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63개 (124 페이지)
[오늘의 칼럼] 천성지수 CQ를 높여야
흔히 IQ(Intelligence Quotient)라 하는 지능지수는 좋은 학교나 직장에 들어가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사회적으로 크게 성공할 수 있는가를 결정하는 것은 감성지수 EQ(Emotional Quotient)라고 한다. EQ라는 말은 하버드대 심리학과 교수 ...
[오늘의 칼럼] 올해의 단어 'Toxic'
최근 옥스포드사전이 '2018년의 단어'로 'Toxic'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Toxic은 독성이 있다는 뜻의 영어 단어다. 기후변화를 초래한 인간의 독성, 평화로운 인류사회를 파괴하는 정치풍토의 독성, 건전한 남녀관계를 해치는 남성의 폭력적인 ...
[항간세설] 왜 이리 호들갑인가
논산 기간제 여교사가 제자 두 명과 성관계를 맺었던 사건을 두고 여러 신문들은 ‘논산 여교사, 제자와 성관계’, ‘말세다 말세’라는 제목을 달고 호들갑을 떨고 있다. 말초신경자극제 아니면 도덕군자 같은 이 ‘말세타령' 기사를 냉철히 좀 살펴보도록 하자. &...
[오늘의 칼럼] 스마트폰의 역설
짧은 기간에 인류의 삶을 획기적으로 바꾸어버린 것이 스마트폰이다. 이제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못할 일이 거의 없다. 지하철을 타고 유심히 살펴보니 10명 중 8명이 스마트폰을 보고 있고 그 중에서 절반은 이어폰까지 끼고 있다. 머지않아 종이신문과 공중파 방송은 없어질...
[오늘의 칼럼] 어떻게 코스미안이 될 것인가
어떻게 코스미안이 될 것인가진보 좌파와 보수 우파, 흑백 인종주의, 옳고 그름, 선과 악의 흑백이론, 남녀갈등, 상하관계, 갑을관계, 선민과 이방인, 너와 나를 분별하는 모든 분열적인 울타리 안에 갇혀 있는 한 우리 인류는 상생이 아닌 자멸의 길을 갈 수밖에...
[오늘의 칼럼]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식물인 나무들 중에는 동물에 비해 수명이 긴 것이 많다. 서울 종로구 재동에 있는 백송은 600살이 넘었고, 강원도 정선군 남면 유평리에 있는 느릅나무도 수령이 약 730년 정도 되었다. 경기도 양평군 용문사 은행나무는 나이가 약 1,100년 정도로 추정된다....
[격문] 변혁의 논리, 태서(泰誓)
고대 중국 하나라 걸왕에게 은나라 탕왕이 띄운 격문, '탕왕의 호소'를 빌어 아주 특별한 서약을 해봅니다.사람들이여, 함께 생각해 봅시다.우리 모두 하나같이 지구라는 이 작은 별에 태어나 잠시 살다 우주로 되돌아갈 나그네인 '코스미안 Cosm...
[전승선칼럼] 도시의 역습
하루가 멀다 하고 바람 잘 날 없다. 하도 사건사고가 많아 엽기적인 사고가 나도 이제 충격을 받지도 않는다. 사람들은 자신의 일이 아니면 관심을 두지 않고 무감각으로 일관한다. 605.41제곱킬로미터의 면적에 천만이 넘는 인구가 바글바글 대며 살아가는 서울의 이야기다....
[칼럼] 종교여, 초심으로 돌아가자
인도의 성자로 불리는 마하트마 간디는 기독교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기독교인만 아니면 우리 모두는 기독교인이 되었을 것이다. But for the Christians, we all could be Christians." 이 말은 물론 초기 기독교를 두고 한 말은 아니...
[이태상칼럼] 뱅크시의 행위예술 (Banksy's Performance Art)
귀족화되고 상업화됐으며 조직화된 모든 종교와 문학이 장님 코끼리 만지듯 하는 말장난이나 글장난이라면 미술은 그림장난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글과 그림이 우리들 삶이나 자연과 비슷한 경우도 있지만 터무니없이 다른 예가 많은 것 같다...
[이태상칼럼] 간디는 성인이었나?
우리가 성인으로 떠받드는 간디의 비서 마하데브 데사이 (Mahadev Desai)가 남겼다는 시 한 구절을 음미해보자.하늘에 있는성인들과 같이 산다는 건더할 수 없는 영광이요 지복천국이나한 성인과 지상에 함께 사는 일이란전혀 다른 이야기이어라To live with th...
[이태상칼럼] 톨스토이는 성인(聖人)이었나 치인(癡人)이었나
영어로 성상파괴자를 아이코너클래스트(iconoclast)라 한다. 이런 성상파괴자의 시각으로 보는 것도 좋지만 안데르센 동화 ‘황제의 새 옷’에 나오는 어린애나 생텍쥐페리의 ‘어린 왕자’의 시각으로 세상에서 ‘성인(聖人)’으로 추앙받는 인물들 중 한명인 톨...
[전승선칼럼] 한글 이야기
21세기 문명화된 사회를 예견이라도 한 듯 572년 전 세종대왕이 만든 완벽한 글이 한글이다. 한글처럼 문명과 가장 잘 맞아떨어지는 문자는 아직 없다. 컴퓨터 시대를 위해 미리 만들지 않았나 하는 의구심마저 드는 문자가 한글이다. 세계문자 가운데 만든 사람과...
[사설] 코스미안뉴스 창간 기념회
이 세상에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지만 반드시 존재하는 것이 있다. 미움이나 사랑도 그 중의 하나다. 그래서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마음 속은 알 수 없다고 했다. 하물며 우주의 속마음을 보통사람들이 어찌 알겠는가.눈앞에 나타나는 것들도 사실은 도깨...
[칼럼] 언어 사대주의
10월 9일은 한글날이다. 해마다 한글날이 오면 세종대왕께 부끄러운 생각이 든다. 아름다운 우리말이 있는데 국적불명의 희한한 말들이 판을 치기 때문이다. 영어를 섞어 쓰면 유식해 보이는지 방송 토론에 나오는 식자들은 팩트, 맨토, 컨센스서, ...
[전승선칼럼] 지구촌 날라리
욕망은 태생적 신앙이다. 인간의 욕망은 끝이 없도록 설정되어 있다. 스스로에게 속아 넘어가는 모드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끝을 모르고 달려가는 것이다. 이천오백 년 전 지구촌 사람들의 욕망에 제동을 건 석가모니가 있었다면 이천오백 년 후 지구...
[오늘의 칼럼] 어떻게 낙천주의자가 될 것인가
어떻게 낙천주의자가 될 것인가 니체는 우리 모두 나그네가 되라고 한다. 그것도 어떤 목적지를 향해 가는 여행객이 아닌 나그네 말이다. 왜냐하면 인생의 최종 목적지란 없기 때문이다. 니체는 또 이렇게 말한다. “너 자신을 위한 높고 고상...
[칼럼] 꿈 이야기
호접춘몽장주라는 사람이 꿈에 나비가 되었다. 나른한 봄날 꽃밭을 훨훨 나는 나비 말이다. 그 나비는 자기가 사람이라는 것을 모르고 있었다. 꿈을 깨고 일어나 보니 그는 틀림없는 인간이었다. 인간인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된 것일까. 아니면 나비가 꿈에 인간 장주로 변한 것...
[칼럼] 개미와 거미의 변증법
개미와 거미의 변증법 개미와 베짱이 이야기가 있다. 개미는 여름 내내 땀 흘려 일한다. 그 사이 베짱이는 나무 그늘에서 노래만 부르고 놀다가 추운 겨울이 오자 눈물을 흘리며 개미집으로 구걸을 간다. 농경사회나 산업사회에서는 개미처럼 부지런한 사람이 ...
[칼럼] 독도, 어떻게 해야 하나
독도에서, 주민 김성도 님과 함께의병이 지킨 섬 독도 독도가 어떤 섬인가. 목숨을 걸고 3년 8개월 동안 독도를 사수해온 독도의용수비대 33명의 대원들 덕분에 오늘날까지 독도는 우리 땅으로 남게되었다.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최선을 다해 독...
Opinion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2014년에 시작된 국제적 무력분쟁이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크게 확대된 이후 3년...
안녕하세요. 나영주입니다. 사랑하는데 이유를 달지 않듯이 시를...
안녕하세요. 나영주입니다. 사랑하는데 이유를 달지 않듯이 시를...
안녕하십니까. 코스미안뉴스 천보현 기자입니다.&nbs...
안녕하세요. 나영주입니다. 사랑하는데 이유를 달지 않듯이 시를...
안녕하세요. 나영주입니다. 사랑하는데 이유를 달지 않듯이 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