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통대환대출’이라는 키워드가 온라인 금융 커뮤니티와 포털사이트에서 급격히 검색량을 높이며 화제가 되고 있다. 이름만 보면 흩어진 여러 대출을 하나로 통합해 이자 부담을 줄여주는 ‘고마운 금융상품’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위험한 불법 사금융의 덫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 ‘통대환대출’, 정말 합법일까?
전문가들에 따르면 ‘통대환대출’은 일반적인 대환대출과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제도권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합법적인 대환대출은 고금리 대출을 저금리로 바꿔주는 방식이지만, 통대환대출은 대부분 등록되지 않은 불법 대부업체에서 운영되고 있다.
이들은 고객의 신용정보를 빌미로 유료 신용조회 가입을 유도하고, **과도한 수수료(최대 15%)**를 요구하는 등 법적 테두리를 벗어난 운영을 지속하고 있다.
“이름만 다를 뿐, 사실상 불법 사금융의 포장마차에 불과합니다. 절대 속지 마십시오.”
— 신용회복위원회 관계자 발언
■ 화려한 포장 속 숨겨진 위험 요소들
‘통대환’이라는 단어는 '통합+대환'의 줄임말로, 다중 채무를 하나로 모은다는 뜻이다. 하지만 실제 이용자 후기와 피해 사례를 살펴보면, 이는 ‘빚 돌려막기’에 가까운 행위로 나타난다.
▲ 실제 피해 사례
사례 1: 직장인 A씨는 여러 건의 고금리 대출을 통합하려다 오히려 총 채무액이 증가. 매달 갚아야 할 금액이 더 늘어났다.
사례 2: 자영업자 B씨는 통대환대출을 받았다가 불법 추심에 시달리며 정신적 고통을 호소. 가족에게까지 연락이 가는 상황을 겪었다.
이 외에도 ‘공증 어음 강제집행’, ‘빈 종이에 자필 서명 요구’, ‘약속어음 회수 거부’ 등의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 통대환대출 진행 시 주의사항
만약 해당 제안을 받은 상황이라면, 아래와 같은 내용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수수료 유무 – 제도권 금융사는 수수료를 요구하지 않음
계약서 명확성 – 빈 서류에 서명하지 말 것
업체의 합법성 확인 – 금융감독원 등록 여부 확인
신용정보 유료 가입 유도 여부 – 강제 가입 요구는 사기 가능성
■ 전문가 조언: “제도권 내 해결책부터 찾으세요”
금융 전문가들은 절박한 상황에 몰렸더라도, 신용회복위원회, 서민금융진흥원, 햇살론15, 신협·새마을금고 대환대출과 같은 공적 제도권 상품을 먼저 고려하라고 조언한다.
“통대환대출은 한순간 숨통을 틔워주는 것 같지만, 결국은 더 큰 족쇄가 될 수 있습니다.”
‘통대환대출’은 언뜻 보면 빚을 해결해주는 해법 같지만, 실상은 불법 사금융의 위험한 덫이 될 수 있다. 정부 등록 금융기관 외의 대출 제안은 신중히 거절하고, 공공 금융기관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받아야 한다.