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출이 많고 현재 무직 상태인 경우, 대부분의 금융기관에서 추가 대출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런 어려운 상황에서도 소액대출을 받을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들이 등장해 주목받고 있다.
기대출 과다 + 무직, 대출이 가능할까?
기존에 다수의 대출을 보유하고 있는 무직자의 경우, 일반 은행권에서는 대출 승인이 매우 까다롭다. 금융기관은 상환 능력을 가장 우선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출이 꼭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조건을 잘 활용하면 기대출 과다자도 무직 상태에서 소액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존재한다.
무직자도 가능한 대출, 현실적 3가지 선택지
1. 제3금융권 대출 활용
‘골든캐피탈대부’, ‘우진캐피탈’, ‘엠케이대부’, ‘애플론’, ‘성공대부’ 등은 무직자, 신용등급이 낮은 사람, 기존 대출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소액대출 상품을 운영 중이다. 대출 금리는 다소 높은 편이나, 조건이 까다롭지 않아 당일 대출도 가능하다.
2. 정부 정책 서민대출 상품 활용
무직자도 신청할 수 있는 ‘소액생계비대출’은 최대 100만원까지 대출 가능하며, ‘기초수급자 생계형 대출’ 은 최대 1200만원까지 가능하다. 특히 연 3%~15.9% 수준의 낮은 금리, 중도상환 수수료 면제, 성실상환 시 금리 인하 혜택 등 무직자의 부담을 덜어주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 있다.
3. 긴급복지지원제도 등 복지 대안 활용
긴급복지지원제도는 대출이 아닌 현금 생계비 지원이 가능한 제도다. 주 소득자의 실직, 질병, 사고 등 위기 상황에서 최대 6개월간 생활비, 의료비, 주거비, 교육비를 직접 지원한다. 특히 무직 상태인 사람도 신청 가능하며, 비급여 의료비까지 지원해 실질적인 생활안정 효과가 높다.
대출전문가 조언 “무작정 포기보다 정보 탐색이 먼저”
대출 전문가들은 “기대출이 많고 무직 상태라도 조건에 맞는 대출 상품을 찾으면 충분히 해결 가능하다”며 “특히 정부 정책 상품과 복지 제도를 함께 활용하는 전략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실제로 많은 이들이 서민금융진흥원 정책자금이나 지자체 대부 등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있으며, 상환 성실도에 따라 금리 인하나 추가 대출로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다.
포기 대신 ‘정보 탐색’, 희망은 열린다
기대출 과다 무직자 소액대출은 분명 쉽지는 않지만 불가능하지도 않다. 제도권 금융, 제3금융, 정부 정책 상품, 복지 지원 제도를 전략적으로 조합한다면, 일시적인 위기를 충분히 넘길 수 있는 현실적인 해법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