose invitation I came, I came without an inkling how I came here, but I’ve lived with all my heart and soul, loving every moment to the fullest.

 

I can now confess that the source of my love felt for each breath was the Lady of my life. I am going to meet her. In order to meet the Lady who gave me death and then gave life back to me, I packed my travel bag. I’m going to enjoy coming home.

 

Come to think of it, I started my life with an adventure and I am ending it with an adventure. It’s the miracle of miracles that I can still remember her. I believe that miracle is what happens that has to happen.

 

For my trip to Seoul, I got a leave for ten days from my job working as a New York State Court Interpreter. My colleagues wished me a very happy bon voyage that might be my last one. They have been curious about my mother-land, about the roots of my thoughts and about the love of my life.

 

I named the Ladies Cosmians. It’s time to give them my thanksgiving. It’s time to confess my love for them in the most beautiful words of life. As all things that came to me turned into love, I’ve got to come to them and be the love for them. I’ve finally arrived at a critical point of meeting all the Ladies in the Universe of Love to love them all eternally.

 

I put in my bag a copy of my book ‘Ode to Life’ that just came out at the end of 2016. After receiving copies of this book from my publisher, I was talking to myself: Time was for me to look out for the Lady. ‘Ode to Life’ was my lifelong song sung for the Lady never aging in my memory. Had I not met her on this picnic on earth my journey as a speck of cosmic dust would have been dull and meaningless.

 

I know that the Lady and I will never vanish even if I can dredge up all my egos from the swamp of sensations caused by my fickle body. As the river never stops flowing and the ocean never dries up, we’ll never cease to be. As the sea and waves are the same, as clay and pottery are one, she and I are one and the same.

 

I know that my longing for her will never stop till my last breath is taken away. This longing is the synonym of love. Love is Life. Love is Creation. The Lady is Love, Life and Creation.

 

At the least, the Lady was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knowledge and wisdom far beyond what I sought.

 

As long as the sun was rising in the morning and the stars were twinkling at night, while flowers were blooming in the spring and the leaves were falling in the autumn, life was full of wonder and nothing but blessings for me. The Lady was like the sun and the stars to me. Yes, indeed, she was a Cosmian who came to me Arainbow of Love. It took a long time for me to be aware of this mystery.

 

Watching me packing up to leave, my ten-year-old grandson Elijah shrugged his shoulders and sighed:

 

“This Is life!”

 

Then he walked away with a soccer ball. After he left, I tried to recall when I was his age. Seoul back then remained only in my distant memory as a faded black and white picture, and it will be no longer there. This thought almost made me repeat what Elijah said:

 

‘This Is life!’

 

Yes. This Is life!’ Otherwise, the Ladies couldn’t be there. I’ll be departing from JFK Airport tomorrow morning to look for them.

 

When I finished packing, it was night already. I closed my eyes. Time was exiting my body, or rather I was getting out of time. I felt like I ascended from the earthly realm into an unworldly one.

 

Maybe time doesn’t pass or stop. I may be passing and stopping, instead. Falling half-asleep, I started seeing images. As if I was dreaming in a dream, I was reciting a poem I composed years ago while walking along the Hudson River:

 

I’ve got to love death so that I can love life,

as there can be cosmos because of chaos.

 

These two are twins.

Day and Night

Life and Death

Joy and Sorrow

Generosity and Greed

Understanding and Anger

Wisdom and Ignorance

These two are two and one.

Like Cosmos and Chaos,

These two are Siamese Twins.

 

(Excerpted from ‘Cosmian’ by Lee Tae-Sang published in 2019 by AUSTIN MACAULEY PUBLISHER- LONDON-CAMBRIDGE-SHARJAH)

 

[이태상]

서울대학교 졸업

코리아타임즈 기자

합동통신사 해외부 기자

미국출판사 Prentice-Hall 한국/영국 대표

오랫동안 철학에 몰두하면서

신인류 코스미안'사상 창시

1230ts@gmail.com


전명희 기자
작성 2021.05.04 02:18 수정 2021.05.04 02:58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전명희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5일
2025년 4월 25일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