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254개 (163 페이지)
[이태상의 항간세설] 생쥐와 인간
경자년 쥐해를 맞아 논픽션과 픽션을 통해 쥐와 인간의 생태를 좀 살펴보리라. 우리 동양의 육십갑자(六十甲子) 지지(地支) 가운데 쥐띠가 왜 제일 먼저일까. 병자(丙子)년 1936년생 쥐띠로서 나는 자문해본다. 쥐는 가장 영리한 동물이라고 생...
[강드림의 싫존주의] 코로나 바이러스의 대처방안
이것은 일종의 ‘통합’의 결과물이다. 좁은 공간 안에 너무 많은 인간들이 옹기종기 모여 살다보니 병이 생기고, 각종 혐오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제 우리는 좀 떨어져서 ‘독립적’으로 살아야 할 필요가 있다. 역사상 모든 통치자는 피지배층...
[김건휘 기자 칼럼] 특수교육을 생각하다
<생각 열기> 일반사회 교사인 윤 선생님은 새 학년에 자폐성장애 학생을 담임하게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친한 특수교사 김 선생님을 찾아가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의사소통이 힘들지는 않을까하고 걱정하는 윤 선생님에게 김 선생님은 ‘...
[이태상의 항간세설] 숨 쉬듯 짓는 죄
요즘 코로나바이러스가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지만 이보다 더 무섭고 끔찍한 잘못된 생각의 바이러스가 벌써 몇천 년째 치명적인 전염병으로 창궐해오고 있지 않은가. 옛날 초등학교 다닐 때 나는 잠자리를 잠자리채로만 잡지 않고 둘째 손가락으로도 잡...
[여계봉의 ‘문화를 論하다’] 뮤지컬로 재탄생한 느와르 명작 ‘영웅본색’의 귀환
1986년 중국 반환이 결정된 불안한 홍콩의 뒷골목을 배경으로 만들어진 느와르 영화의 대명사 ‘영웅본색’은 한 시대를 풍미한 명작 영화로 많은 이들로부터 사랑을 받았다. 특히 최근의 홍콩 상황을 보면서 당시 그 시절을 기억하는 40, 50대들의 감회는 남다를 것이다. ...
[이태상의 항간세설] 인생이 일엽편주 같다면
행위예술이니 음주문화니 하는 말이 있다면 끽연문화란 말도 쓸 수 있지 않을까. 아직도 좀 그렇겠지만 내가 젊었을 땐 더욱 그랬었다. 술과 담배를 해야 매력 있는 것처럼 술과 담배 선전 광고로 세뇌되어 억지로라도 술과 담배를 해야 했다. 나도...
[신연강의 인문으로 바라보는 세상] 세상을 읽는 힘
유유히 흐르는 강의 풍광! 강을 보노라면 마음이 여유로워질 뿐 아니라, 부드럽고 한결같지만 또한 끈기 있는 불변의 진리를 보게 된다. ‘강’하면 떠오르는 작가는 소설가로서 시작하여 말년에 강연자로서 명망이 높았던 마크 트웨인(Mark Twain)이다. 그의 작품『톰 소...
[여계봉의 ‘문화를 論하다’] 죽음 앞에서 삶을 해학적으로 풀어낸 연극 ‘죽여주는 이야기’
우리나라 자살 사망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18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는 26.6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많다. 연극 ‘죽여주는 이야기’는 소재가 자살이라 무거울 수밖에 없는데 이를 해학적으로 풀어낸 블랙 코미...
[양기자의 눈] 코로나바이러스 확산보다 더 심각한 혐오의 확산을 경계한다
12월 30일 중국 우한시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한 달도 되지 않아 아시아를 넘어 아메리카, 유럽, 오세아니아, 아프리카까지 전파되었으며 WHO에서는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방지를 위해서...
[항간세설] 치기타령 해독법
청소년 시절 독일어로 ‘als ob (영어로는 as if)의 철학’이란 평론을 읽었다. 수학상의 정의로 직선이란 두 점 사이에 가장 가까운 거리이고, 점이란 전혀 면적이 없는 하나의 위치인 까닭에 이러한 직선이나 점은 정의상으로만 가능할 뿐, 실제로는 이런 ...
[김건휘 기자 칼럼] 특수교육을 생각하다
<생각 열기> 서울 강서구의 한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김 선생님은 집에 돌아와 선생님이 담임하는 학생들을 생각합니다. 성준이는 언제나 밝은 얼굴로 친구들을 대하며, 김 선생님이 시키는 심부름도 곧잘 해냅니다. 뿐만 아니라 수업시간 전...
[송윤정 칼럼] 대안적 진실과 블록체인
“진실이 무엇이냐?” 2천 년 전 빌라도가 예수께 물은 질문이다. 이 질문은 그보다 훨씬 앞서 인류가 존재한 역사만큼 오래된 질문일 것이다. 19세기까지 수천 년간 서양의 철학적 사고는 절대적 진리를 증명하고자 했다. 20세기에 들어서며 합리적 이성에 기반한 절대적 진...
[이경수 칼럼] 최저임금 인상 금액을 모든 직원에게
최저임금 인상을 조율하기 위한 움직임이 벌써 부산하다. 노동자를 대표하는 쪽에서는 만원까지 밀어붙이려 하고, 사용자 측에선 작년과 변함없이 동결하거나 오히려 지금도 많으니 깎자는 말이 나오지 않을까 예상한다. 이처럼 내년에도 올라봤자 9천 원은 넘지 못할 것...
[김희봉의 삶의 향기] 모차르트의 성, 잘츠부르크
여행은 천재와의 만남이다. 예술가의 삶을 먼발치에서 관조함이다. 성채를 떠나는 천재의 슬픈 뒷모습을 안타깝게 배웅함이다. ‘로코코의 아들’ 젊은 모차르트는 고향 땅 호헨잘츠부르크성에서 버림받은 채 쫓겨나고 말았다. ‘사운드 오브 뮤직’의 ...
[항간세설] 유성은 별똥별
유성을 우리말로는 별똥별이라 한다. 정호승 시인의 시집 ‘외로우니까 사람이다’에 실린 ‘별똥별’이란 시를 우리 음미해 보자. 별똥별이 떨어지는 순간에 내가 너를 생각하는 줄 넌 모르지 떨어지는 별똥별을 바라보는 순간 ...
[정홍택의 사랑방 이야기] 그 숲속에는 분명 영감이 살고 있다
의사는 당뇨 환자인 내게 일주일에 네 번 이상, 한 번에 한 시간 이상 걸으라고 명령을 했습니다. 그래서 시작한 것이 동네공원 산책이었죠. 걸어가서 두 바퀴 돌고 다시 집에 오면 딱 한 시간이 걸립니다. 이렇게 몇 년을 하고 나니 건강 말고...
[항간세설] 하여가(何如歌)와 단심가(丹心歌)
요즘 한국에서 유행하는 말로 ‘그린일베’와 ‘좌음’이 있다. 아마도 녹색 베레모를 착용하는 미육군특수부대 ‘그린베레’에서 따 온 것 같은데, 네이버의 이미지 색인 ‘그린(Green)’과 극우성향 온라인 커뮤니티인 ‘일베(일간베스트)’의 합성어로 네이버 뉴스 ...
[항간세설] 카오스와 코스모스는 쌍태아
최근 프랑스 파리의 테러 참사와 서울에서 벌어진 폭력시위가 카오스라면 이런 카오스를 어떻게 코스모스로 돌려놓을 수가 있을까? 인류역사 이래 언제 어디서나 강자가 약자를 착취하고 괴롭히다 보면 필연적으로 약자 또한 강자에게 복수하는 ‘갑’질 못...
[신연강의 인문으로 바라보는 세상] 글쓰기의 고통
그는 괴로워하고 있었다. 자신이 써놓은 글 때문에 겪는 고통! 입술은 부르트고, 눈은 밤새 거리를 배회한 고양이처럼 ‘퀭’하며, 머리는 야생짐승의 털처럼 산발(散髮)이 되어 화난 듯 뻗쳐있었다. 젊은 시절 한창이었을 그의 사나운 기세도 최근 몇 년간의...
[송윤정 칼럼] 예멘에서의 미소
“FAKE REFUGES GO HOME RIGHT NOW” “국민이 먼저다” 2018년 7월, 푯말을 들고 시위하는 사람들에 대한 한국 뉴스를 보게 되었다. 제주도에 500여 명의 예멘 난민이 도착한 이후 한국에선 외국인 혐오증 몸살을 앓고 있는 듯하다. 한...
Opinion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2014년에 시작된 국제적 무력분쟁이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크게 확대된 이후 3년...
연예 매체 ‘버라이어티’ 보도에 따르면 미국 NBC 방...
선재길을 걸으며 수려한 자연과 그 속에 담긴 역사 이야기 그리고 국립조...
거침없는 상상력과 감각적인 문장으로 그려낸 강렬한 서사의 세계이토록 존귀한 나는 누구인가....
조선 후기 괘불도인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를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지정...
새 신발 새로 산 운동화가 훌쩍이고 있어요.비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