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와 공급이 자연적으로 이뤄지는
보이지 않는손(invisible hand)
시장에서는 개개인의 모든 이해가궁극적 자연적으로 조화를 이룬다.
보이지 않는 손은(invisible hand) 영국의 고전파 경제학자 애덤스미스가 국부론 과 도덕감정론 에서 사용한 표현이다.
시장에서는 개개인의 모든 이해가 결국 자연적으로 조화를 이루어 간다는 이론이다.
일반적으로 상품매매는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와 공급의 일치할때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품을 팔려는 사람은 되도록 높은 가격에 팔려고 할것이고 물건을 사려는 소비자는 되도록 싼 값에 사고 싶어한다.
만약 수요에 비해 물건이 적게 나오면 어떻게 할까요?
그 제품의 가격은 올라갈수밖에 없다.
그러나 경쟁업체들이 서로 가격을 내리면서 소비자를 공략하면 가격이 다시 내려간다.
또한 제품 가격을 높게 책정했더라도 이를 찾는 사람이 없으면 가격은 떨어질수밖에 없다.
이처럼 상품에대한 수요와 공급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두고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한다고 말한다.일부에서는 보이지 않는 손을 ‘시장의 기능’이라고 부른다.
제품의 수요와 공급의 놓고 소비자와 공급자가 벌이는 시비가 다소 혼란스럽게 보일지 모르지만 이는 자유경쟁을 통한 자율성을 강조하는 자본주의의 기본 개념이다.
서로 상충하는 이해관계 가 오히려 모든 거래 당사자에게 이익을 가져다 주는것이 자유경쟁 시장의 매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