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406개 (171 페이지)
[고석근 칼럼] 우리는 희생자 안에서 우리 자신을 인식해야 한다
네게로 가리.혈관을 타고 흐르는 매독처럼삶을 거머잡는 죽음처럼. - 최승자, <네게로> 부분 토마스 빈터베르 감독의 영화 『더 헌트』는 치명적인 오해 하나로 인해 순식간에 공동체의&...
[이순영의 낭만詩객] 아버지의 창 앞에서
아버지는 사라졌다. 아빠만 남았다. 권위 있던 아버지는 사라지고 다정하고 친구 같은 아빠만 남아 가족의 서열에서 자식들 밑으로 밀려났다. 그렇다는 이야기다. 좋고 나쁘고의 이야기가 아니다. 세상이 바뀌었으니, 아버지...
[민병식 칼럼] 오정희의 '유년의 뜰'에서 보는 전쟁의 아픔과 억지력
오정희(1947~ )는 서울 출생으로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졸업했고 1968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완구점 여인'이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불의 강' '중국인 거리' '유년의 뜰' '바람의 넋' '불꽃놀이' '새...
[신기용 칼럼] 박목월의 역사의식 앞에서 1
청록파 시인 박목월은 순수시를 지향했다. 그가 시대정신과 역사의식이 녹아 흐르는 시를 발표한 적 있다. 1960년 4.19 혁명 때 학생의 편에 서서 시로 울부짖었다. 「동이 트는 순간(瞬間)을」이라는 시이다. 추모시 성격의...
[김태식 칼럼] 아귀
생선시장을 돌아다니다 보면 배를 가르고 내장을 드러내 놓은 회갈색 빛깔의 생선이 있다. 겉모습만 보면 살이라고는 있을 것 같지 않다. 처음 이 녀석의 배를 가르면 그 속에는 아직 소화되지 않은 여러 가지 생선들이 들어있다. 멸치, 새...
[최민의 영화에 취하다] 만추
감정 과잉의 시대, 우리는 그 속에서 넘쳐나는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고 살아간다. 실시간으로 빛처럼 스며드는 공감이라는 감정도 자신도 모르게 강요당한다. 속도에 길들어지고 일회성 감정에 길든 탓이다. 흘러가는 계절에 대한 단상,&nbs...
[홍영수 칼럼] 몽중몽설(夢中夢說)
어떤 글을 쓸 때, 어느 글은 거침없이 써 내려가기도 하고 어느 글은 단 한 줄을 쓰기 위해 많은 시간을 생각해 내고 상념에 잠기기도 한다. 그러나 쉽게 쓰인 글이든 어렵게 쓰인 글이든 많이 수정하고, 보완하고, 퇴고를 거치게 된다는...
[김관식 칼럼] 한류바람은 지속되어야 한다
동물이 생명을 유지하려면, 물과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동물이나 사람이나 부지런히 몸을 움직이는 까닭은 생존을 위해서다. 제 자리에서 움직이고 생명을 유지하는 식물은 물과 햇빛 에너지로 자기가 필요로 하는 영양분을...
[이태상 칼럼] 중용의 길
서울대 철학과 김상환의 ‘역동적 조화 중용에 저항시인의 진보 갈망 담다’의 글을 통해 김수영이 4.19 직후 발표한 ‘중용에 대하여’의 한 대목을 인용하며 중용을 풀이했다. 여기에 있는 것은 중용이 아니다.&nbs...
[심선보] 아버지라는 이름으로
아버지라는 이름에는 수많은 의미와 무게가 담겨 있다. 때로는 든든한 버팀목으로, 때로는 엄격한 스승으로, 때로는 따뜻한 친구로 우리 곁을 지키는 존재, 바로 아버지다. 이 이름 아래 감춰진 희생과 사랑, 그리고 시대...
[윤헌식의 역사칼럼] 명량해전 직후 충무공 이순신의 포상 논의
정유재란 시기에 벌어진 명량해전(1597년 9월 16일) 직후 조선 조정은 군공을 세운 장수들을 포상하였다. 충무공 이순신의 『난중일기』에도 그러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다음은 그 해당 기록이다.『난중일기』, 1597년 11월 16일 군공을 정한 기록을 살...
[고석근 칼럼] 비극은 연민과 공포를 통해 감정의 정화를 이끈다
한 세상 떼어 메고 이 세상 밖 어디론가 날아갔으면 하는데 - 황지우,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부분 고대 그리스의 작은 도시국가 아테네는 수많은 전쟁과 혼란을...
[이순영의 낭만詩객] 열반송
1993년 11월 5일 자 동아일보에 ‘28자 열반송에 일생 담아’라는 성철스님 기사가 올라왔다. 사람들은 이 열반송을 해석하느라 야단법석이었다. 신문사들은 신문사대로, 종교는 종교대로, 사람들은 사람들대로...
[민병식 칼럼] 피천득의 수필 '인연'에서 보는 인연이란
피천득(1910-2007) 작가는 시인이며 수필가로 1930년 '신동아'에 서정별곡, 파이프 등의 작품으로 등단하였고 서울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바 있으며 작품으로 시집 서정시집, 금아시문선, 수필로 인연, ...
[신기용 칼럼] 박두진의 역사의식을 앞에서2
박두진 시인은 청록파 시인으로서 순수시와 기독교 신앙시 위주로 발표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1960년 4.19 혁명 때 희생당한 학생의 편에서 올곧은 시대정신과 역사의식을 반영한 참여시를 발표했다. 시 「우리들의 ...
[김태식 칼럼] 덩리쥔
부산의 차이나타운을 지나가니 귀에 익은 중국 노래가 들려온다. 이 노래를 들으면서 내가 몇 년 전 중국에서 잠시 파견 근무할 때의 기억이 떠오른다. 청아한 목소리의 주인공을 되새길 여유를 가지니 금세 기분 전환이 된다. 1995년의...
[곽흥렬 칼럼] 뻐꾸기는 왜?
참으로 뜻밖의 행운이었다. 모르긴 몰라도, 생애에서 두 번 다신 만나지 못할 것 같은 극적인 체험이 아니었나 싶다. 그날의 느꺼웠던 순간만 떠올리면 지금도 가슴에서 잔잔한 떨림이 전해져 온다. 명작동화 「파랑새」에...
[이윤배 칼럼] 사막 도시 두바이의 기적
코로나 엔데믹 이후 그동안 가지 못했던 해외여행을 기쁜 마음으로 가기로 했다. 그런데 늘 그래왔던 것처럼 과거의 유적지를 탐방하는 그런 여행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가 공존하는 색다른 여행지를 가 보고 싶었다. 그래서 선택한 곳이 4박...
[김관식 칼럼 문학 향유풍토에 대한 반성
문학은 모든 예술 분야의 선봉장의 역할을 해왔다. 문예사조의 시발점은 주로 문학에서였다. 따라서 예로부터 모든 학문의 토대를 文史哲이라 여기고, 그 중의 으뜸을 인문학으로 내세우고 인문학의 선두 주자는 문학이 담당해 왔다. ...
[이태상 칼럼] 중용의 길
서울대 철학과 김상환의 ‘역동적 조화 중용에 저항시인의 진보 갈망 담다’의 글을 통해 김수영이 4.19 직후 발표한 ‘중용에 대하여’의 한 대목을 인용하며 중용을 풀이했다. 여기에 있는 것은 중용이 아니다...
Opinion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유리(由離)를 기다리며 어둠을 태워 빛으로 피워내...
백수린(1982 - ) 작가는 연세대학교 불문과를 졸업하였고 2011년 ...
7월 31일부터 목포해상케이블카 고하도 승강장(전남 목포시)에서 해양유산의 가치 확산과 해...
국립수목원(원장 임영석)은 2025년 7월 28일(월) 광릉숲에서 천연기념물 제...
김소월(1902~1934)은 설화 모티프 시를 여러 편 발표했다. 그 대표적인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