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광역철도사업 구간 지반침하 사고를 잇따르자 전반적인 안전대책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1일 도에 따르면 시공과정 지하수 변동, 노후 매설물, 미탐지 지중구조 등 사고의 주요 원인에 대한 조사 및 설계, 시공 단계 관련 기관과 단계에 안전을 확보할 계획이다.
시공단계 지반침하 전문가를 배치해 위험구간 굴착공사 상부에 안전요원을 상시 배치해 지반침하 예방에 나선다.
또한, GPR 탐사는 산지 외 전 구간까지 확대, 계측장비로 이상 징후를 조기에 파악하여 위험 예상시 적극 대응할 예정이다.
도는 사고예방을 위해 기본계획부터 수직구, 정거장, 다른 터널 교차부 등 위험구간을 별도로 설정한다.
설계단계에서는 시추조사 밀도를 높여 주요 구간에서의 지질정보 확보, 지하물리탐사(GPR), 전기비저항탐사, 탄성파 탐사 등을 확대할 계획이다.
탐사 결과에 따라 위험구간에 대한 중첩 검사 및 집중 검토 후 설계에 반영할 계획이다.
지하시설물은 초기부터 유관기관과 합동 점검 후 절차를 보완하고 위험성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국가사업 ‘월곶~판교 복선전철 건설공사’ 현장은 경기도 관계자가 참여해 행정안전부 등과 합동 건설사업자의 주요 의무 이행 여부와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했다.
김기범 경기도 철도항만물류국장은 “시공 전 과정에 전문가 등과 유관기관과이 협력해 안심할 수 있는 공사를 실시하고 만족하는 철도 인프라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